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여름, 그 섬에서
다이애나 마컴 지음, 김보람 옮김 / 흐름출판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서양 한복판에 있는 아홉 개의 섬, 아조레스 제도가 있다.

여름에 투우로 담벼락을 넘나드는 남자들이 있고,

책 표지처럼 수국이 예쁘게 피어나는 곳.

이 곳 사람들의 정서는 사뭇 다른 곳과 다르다.

화산폭발로 인해 뭍으로 다른 지역으로 나가 사는 사람들은

이 곳을 잊지 못해 여름에 다시 돌아와 오랜 기간 축제를 벌인다.

다이애나 마컴은 취재기자로서 활동하다가 위기의 시기에

우연히 독특한 이민자 집단을 만났다.

캘리포니아 외곽에 거주하는 그들은 아조레스의 그리움에

매년 여름에 가는데 마컴은 거기에 초대되어 간다.

그리고 평생 그 곳에서 잊지 못한 추억과 사랑을 느끼며 제2의 고향처럼 느낀다.

포르투갈어를 전혀 모르는 독자에게는 조금의 감흥이 떨어질 수 있겠지만

캘리포니아와 인접해 있는 지리학적 특색과

섬이라는 특징을 모두 갖고 있는 이 곳 사람들은

도시에서 취재에 지쳐 있는 다이애나에게 삶의 여유를 느끼게 해줬음에 틀림이 없다.

열심히 일하고 오가면서 장기간 거주하고

큰 불이 나서 취재 오면서 그가 잊고 지냈던 그 곳의 비, 슈바를 맞으며

그녀의 이 곳에 대한 애정은 정점을 찍은 듯하다.

9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아조레스 외에

마음 속에 품고 다니는 10번째의 섬에 대한 아래의 내용은 참 소중하다.

"내가 간직하고 싶은 것들로만 이루어진

나만의 '열 번째 섬'이라는 개념이 마음에 들었다.

여자 혼자 산책하기에 어디가 안전하냐고 묻는 사람을 보고

당황하는 기색을 감추지 못하는 안내데스크 직원이 사는 이곳.

이곳을 내 안에 간직하는 것으로 나만의 열 번째 섬을 간직하는 일을 시작하기로 했다."

또한 책 속 곳곳에서 튀어나오는 저자가 말하는 다양한 인생이론도 참 흥미롭다.

나름대로의 인생이론을 펼치는 것도 재미나지만

윌리 윙카 초코바를 예로 든 이론은 절대적으로 공감할 수 밖에 없었다.

이 책은 아조레스 그리고 그 곳의 자연, 사람들 이야기로만 생각하면서 읽었는데

책을 덮으면서 이 책은 사랑이야기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디 잭 무디와 개구쟁이 개 머피와 오래 행복하시길.

"삶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

우리는 늘 순간을 살아야 한다고 말하지만,

지금 이 순간을 아름답고 완전하게 만드는 건

우리가 다음에 무엇을 할 지 상상하는 일이다."

우리도 이름만 들으면 작은 파도가 일렁이는 마음 속 그곳으로 가 볼까.

모든 것을 위하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