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수학을 사랑한 이유 - 불가능한 꿈을 실현한 29명의 여성 수학자 이야기 내 멋대로 읽고 십대 6
전혜진 지음, 다드래기 그림, 이기정 감수 / 지상의책(갈매나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성은 존귀하고 여성은 비천하다 흔히 이야기하는 "남존여비"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우리나라뿐 만 아니라 어느 나라에도 잠재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남존여비라는 이름으로 여러 가지 제약들을 이용해서 여성의 사회적 활동을 제한되게 함과 동시에 남성에게는 사회적 위치를 높일 수 있는 활동을 펼칠 수 있게 하는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그럼으로써 남자가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당연시 여기고 교육마저 남성에게 기회가 주어줬다. 이러한 이유로 역사 속 여성 위인들이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 알려지지 않은 탓에 모르고 지나치게 된다. 이 책 우리가 수학을 사랑한 이유는 남성에 비래 턱없이 부족한 기회 속에서 수학을 하고 싶다는 마음 하나로 29명이 여성 수학자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그녀들 중 특히 알렉산드리아의 수학자 히파티아의 이야기는 정말 안타까웠다. 아무리 뛰어난 여성이라고 하더라도 그 재능을 제대로 펼칠 수도 인정받지 못했던 시대의 많은 여성 과학 및 수학자들이 있다.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정치적 및 종교적 대립으로 우리 역사에서 사라져가야만 했다. 이 외에도 대학의 교수이면서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강당에서 강의를 하지 못하는 경우, 공부를 하고 싶지만 사회적 여건으로 가명을 사용하여야 했고 얼굴을 숨겨야 했던, 보건과 통계를 결합한 통계학자 수학의 천사이자 간호사인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수학에 대한 열정 하나만으로 위장 결혼까지 하여 유럽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최초의 여성 수학자이자 역사상 최초의 여성 정교수였던(스톡홀름 대학교) 소피야 코발렙스카야, 여자 아인슈타인 에미 뇌터, 에니악을 움직인 여섯 명의 컴퓨터들 진 제닝스, 매를린 웨스코프, 루스 릭터먼, 베티 스나이더, 프랜시스 빌라스, 케이 맥널티, 인종차별에도 불구하고 많은 흑인 여성들이 두각을 보이고 있었다. 그 중 최초의 흑인 여성 NASA 엔지니어 메리 W. 잭슨, 도로시 후버, 캐서린 존슨은 어릴 때부터 남달랐다. 그 외에도 기하, 수리물리에 업적을 남긴 공로를 인정받아 아벨상을 수상한 캐런 울런벡 등 수많은 여성 수학자들이 있었다.




한국에서도 많은 수학자가 있었다. 조선 최초의 여성 수학자인 영수합의 학문, 일본으로부터 해방된 조선의 혼란한 틈에서도 한 줄 빛이 피어나 한국 최초의 여성 수학 박사 홍임식, 진리를 찾기 위해 노력한 수학자 최영주, 여성 수학자의 롤 모델이 된 오희 등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가정과 육아 그리고 공공연한 차별 즉 여성, 유색인종 및 다양한 이유로 차별받아야 했던 상황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연구한 많은 여성학자들로 인해 지금의 수많은 여성 수학자들에게 큰 힘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슴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