반대 개념으로 배우는 어린이 철학 처음 만나는 철학 3
오스카 브르니피에 글, 자크 데프레 그림, 박창호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지금껏 철학이라고는 오래전에 교양과목으로 철학개론을 접해본것이 전부네요.

철학하면 왠지 딱딱하고 뭔가모르게 난해하고 끝없는 학문이란 생각이 먼저 들어요.

그때 책 첫머리에서 철학이란 무엇인가? 로 시작되었던것같아요.

철학이란... 당연한것에 왜?... 라는 질문을 하는것! 이라고 했던것 같은데 가물가물...

개론임에도 불구하고 읽고 또 읽어도 어찌나 이해하기가 힘들던지...

같은 단어인데도 사전적의미와 철학적 의미는 많은 차이를 있는것같아요. 뭔가 더

심오한 뜻이 담겨있는듯한...

 


 
어린이를 위한 철학책을 처음 만나게 되었네요.

궁금한것 투성인 우리 유치원생에게도 뭔가를 설명해줄때 반대되는 단어를 대비

해서 설명해주곤 하는데 훨씬 쉽고 빠르게 받아들이더라구요.

이 책에서도  반대 개념을 가진 말들을 짝을 지어서 아이들이 쉽게 이해할수 있도

록 설명을 해줍니다.

 

1단계에서는 먼저 반대 개념을 가진 철학적 개념에 대해 각각 정의를 내려 주고

더불어 선명하고 깔끔하게 의미를 담아 그려낸 그림을 명상하도록 합니다.

2단계에서는 두 개념을 넣어 질문을 함으로서 다시한번 관계를 생각해 보게하고

3단계에서는 서로 반대되는 두 개념이 어떤 식으로 연결이되는지 설명해주네요.

 

이 책에서는 12개의 반대말을 소개하고 있어요.

하나(단일성)와 여럿(다수성)
끝이 있는 것(유한)과 끝이 없는 것(무한)
본질(존재)과 겉모습(현상)
자유와 필연
이성과 감정(정열)
자연과 문화
시간과 영원
나 자신(자아)과 다른 사람(타인)
몸(신체)와 마음(정신)
능동과 수동
객관과 주관
원인과 결과

 

서로 반대되는 개념들이 짝을 이루고 있는데 각각 인듯하지만 서로 연결이 되어있는

오목과 볼록처럼   음양의 조화를 이루듯 서로 상호보완적 존재같다는 생각이네요

논리력과 창의력을 키워주기 위해서 철학이 필요함을 느끼는 시간이었어요.

이 책은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기때문에 논술에 있어서도 많은 도움이 될것

같네요. 

아직은 그림에만 더 관심을 보이는 우리 유치원생.

책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과는 무관하게 자기 나름대로 이야기를 풀어내지만

어느 순간 책 속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겠지요.

더 일찍부터 철학관련 책을 접해주지 못해서인지 어려워하는  우리 아이에게는  

눈높이에 맞춰서 설명해줘야하지만 저학년만 벗어나면 이해하기 쉬울것같습니다.

철학은 아이들의 생각주머니를 키워주는데 많은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