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그걸 알아보았고 순간 열기가 확 솟아오르는 것이 느껴졌다. 그가 나를 갈망하고 있다는 것을 그리고 내가 그에게 결혼한 여자임을 환기시키자 더욱 그가 나를 갈망한다는 것을 확인하는 기쁨, 결혼한 여자이므로 나는 다가갈 수 없는 존재가 된다, 사람은 언제나, 무엇보다도, 다가갈 수 없는 것을 강렬하게 욕망한다, 나는 그의 윤곽에 서린 그 서글픔을 마셨고, 그리고 그 순간, 그가 나를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p.38


나는 그녀의 원고와 관련된 것에는 일부러 드러내어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았고, 그녀가 기자로서 관심을 가지는 것을 완전히 무시해 버렸다. 내 태도에 그녀가 어리벙벙해 하는 것 같았으나 동시에 나는 내가 그녀를 주도하기 시작했음을 확인했다. 나는 그녀에게 프라하 교외로 바람을 쐬러 나가면 어떻겠느냐고 해보았다. 그녀는 안 된다고 하면서 자신은 결혼한 여자라고 했다. 이런 식으로 내 제안을 물리치는 것은 내게 더할 나위 없이 기쁨을 주었다. 그녀가 그렇게 안 된다고 해도-이 이유는 내게 몹시도 소중한 것이었다-나는 계속 거기에서 맴돌았다. 재미있어 하기도 하고 , 자꾸 다시 이야기를 꺼내기도 하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 그녀는 결국 내청을 받아 들이고 이제 그 이야기는 하지 않아도 되니 좋다고 했다. 그런 다음에는 모든 것이 하나하나 내 계획대로 진행되었다. .그 계획을 나는 십오 년 세월의 반감의 강도를 가지고 꿈꿔왔던 것이었으며, 이상하게도 모든 것이 계획했던 대로 잘 성사될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p.254

첫 문단은 헬레나가 루드빅에게 급작스럽게 사랑에 빠지는 장면이다. 헬레나는 그가 먼저 자신을 사랑하게 되었다고

완전히 착각하고 있지만 두번째 문단에서 보듯이 루드빅은 그녀의 남편 제마넥에게 복수하기 위해 그녀에게 계획적으로 접근했을 뿐이다. 그런데  이 바보 같은 여자는 루드빅에게 한방에 넘어가고야 말았다.


여자의 생각을 다루는 데에는 반드시 지켜야 하는 나름의 규칙이 있는 법이다. 이성으로 여자를 설득하려 하거나, 아주 합리적인 근거를 들어 여자의 의견을 반박한다거나 하는 사람은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거의 없다. 여자가 자기 자신에게 부여하고자 하는 이미지(원칙이나 이상, 신념 같은 것)를 파악하고, 우리가 바라는 그녀의 행동과 그 이미지가 조화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궤변을 동원하여)노력하는 것이 훨씬 더 현명한 일이다. p259


이렇게 작정하고 계획하고 달려 들어서 흔들어 데는데 가뜩이나 불행한 결혼생활에 지쳐있는 그녀는

루 드빅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을수 없었을 것이다. 여자의 생각을 다루는 데에라기 보다는 유혹하고픈 상대를 다루는 데에 있어서 그의 신념을 이해해주고, 그가 원하는 모습의 그로써 인정해 주는것은 남녀를 불문하고 먹혀들어가는 수법이 아닌가?

여하튼 이제 서른 후반의 루드빅은 이렇게 능청스러운 남자 어른이 되었지만 그의 인생이 나락으로 떨어지게 된 한장의 엽서를 쓰게 했던 스무살에 그는 이토록 서툴렀다.


나는 애타게 그리워 하고 있는데 그녀는 만족스럽고 행복해하고 있다는 것, 바로 그것이었다. 그래서 나는 엽서를 한 장 사서(그녀의 마음을 상하게 하고, 충격을 주고, 혼란에 빠지게 하려고) 이렇게 썻다. 낙관주의는 인류의 아편이다! 건전한 정신은 어리석음의 악취를 풍긴다. 트로츠키 만세! 루드빅. p51


내 마음 같지 않은 여자를 화나게 만들어 볼 심산으로 해서는 안될말을 "농담"으로 해버린 것이다.

잘나가던 대학생이며 공산당원이였던 루드빅은 이 엽서 한장으로 그 시절 최고의 밑바닥 경험을 하게 된다.

그를 그곳으로 내몰았던 이들은 그와 함께 동문수학하던 동지들이였다. 그중에 대장이 바로 저 홀랑 넘어가 버린 여자

헬레나의 남편인 제마넥이다. 제마넥에게 상처를 주기위해 온갖 감언이설로 그녀를 유혹해 불륜을 저지르게 만들었으나,

그는 모르고 있었다. 헬레나와 제마넥은 이름만 부부인 남남일뿐, 게다가 제마넥은 젊고 아름다운 새 여친이 있는 상황.

루드빅은 농담처럼 또 쓸데 없는 짓을 하고야 만것이다. 어리석게도....


