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해 세계사 - 세 대륙이 만나는 바다, 그 교류와 각축의 인류사
제러미 블랙 외 지음, 데이비드 아불라피아 엮음, 이재황 옮김 / 책과함께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 대륙이 만나는 바다, 그 교류와 각축의 인류사’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이 책 “지중해 세계사”
현재 서구 역사는 유럽을 중심으로 알고 있어서 궁금해서 선택한 책.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을 잇는 지중해는 5천 년 이상 세계사의 중심에 있었다. 국가와 국가 간의 전쟁터이자,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 3대 종교의 중심지였고, 이집트, 미노스, 미케네, 그리스, 에트루리아, 로마, 아랍 문명 등 여러 주요 문명이 탄생하고 스러져간 곳이었다.”

지중해사의 저명한 학자인 데이비드 아풀라피아 및 세계적 역사학자 8인의 공저인 이 책은, 기존의 역사적 관점과는 사뭇 다르다. 유럽 중심의 시각에서 탈피해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이야기도 골고루 다룬다. 지중해라는 공간에서 발전한 각 사회들의 역사를 쓴 것이 아니라, 당대 사회들이 바다를 건너 서로 접촉한 방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지중해의 역사를 함대와 상인만의 역사가 아니라, 사상과 종교, 물건과 생각(사람과 함께)이 이동한 역사를 다룬다.

처음 이 책을 펼쳤을 때는, 한 지명을 가리키는 이름이 각각 달라서 엄청 힘들었다. 익숙해 진 후에는 머리 속에 지중해를 중심으로 이동의 화살표가 동에서 서로, 서에서 동으로, 북에서 남으로, 남에서 북으로 움직이는 그림을 펼칠 수 있었다. 나는 세세한 설명을 기억하기 보다 이런 식으로 이해했다.

책 한 권에 지중해를 둘러싼 세 대륙의 많은 민족, 나라를 다루어 겉핥기 식일 수도 있다. 그래서 읽다 보면 너무나 방대한 내용에 한숨이 절로 나온다. 또한 여러 사람이 각각 한 챕터씩 맡아서 기술하여, 서술의 일관성이 없어서 읽기에 쉽지 않다. 어느 한 챕터의 서술 방식에 익숙해질만 하면 글의 성격이 달라진다. 그래서 처음에는 번역의 문제인가 싶었는데 아니었다. 번역자가 많이 힘들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렇지만, 각 챕터 끝에 데이비드 아불라피아가 간략하게 부가 설명 및 정리를 해 놓아서 흐름을 이어가는데 큰 도움을 준다.

그간 서구 유럽 중심의 세계사를 배워와서, 한계가 너무나 크다. 특히 중동 지역에 대한 무지는 어떻게 극복해야 할지. 하지만 늦었지만 이렇게 하나씩 배워가면 되지 않겠나.

참, 고대사에서 ‘트로이 전쟁’은 없었을 것이라는, 서로 다른 세 시기의 요소를 섞어서 수백 년에 걸쳐 편집했을 가능성을 지적해서 신기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