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쟈의 인문학 서재 - 곁다리 인문학자 로쟈의 저공비행
이현우 지음 / 산책자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수년간 로쟈님의 알라딘 서재를 들락거리면서 매번 느꼈던 의문이 하나 있었다.    

 

 

   
 

 이런 곳도 다 있군요. '나의 서재'라지만, 제가 만든 것 아닙니다. 저는 적응하려고 애쓸 따름입니다.

 
   

 

 

대문에 걸린 지젝이란 사람 사진 아래 있는 이 '읊조림'이 그 의문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었다. 대개 대문짝에 걸어놓는 문구는 의미심장한 것인 경우가 많은데, 이 알라딘 인기서재인은 자기는 '적응하려고 애쓸 따름'이란다... 

 그의 첫번째 간추린 비행기록을 받아놓고 몇장 채 넘기지도 않았는데, 나의 하찮은 의문은 자연스럽게 해소돼 버렸다. 그래서 이 기분에 대해 마이리뷰에 한 줄 남겨야겠다고 생각했고, 리뷰의 제목도 단번에 '로쟈의 섹시한 저공비행'이라고 써버렸다. 이 '섹시한'이란 수식어는 얼마전에 김대호란 분이 '뉴민주당 선언'을 분석하면서 쓴 표현인데, 이분은 문맥상 '땡기는'이란 말과 동의어로 사용하신 듯하다. (부연하자면 이분은 '뉴민주당 선언'이 한나라당 공약에 비해서 섹시하지 못하다는 의미에서 저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나는 로쟈님의 첫 비행기록이 '땡겨서'가 아니라 약간 다른 점에서 섹시하다고 느꼈다.  

살아오며서 내 나름대로 섹시하다고 느낀 남자는 한 손의 손가락으로 다 꼽을 수 있었다. 조니뎁, 키아누리브스, 생떽쥐뻬리, 주은래, 노무현 다섯 명이다. 그런데 어제부로 로쟈까지 더해졌으니 이제 다른 한 손도 필요하게 돼 버렸다. 귀찮게 돼 버렸지만, 돈 주고 책을 사서 이리 만족스러웠던 적은 근래에 드물다(이렇게 읽어라: 돈 주고 책을 사서이리 오르가즘을 느꼈던 적은 근래에 드물다!).   

그 섹시함의 정체는 '위로와 만족'이다. 그는 곁다리 인문학을 한다고 했지만, 곁다리 서재를 꾸리는 주제의 나는 그의 글에서 위로를 받았고 만족을 느꼈다. 더 이상 무엇이 필요하랴. 그러니 지젝이 누군지도 모르는 곁다리 서재인이 이렇게 자극적인 제목으로 리뷰를 남겼다고 조강지처클럽에서 나와서 욕하지는 말았으면 좋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학 오디세이 3 미학 오디세이 20주년 기념판 3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4년 3월
구판절판


나 자신은 이 책의 내용이 미학의 대중화에 기여한 것보다는 외려 그 형식이 글쓰기에 끼친 영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원래 말할 가치가 있는 것은 내용으로 첨부되는 게 아니라 형식 속에 침전되는 법이다.-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학 오디세이 세트 - 전3권 미학 오디세이 20주년 기념판 3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작년부터 신간을 바로 구입하지 않고, 알라딘 리뷰들을 눈팅질하다가 도서관에서 빌려서 끝까지 읽어본 후에야 최종구입결정을 하는 버릇이 생겼다. 지금 읽는 이 책은 신간은 아니지만, 도서관에 간 김에 빌려와서 읽다말고 알라딘에 들려 장바구니에 넣었으니 곧 반딱반딱한 나만의 '미학오디세이'가 생기게 될거 같다.  

예전에 백분토론 디워논쟁에 패널로 나와서 몇번이나 '데우스 엑스 마키나'를 반복하는 걸 보고 이거 백분토론이 무슨 강단이냐, 웬 봉창이람, 꽤나 현학적인 사람이구나 라고 생각했는데, 진쌤의 책을 하나둘씩 읽어가다보니 역시 한국적 부조리에 대해 이렇게 미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는 정말 별나, 특히 루퍼스는...
도리스 레싱 지음, 설순봉 옮김 / 예문 / 1998년 5월
평점 :
품절


도리스가



 

 

 

 

 

 

 

 

 

루퍼스를 만난 건 



 

 

 

 

 

 

 

 

 

 

 

 

 

 

 

런던의 2층짜리 벽돌집 중에 하나였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인 테일러스 동서 미스터리 북스 7
도로시 L. 세이어스 지음, 허문순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장바구니담기


강물이 운하로 흘러들어가지 않고 운하가 강으로 흘러들어가도록 좀더 머리를 썼더라면, 맑은 물을 얻을 수도 있고 월비치가 여전히 어엿한 항구로 남을 수도 있었을 텐데. 경치도 이렇게 지그재그로 누빈 자수이불처럼 보이지 않았을지도 몰라. 하지만 7백년에 이르는 탐욕과 유착, 태만, 그리고 교구들 사이의 끊임없는 갈등, 거기에 네덜란드에서 성공적이었다 하여 펜지방에도 좋을 거라는 오해 때문에 이렇게 참담한 꼴이 되고 말았어. 눈앞의 목적은 달성했지만 훨씬 더 좋아질 수도 있었는데. -20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