이 마지막 얼굴이 진짜였을까?

아니다. 모든 것이 진짜였다. 나는 위선자들처럼 진짜 얼굴 하나와 가짜 얼굴 하나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 나는 젊었고, 내가 누구인지 누가 되고 싶은지 자신도 몰랐기 때문에 여러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었다.(그렇다고 해서 이 모든 얼굴들 사이에 존재하는 부조화가 내게 두려움을 주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나는 그중 어느것에도 꼭 들어맞질 않았고, 그저 그 얼굴들 뒤를 맹목적으로 이리저리 헤메다니고 있었다.)p49

"김일성 만세"라고 외칠수 없던(지금도 없다) 시인 김수영이 살던 그 시대처럼 "낙관주의는 인류의 아편이다! 건전한 정신은 어리석음의 악취를 풍긴다. 트로츠키 만세!" 라는 농담으로 한순간 모든것을 잃을수 밖에 없었던 루드빅의 그 시대. 내가 누구인지 누가 되고 싶은지 자신도 몰라서 성인이 된 지금까지도 남들이 원하는 가면을 쓰고 살아야 하는 시대. 농담이 농담이 될수 없는 시대는 과연 누가 만든 것일까?


이런 이야기를 들었다고 당국에 보고하는 개인인가?(수십년전에 막걸리 마시다 끌려간 많은 사람들이 있던 시절 처럼)

평소에도 농담을 잘하는 루드빅을 알고 있으면서도 그를 학교와 당에서 퇴출시키는 것이 자신들의 신념을 지키는 올바른 선택이라고 믿었던 동지들(사회)인가?


전체주의적인 시대를 탓해야 하는가? 약해빠진 개인의 양심만을 탓해야 하는가?

동시대에 살아도 다른 선택을 하는 많은 이들이 있다.

그럼 역시 개인의 잘못?

하지만 동시대에 살아도 다른 억압적 환경에 짖눌린 이들은 또 역시 다른 선택을 할수 밖에 없다.

그럼 또 사회의 탓?


그런데, 기독교인. 내 형제들이여, 나는 뭐하러 이런 걱정을 하고 있는 것일까? 모든 것은 하느님의 뜻에 의해 이루어진다. 나는 종종, 인간이 무사히 하느님의 옥좌를 차지하고 앉지는 못한다는 것, 그리고 이 세상의 사물들의 질서는 제아무리 공평하다 해도 그분의 개입 없이는 결국 잘못되고 타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알게 해주시려고 하느님이 일부러 의도적으로 그렇게 하신것은 아닐까 생각하곤 한다. p298


아하! 역시 그런거였나? 히느님 탓이였구나!

그럼 뭐 내가 어쩌겠어...........


"부자가 천국에 가는 것이 김일성 만세라고 외치는 것보다 더 쉬운 세상으로 만드신것이 하느님의 뜻이셨구나......."

라고








을 해본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3-10-22 15: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정말 좋죠, 아무개님? 마지막, 여자가 남자에게 버림받고 자살하기 위해 약을 먹었던 장면까지 말이지요. 남자는 그녀가 죽을까 염려되어 그녀에게 달려갔지만............하아- 저는 마지막까지 읽고 한참이나 생각했어요. 작가님, 정말 왜이러세요, 하고 말이지요.

아무개 2013-10-22 16:00   좋아요 0 | URL
변비약ㅋㅋㅋㅋ

빤쓰 다리에 걸려서 휘청휘청 거리는 헬레나 ㅋㅋㅋㅋ

불멸이랑 참을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으로 바로 달려 볼까 합니다.
정말 매력적인 작가네요^^

다락방 2013-10-22 15:56   좋아요 0 | URL
아 님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그걸 말하면 어떡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그 중요한 것을 말이죠!!!!!!!!!!!!!

아무개 2013-10-22 15:57   좋아요 0 | URL
제 서재 오시는 분들 몇분 되지도 않고, 그분들 대부분은 아마도 이미 다 읽지 않으셨을까요? ^^::::::::::::::

다락방 2013-10-22 15:58   좋아요 0 | URL
오 아무개님 여기 지금 계시군요! 실시간이다!! >.<

다락방 2013-10-22 15: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농담>, <불멸>의 순으로 읽었거든요. 지금 <정체성> 사두었어요. 다음번엔 이 책으로 하려고요.

아무개 2013-10-22 15:59   좋아요 0 | URL
하하 실시간 댓글 좋아요 ㅎㅎㅎ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도 농담과 비슷한가요? 궁금해요 다락방님은 어땠는지.

다락방 2013-10-22 16:02   좋아요 0 | URL
비슷하다? 음. 비슷한 거랑 다른데요 참 좋아요. 불멸도 좋고. 그런데 그 셋 중 가장 좋은건 저는 농담 이었어요. 어쩌면 참을수~ 를 너무 어릴적에 읽어서 그런지도 모르겠어요. 저는 참을수~도 나중에 다시 읽어보려고요. 민음사 버전으로 다시 사서 말이지요.

2013-10-22 16: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0-22 16: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0-22 16: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0-22 16:4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