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모로 산다는 것 - 왕권과 신권의 팽팽한 긴장 속 조선을 이끌어간 신하들의 이야기, 개정판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킹메이커 정도전 하륜부터 실학자 김육 정약용까지

각자의 개성으로 조선을 받쳤던 대들보, 신권에 대하여

 

 

< 조선 전문가 신병주 교수가 참모의 리더십&팔로워십을 말하다 >라는

제목이 이야기하듯 저자는 조선시대에 대한 다양한 책을 냈고

여러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역사 이야기를 해주었기에,

<참모로 산다는 것>이 신간으로 소개되자 내용이 궁금했습니다.

( <왕비로 산다는 것>을 이미 읽었네요^^)

 

 

참모 : 윗사람을 도와 어떤 일을 꾀하고 꾸미는데 참여함.

또는 그런 사람

 

 

책은 왕의 나라 조선을 신하들의 이야기를 통해

조선 건국에서 정조시대까지 들려주는데,

태조의 뒤에서 조선의 기틀을 마련했던

정도전의 이야기로 시작한 책은 참모로서 그들이

어떻게 왕의 곁에서 왕권을 강화하는지,

국가를 위해 어떤 정책에 영향을 주는지

에피소드 위주로 짧게 짧게 설명해 주며

그들의 장단점도 알려줍니다.

또한 각 시대별로 나라 안팎의 위기상황과

왕의 고민을 들려주며

그걸 해결하기 위한 참모들의 노력을 나열해 주는데

임금의 고민을 시원하게 해결해 주는 이를

우리는 뛰어난 참모라 여기며 후대의 평가가

시대에 따라 달라짐도, 모든 역사적

사건 뒤엔 공과과의 양면이 늘 존재함도

보여줍니다.

또한 인조 선조시대처럼 왕권이 강하지 못했을때

오히려 더 많은 참모가 등장함을 책을 읽다보니

눈치챘는데, 이는 조선이 왕의 나라였지만

신하라는 존재역시 나라를 유지함에 얼마나

중요한 역활을 하는지를 말해주는 것 같았습니다.

 

 

능력 있는 참모의 발탁과 재능의 활용이

리더의 중요한 덕목이라 말하고 있는 책은,

그래서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훌륭한 리더의 역할은 무엇이며,

리더의 곁에서 왕의 의지를 실현시켜 주는

진정한 참모란 무엇인지를 묻고 있는 듯합니다.

그리고 저자 역시 그래서 참모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역사 속에서 우리가 생각해야 할 점을

지적해 주는 것 같습니다.

 

참모로 산다는 것 (왕권과 신권의 팽팽한 긴장 속

조선을 이끌어간 신하들의 이야기

 

다양한 사진 자료와 함께 간결하면서도

조선을 대표하는 역사적 인물들에 대한 설명을 듣다 보니

조선의 역사가 더 잘 들렸으며

왕과 왕의 참모들이 긴 세월 조선이라는 나라가

유지되는 데 기둥 역할을 했다는 것과

이전에 내가 생각했던 참모는 킹메이커의 역할을 하는

정도전, 한명회, 조광조 같은 신하였는데

왕의 의중을 제대로 파악해 왕이 하고 싶은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술, 예술 참모들이

오히려 더 많았음을,

악화 궤범 등의 조선을 대표하는

예술과 관계된 작품들이 그들의 지휘 아래

이루어졌음을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장영실을 참모로 소개한 점과

어떤 의미로든 신숙주, 장녹수 등 현대의 관점에선

왕을 망친 간신이라 불리는 신하들이 참모로 소개된

점도 참모의 의미를 생각하게 해 주는데,

저자를 소개하는 글 중 <조선 전문가>라는 수식어답게

조선의 왕과 국가를 떠받친 다양한 참모들을 소개받았기에

즐거운 시간이 되었고 왕권이든 신권이든 그 기반엔

백성을 위하는 마음이 있어야 함을 말하는 듯 합니다.

조선을 유지시킨 신하들의 이야기가

궁금할 때 보기 좋은 책으로

 

역사를 좋아하는 분들께 강추합니다.!!!

 

<출판사가 제공한 도서로 작성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