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으로 조선왕조실록을 읽다 - 조선의 왕들, 주역으로 앞날을 경계하다 더 생각 인문학 시리즈 13
박영규 지음 / 씽크스마트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의 모든 군왕은 주역을 통해

신하들과 소통하고 민생을 돌봤다

● 주역이란 단순히 《역(易)》이라고도 한다. 점복(占卜)을 위한 원전(原典)과도 같은 것이며, 동시에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흉은(凶運)을 물리치고 길운(吉運)을 잡느냐 하는 처세 상의 지혜이며 나아가서는 우주론적 철학이기도 하다. 주역(周易)이란 글자 그대로 주(周) 나라의 역

[네이버 지식백과] 주역 [周易] (두산백과)

주역이 무엇인지 그냥 대충만 알았지 무슨 내용인지도 잘 모른 채 <주역으로 조선왕조실록을 읽다>라는 제목에 끌려 선택한 책은 이제껏 몰랐던 주역의 내용과 너무도 당연하게 ( 유교와 성리학 등에 의해 지배되었던 나라이므로) 조선시대의 왕들이 주역에 관심이 많고 그 원리로 나라를 다스렸다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더구나 조선왕조실록에는 주역과 관계된 1000여 건의 에피소드가 담겨 있다고 하니 생각보다 더 주역은 나라의 운명을 좌지우지했나 봅니다.

책은 정조, 이순신, 숙종, 영조, 세조, 정종, 성종 등 심지어 세종대왕까지도 주역을 옆에 끼고 살며 그 책 속에서

백성을 다스리는 근간으로 여겼다고 이야기하는데, 정조는 얼마나 많이 읽었는지 책의 종이가 너덜너덜해졌다고 합니다. 정조대왕의 이야기는 어느 정도 책으로도 수업으로도 들어서 알고 있다고 했는데... 새로운 이야기를

들으니 놀라울 정도였고 세종대왕은 성녕대군이 병으로 위중할 때 주역으로 점괴를 정확하게 해석해 모든 대소 신료를 놀라게 했다니 주역이 무엇이길래 왕들이 그 내용으로 국가의 운명을 결정했는지 궁금증이 들어 책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괘를 번역해 길흉화복을 점친다는 게 무당의 그것과 비슷하다는 느낌이 들어 과연 내가 알고 있던 저 왕들이 괴를 해석해 국정운영에 이용했다는 게 진짜 역사가 아니라는 느낌을 받았고 그 점은 책을 다 읽고 나서도 솔직히 내용이 다 이해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명리학이란 게 엄연한 학문으로 인정받고 있고 몇 백 년이 흐른 지금에도 괴를 해석해 앞날을

예측하는 사람들은 존재하기에 과연 이게 맞는 이야기일까? 의심만 하기도 이해되지 않는 것은 지점이 있기에 책을 여러 번 읽으며 찬찬히 내용을 생각해보자 하며 책장을 덮었습니다.

작가는 주역이란 학문을 어떻게 왕들이 이용하고 역사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보여주고 싶었으며 왕들조차도 국정에 이용했던 내용을 현대의 우리에게 예시를 들며 쉽게 쉽게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또 다른 새로운 역사를 들을 수 있는 시간이 되었고 한 번 읽어서는 이해가 다 안되었기에 시간을 두고 더 읽어야겠습니다.

소재가 참신한 살짝 개인적으론 내용이 쉽지 않은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