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 - 책과 혁명에 관한 닷새 밤의 기록
사사키 아타루 지음, 송태욱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성경을 신앙의 근거로 여기는 나에게는 제3자의 눈으로 종교적 텍스트를 바라보는 관점이 그저 신기할 뿐이다. 특히나 기독교라하면 그런 동네북도 없을만큼 까이는 요즘, 종교적인 텍스트를 다루면서 객관적인 시선을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도 들었다. 그러나 꽤나 객관적으로, 역사적인 근거를 통해 종교적인 텍스트를 읽고 쓰는 것이 우리의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이 책은 설명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우리나라만큼은 안까이나보다.) 물론 그렇다고 저자가 기독교를 비롯한 종교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가진 것은 아니다. 오히려 한숨을 내쉬며 종교, 신앙, 믿음에 대한 관념을 비판하기에 여념이 없다. 여튼 나같은 예수쟁이와 종교학을 전공한 저자에 관점이 근본적으로 다른 마당에 모든 면에서 관점의 일치를 보기는 힘들었으나, 저돌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밀고가는 부분에서는 왠지 모를 진정성 같은게 느껴졌으며, 또 몇몇 부분은 꽤나 동감이 가기도한 그런 책이었다. 

 시작은 책읽기에 관한 것이다. 저자는 책을 읽는 다는 것은 저자의 무의식에 접속하는 것. 맨 정신으로는 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한다. 책을 온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저자의 무의식에 빠져버리고 마는 것이므로 결국 미쳐버린다는 얘기다. 자신 내부의 검열로 인해 가려서 읽게 됨으로 미치치 않고 이해한다고 하는 것인데, 제대로 읽으면 미쳐버리고 만다는 주장은 너무 극단적인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러한 논지에 반감이 들어서 덕분에 나도 책 읽기에 대한 나름의 정의를 내려보았는데 이런 시간이야 말로 책 읽기를 통해 가질 수 있는 가장 유익한 시간이 아닐까 싶다.

 책읽기가 무엇인지 정의내리기 전에, 책이란 무엇일까 생각해보았다. Book의 어원은 '무엇인가 적혀있는 나무판의 묶음' 이라고한다. 초기의 책이라는 것은 정보의 묶음이었을 것이다. 책이던 쓰는 것이던, 읽는 것이던 시작은 정보의 습득에서 시작한다. 정보의 양이 한정적일 때, 우리는 그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이를테면 구구단처럼말이다. 그저 외우기만 하면 될 뿐, 그 이상의 무언가는 필요 없다. 그러나 정보의 양이 무한에 가까울정도로 크다면? 결국 우리는 어떤 필터를 가지고 그것들을 걸러낼 수 밖에 없다. 세상에 널려있는 정보들을 취사선택하여 자신만의 것으로 만드는 힘. 그것이 바로 해석이고 관점이다. 그래서 무한한 정보의 바다에서는 책이라는 것이 단순한 지식의 묶음에서 관점이 있는 편향적인 어떤 것으로 변화한다. 이를테면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 같은 책으로.

 결국 책은 글쓴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드러내는 도구인 것이다. 그래서 잘 쓰여진 책은 저자의 의도가 명백히 드러난다. 저자가 열심히 A를 이야기했는데 독자가 B로 받아들인 것? 그것은 어렵게 생각할 것도 없이 그냥 '오독(誤讀)이다. 이를테면 (저자가 언급했던) 루터가 성경을 읽고 또 읽으면서 자신이 미친게 아닐까 생각했던 것은 성경을 제대로 읽고있는 자신이 오히려 미쳤다고 생각할 만큼 중세 교회가 타락했다는 것이리라. 성경은 명백하게 이야기한다. 구원은 돈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믿음으로만 가능하다고. 여기에 무의식의 여지가 있는가? 중세 교회의 행태들, 특히나 왜곡된 구원관과 그로 인한 면죄부를 파는 행위는 명백히 오독으로부터 근거한 것이다. 오독이 아니라면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의도적인 왜곡이라고 볼 수 밖에.   

