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아이 책읽기와 글쓰기 - 아빠가 하면 더 좋은
장재선 지음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집도 여느집과 마찬가지 전반적인 육아의 몫은 엄마의 것이다.
또 그것이 당연한것마냥 별 이의없이 그렇게 해왔는데 '아빠가 하면 더 좋은 우리 아이 책읽기와 글쓰기'를 보면서 결코 육아전담이 엄마의 몫만은 아님을 느끼는 시간이 되었다.
'아빠가 아이의 교육에 나서면 엄마가 하는 것보다 10배 이상의 효과를 볼수 있다지 않는가.
우리아이들 아빠는 아이들과 놀아주기는 정말 잘한다. 엄마인 나보다 훨씬 더.
쉬는날에는 카메라를 챙겨서 아이만 데리고 근처 공원에 산책도 하고 운동하러 다니는 체육관도 데려가기도 하고... 이런면만 보면 정말 백점짜리 아빠같은데...
도대체 아이에게 책 읽어주는 것에는 아주 인색하기 짝이 없다.
평소에 엄마랑 함께 책을 읽는데 어쩌다 아빠가 책 한번 읽어주면 그렇게 좋아 할수가 없다.
아빠가 책을 재미있게 읽어 주는것도 아니다.
감정도 좀 넣어서 재미있게 읽어주면 좋으련만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국어책 읽 듯 높낮이 변화도 없이 읽어준다. 그렇게 지적을 해도 개선의 여지가 없다.
아직 유치원생인 딸도 대화체에서는 풍부한 감정을 넣어 읽는데 말이다.
그런데 아이는 또 그렇게 읽어주는 아빠를 보며 (비)웃으면서 그게 되려 재밌다는듯이 좋아라한다.
"아빠 한 권만 더 읽어주세요~" 하는 아이에게 "오늘은 그만~. 다음에..."
아이가 떼를 쓰다시피 매달리지만 남편은 엄마인 나에게 바톤을 넘기고 자리를 뜬다.
아이에게 십여 분 시간 할애해서 몇 권 읽어주면 좋으련만 겨우 어쩌다 한 권이라니.
이번 기회에 아이 책읽는 부분이라도 동참시키기 위해 이 책을 살짝 권해봤는데
역시나 별다른 반응도 없고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회사일만으도 바쁘고 힘들다는 것이다.
애초에 많은 기대는 안했지만 아니다 싶었다.
저자의 말을 일부분을 읽어주었다. '우리 시대의 아빠들은 사회 생활을 하느라 지친 몸을 일으켜 아이를 잘 키우겠다는 의지를 적극적으로 발현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를 몰래 부추겼다. 아빠가 책 한권 읽어주고나면 "엄마가 책 읽어주는것보다 아빠가 책 읽어주니까 훨~씬 재밌고 좋아요.^^" 하라고.
그랬더니 반응이 의외로 생각보다 빨리 왔다. 남편은 아이에게 읽고 싶은책 한 권 더 가져오라고 하더니 아이를 앉혀 놓고 두 권째 읽어주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더니 틀린말은 아닌듯하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이정도 반응도 대단한 성과라 하겠다.
저자의 말에 의하면 유아기때보다 초등학교 입학이후 읽어준것을 더 잘 기억한다고 했으니 지금부터 조금씩 변화해도 늦지 않을것같다.
저자는 아이와 책 읽기를 위해 아빠가 기억해야할 다섯가지를 말하고있다.
아이들과 함께 책읽기,서점과 도서관에 자주 데려가기, 집안 곳곳에 책 두기, 텔레비전과 컴퓨터 통제하기, 독후 활동을 이끌되 강박 관념 심어주지 않기등이 그것이다.
이 모든 사항의 실천이 하루아침에 이루어질수 없겠으나, 작지만 변화는 시작되었으니
희망이 보인다.
육아를 엄마의 몫이라고 생각하는 아빠들에게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