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랑꼴리의 검은 우물

멜랑꼴리는 어떻게 생겨나는 것일까? 그것은 대상을 상실하였을 때 일어나는 작용이다. 흔히 우리는 누군가 죽음. 또는 실연을 통해 욕망의 대상 즉 리비도의 대상을 잃어버렸을 우울감으로 추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상실에 관하여 애도의 과정을 거치게 되지만 정신병적 멜랑꼴리는 나르시시즘으로 퇴행하게 된다. 리비도의 흐름은 대상에서 자아로 옮겨가게 되며, 그렇게 자아로 향한 리비도는 무거워진 존재감에 짓눌리게 되는 것이다. 저자는 그것을 신체의 이물감으로 비롯된 역겨움이라고 이야기한다.

내가 현시할 수 있는 것은 나의 껍데기 뿐인데, 나의 신체에 흐르는 감각들은 이물감으로 인해 절단해야할 그 무엇으로 느껴지는 것이다. 그러한 과정속에서 자존감은 추락하게 되어 자기비난과 파괴로 이어 질 수 있다. 자존감의 추락은 세계에서 자신을 도려냄으로 해서 고통을 중지 시킬 수 있다고 믿게된다. 일반적인 자살이 타자와의 관계성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정신병적 멜랑꼴리는 환상이 사라진 핍집성, 피부를 걷어낸 자기살을 봐야하는 고통으로 짓눌리게 된다. 우울증은 그런의미에서 환상을 잃어버린 세계의 공허 속에서 존재감에 침식당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부패한 환상

부패한 환상의 냄새는 연기처럼 소멸하고 싶다는 환상을 갖게 만드는것 같다
환상은 대상을 상정하고 있으며, 대상은 전이관계속에서 동일시를 통해 환상을 양산하게 된다. 그러한 환상이 지속되면서 그것을 확신하게 되면 망상이 되고, 환상에서 벗어서 주체의 핍진한 현실에 눈을 뜨게 되면 한없이 남루한 현실은 마치 욕망을 잃어버린 것처럼 우울증으로 곤두박질 치게 된다.

대상을 상실하였을 때 적절한 애도과정을 통해 다시금 새로운 환상을 만든다면 주체는 리비도는 복원될 것이지만, 대상을 잃어버리고, 욕망이 감소된 상태는 리비도는 자아에게 투자된다.

애도로 나타나는 경우 는 상황이 지나면 그러한 상실감이 극복될 수 있지만, 멜랑꼴리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멜랑꼴리의 메커니즘

반면에 멜랑꼴리의 특징은 심각할 정도로 고통스러운 낙심, 외부세계에 대한 관심의 중단.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의 상실, 모든 행동의 억제, 그리고 자신을 비난하고 자신에게 욕설을 퍼부을 정도로 자기비하감을 느끼면서 급기야는 누가 처벌해 주었으면 하는 징벌에 대한 망상적 기대를 갖는 것 등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멜랑꼴리의 상황은 우리가 한가지를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특징들이 다 애도에서 찾아볼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어는정도 이해가능한 상황이다. 그런데; 그 한가지 예외란 바로 애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자존감의 추락이다.” < 에도와 멜랑꼴리 > 244-245

철회된 리비도의 처리

대상에게 낙심을 하여 대상을 사랑하고 세계에 관심을 표하는데 제한이 생긴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멜랑꼴리의 자아는 분열되어 있지 않으며, 자신에 대한 이중적 잣대 없이 쓰레기라고 언표화 했을 때 그 자신을 잔여, 불순물로 간주한다. 언어의 이면이 없는 것이 멜랑꼴리의 특징이라고 한다.

사랑은 대상에게 리비도를 투자하면서 일어나지만, 대상을 상실한 리비도는 길을 잃고 자아에 복귀되면 멜랑꼴리, 슬픈노동이라고 불리는 애도를 겪지않으면 그대로 고여있게 되어 주체를 짓누르게 될 것이다.

애도는 결국 대상으로부터 리비도를 떼어내는 일이다. “죽은 대상을 다시 죽이는 일이며 당연히 고통스러운 일일 수 밖에 없다.

애도는 옛 대상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새로운 대상에게 리비도를 투자해야 하는 현실적 요구를 기억을 통해서 타협한다.

그리고 울어야 한다.

그렇다면 애도없이 상실감을 처리할 요량으로 리비도의 이동이 일어나면 어떤일이 일어날까. 대상의 상실없이 또 다른 대상으로 봉합한다는 것은 상처위에 또 다른 상처를 얹어 놓는 것과 다름이 없으면 그것은 언제가 상처뿐만 아니라 상처주변까지 썩게 만들 수 있다. 그러한 부패로 인한 갑작스러운 붕괴는 멜랑꼴리를 가속화하게 된다.

멜랑꼴리에서는 애도와는 달리 무엇을 상실했는지가 분명치 않음을 의미한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애도는 대상을 상실을 전제로 한 감정이다. 즉 애도에는 대상이 분명하지만, 멜랑꼴리는 슬픈데, 무엇을 잃어버린 것 같은데, 그게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

무의식적인 상실은 어떤 내적인 작업을 통하여 자기를 비난하고 자기를 처벌하는 망상으로 귀착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완만하게 서서히 자신을 집어삼킨다. 아주 조용하게

나르시시즘의 퇴행이라고도 부른다.

멜랑꼴리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멜랑꼴리는 주체의 의식적 노력으로 벗어나기는 힘이 든 것 같다.

주체를 지탱해주는 새로운 환상의 가능성의 공간이라는 측면에서는 공백의 장소에서 머물며 무한성으로 나아갈 수 있는 0도의 자리이기도 하다. 꼭 정신분석을 받지 않아도 분석담화를 통해서 시적실천을 통해 멜랑꼴리에서 빠져나오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분석담화란 우울증의 담화로도 불 수 있을 것이다. 대상a로서의 주체를 0도로 이끌고 나아가 새로운 기표를 창안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의 자리이기도 한 것이다. 0도가 된 김에 0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는 것.

신경증자의 멜랑꼴리는 이런 면에서 주체에게 주어진 사건으로 봐도 좋을 것 같다. 사랑이라는 사건은 주체의 한계를 넘는 기회의 장이다. 사랑이 이루어지건 이루지지 않건 간에 자아의 문턱을 넘게 해주는 사건적 장이라는 의미이다. 환상이 없어진 드문 상태를 유지하는 힘. 리비도를 거기에 투자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