 책읽기에 대한 관점은 공감보다는 그렇지 않은 부분이 더 많았지만, 혁명에 관한 관점은 흥미로웠다. 저자가 말하길, 세상을 바꾸는 힘은 폭력이 아니라 텍스트를 고쳐읽고 다시 쓰는데서 나오며 혁명이라고해서 폭력이 선행하거나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나 역시 이 부분에서는 상당히 공감하였는데, 내가 저자의 의도를 제대로 짚어냈는지 아니면 나만의 생각인지는 모르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사회를 개혁한다는 것은 구조를 바꾸는 문제이지 단순히 지배계층을 바꾸는 차원에 문제가 아니다. 이를테면 상하관계를 만드는 틀이 근본적으로 변하지 않았는데, 아무리 누군가를 제거하고 그 자리를 차지해 봤자 시간이 지나면 똑같이 타인을 억압하는 사회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바뀌었다고 해도, 결국 지배계층 교체 이상의 의미가 될 수 없었던 것은 왕을 정점으로한 계급사회라는 구조가 변하지 않았기때문인 것과 같다. 결국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려면 폭력이 아니라, 그 구조 자체를 변화시켜야한다. 이 구조의 변화가 텍스트를 고쳐 읽고 고쳐써서 새로운 사회 시스템을 만들어 내는 것과 같다면 (글쓴이의 말을 빌리자면) 저자와 나의 무의식이 통한 것이리라.

 그러나 이렇게 고개를 끄덕이다가도 나와는 근본적인 입장차에 관한 이야기가 나올 때에는 또 다시 고개를 저을 수 밖에 없었다. 역시나, 종교에 대한 관점이다. 저자는 기독교와 이슬람의 기반인 성경과 코란을 들고 나오면서 이를 통한 사회의 구조적 변화에는 환영하면서도, 태생인 종교적인 경전으로서의 의미는 부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참 아이러니한 일이다. 이것들은 사회 변혁을 위해 쓰여진 것들이 아니라, 인간의 내세, 구원, 가치관에 관한 이야기 아닌가! 여튼 목적에 맞지 않는 사용을 통해서도 의미있는 결과가 나오는 것을 보면 성경과 코란은  꽤나 위대한 책들인가보다. 이와 관련된 저자의 종교에 대한 관점은 더 논하고 싶지 않지만, (중세 해석자 혁명 이후 종교의 딱지를 떼고 세속화된) 기독교가 타자를 억압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대목에서는 예수쟁이로써 한마디는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역사적으로 기독교의 왜곡된 관점이 타자를 억압하는 수단으로 악용되었다는 것 인정한다. 그러나 주지하다시피 책은 의도를 담고 있는 것이고, 오히려 저자의 말대로 성경을 읽고 또 읽는다면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오직 무한한, 그리고 이타적인 사랑 뿐이라는 것이다. 

 이 책을 읽는동안 한가지 숙제를 발견했다. 책을 읽는 다는 것이 무의식의 접속이든 아니든지간에, 텍스트를 읽고 또 고쳐쓰는 것이 혁명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과연 우리는 어떤 책을 읽어야하는 것인가하는 것이다. 저자가 이 책에서 내내 이야기하는 성경은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책 중에 하나이다. 그만큼 통시적으로 검증이 되었다는 것이고, 또한 종교의 틀 안에서 보았을때 그 자체로도 권위가 있다. 그래서 성경을 읽고 또 고쳐 읽는 기준으로 삼는 것은 어찌보면 쉬운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정보가 난무하는 오늘날에 과연 어떤 것을 텍스트로 삼아야 하는지는 쉽게 답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여러모로 나와는 관점이 달랐지만 읽는 동안 지루하지는 않았다. 개인적으로 자신만의 확고한 주장을 가진 사람을 좋아하는 편이라 비록 나와는 평행선을 달릴 수 밖에 없는 주제를 이야기하더라도 '아 그렇게 생각할 수 있구나' 하고 받아들였던 것 같다. 어쩌면 학교 같은 온실에 곱게자란 화초가 아니라 기존의 틀에 갖히지 않고 어떻게든 제도권 밖에서 자신만의 길을 찾아가는 의지가 느껴지는 글이어서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그런 것은 아무래도 좋다. 무엇보다 책을 읽는다는 것이 나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유익한 시간이 아니었나싶다. 책 읽기를 통한 혁명을 사회가 아니라 나 자신에게 적용시켜본다면 이 책을 적극적으로 읽고 쓰는 또 다른 방법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