얘들아, 정말 작가가 되고 싶니?
이현 지음, 김준영 그림 / 풀빛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얘들아 정말 작가가 되고 싶니? 라는 제목을 보자 열심히 책을 읽지만 학년이
오를수록 어쩐지 글쓰기에 맥빠져 있는 큰 딸이 생각났습니다. 많은 아이들이

논술과 독서라는 지상최대의 과제?에 대한 압박감으로 쓰기 싫은 독서록이나

일기 등을 쓰고 있는데..항상 의무감으로 글을 쓰는 아이들을 보며 어떻게 하면

좀더 재미있고 신나게 글쓰기를 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했기에 책이 너무나

반가웠습니다.

이 책은 동화 작가인 이현작가가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글쓰기의 의미와 글

쓸때의 마음 가짐 등을 마치 언니나 선배와 같은 느낌이 들도록 조근조근 이야기

해 주고 있으며 글과 함께 그림도 너무 귀여워 아이들에게 무언가를 배우려 읽는

다는 느낌이 들지 않게 해줍니다.

1장 거짓말을 밥먹듯이에서는 작가가 어떤 이야기를 쓰기 위해서는 거짓말을

잘해야 한다는 약간은 말도 안되는 주장을 합니다. 하지만 진짜 거짓말이 아니

라 상상으로 허구의 일을 잘 꾸며 내야 한다는 것이며 사실 생각해 보면 유난히

이야기를 잘 꾸며서 말하는 아이들이 있는데...그런 이야기를 거짓말로마 치부해서

아이를 혼내기 보다는 그 상상력에 날개를 달아 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장에선 자나 깨나 두 눈 부릅뜨기 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하는데 그 말은 작가가

거짓말을 지어내거나 허풍스런 이야기를 쓰지만 정신차리고 세상 돌아가는 이치를

고민해야 함을 이야기 합니다. 아무리 글을 잘 쓰는 작가라 해도 세상의 진리를 외

면한 채 글을 쓴다면 좋은 글이 될 수 없음을 이야기 했습니다.

 

3장 여기저기 참견하는 버릇 기르기- 작가는 인간에게 남겨진 최후의 직업이라

합니다. 그 말은 글을 쓸때는 자신의 많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해야 좋은

글을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작가가 되기 위해 혹은 좋은 글을 쓰기 위해 독서록

을 매일 쓰고 일기를 매일 쓰고 대학을 가야 하는 게 아니라 많은 경험을 바탕으

로 써야 함을 이야기 하는데..사실 이 글을 읽고 반성했습니다. 사실 나 자신도

아이의 글쓰기 실력?을 좋게 한다는 이유로 글쓰기를 강요한 적이 있기 때문

입니다.

4장 태산처럼 무거운 엉덩이 만들기를 보면 좋은 글을 쓰는 사람들은 오랜

세월을 그 작품에 매진하고 쓰고 고치고를 반복하며 쉽게 포기 하지 않는

사람들이었습니다.

마지막 5장 산더미 같은 돈 펑펑쓰기에선 작가란 직업으로 돈과 명예를

얻었던 사람들의 일화를 통해 과연 어떤 사람이 진정한 작가임을 알려

주고 있는데 얼마전 돌아가신 권정생선생님의 생가의 사진을 볼 수 있

어 좋았으며 그 분의 유언- 자신의 재산을 아이들을 위한 일에 써달라 -는

이미 알고 있었지만 그래도 가슴이 뭉클했습니다.

 

1장에서 5장을 읽다보면 작가란 혹은 글쓰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님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막연히 글을 쓰기 위해 덤비기 보다는

한 두가지 마음속에 기준을 세워 생활 속에서 노력한다면 나도 한 번쯤은

멋진 글을 쓰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이들에게 글쓰기란

이런 것이다를 재미있는 글과 그림으로 보여주었던 책이었고 좋은 경험

이 되었던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