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을 위한 철학]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건축을 위한 철학 - 세상에 단 하나뿐인
브랑코 미트로비치 지음, 이충호 옮김 / 컬처그라퍼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건축을 위한 철학>이라는 제목을 처음 듣고 내가 상상한 것은 이런 것이었다. 만일 ‘음악을 위한 철학’ 혹은 ‘미술을 위한 철학’과 같은 책이 있다면, 과연 어떤 내용을 담게 될까. 아마도 음악이나 미술 작품들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여러 개념들을 소개하고 이 개념의 기원이나 배경, 혹은 적용 방식 등등을 엄밀히 검토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와 성찰을 도모하는 책이 되지 않을까. 그렇다면 ‘건축을 위한 철학’ 역시 건축물이나 건축가의 작업을 이해할 수 있는 개념들을 소개하고 꼼꼼히 다뤄주는 책이 아닐까. 이 책을 읽게 된다면 건축물을 바라보는 깊이 있는 시선을 얻게 될 수 있지 않을까. 책을 처음 접하며 이런 질문과 기대가 떠올랐던 것이다. 그러나 헛된 기대였다.
이 책은 ‘건축을 위한 철학’이라기보다는 ‘건축 전공자를 위한 간략한 철학사’라고 부르는 것이 마땅하다. 책의 내용이 대부분 고대의 플라톤에서부터 현대의 분석철학에 이르기까지 철학사의 주요 인물과 사상의 핵심 개념을 설명하는데 할애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 스스로도 “이 책의 목적은 독자들―건축가, 건축 실무자, 학생―에게 설계 작업에서 맞닥뜨리는 더 광범위한 철학적 문제들을 인식하도록 돕는 것이다.”(7)라고 저술 의도를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혹시나 해서 원제를 살펴보니 'Philosophy for Architecture'가 아니라 'Philosophy for Architects'로 정확한 제목은 ‘건축가들을 위한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왜 건축가들에게 철학사책이 필요한가? 그건 일차적으로 아카데미즘의 어떤 경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많은 현장 건축가들과 특히 학계의 건축학자들은 자신의 경력에 보탬이 되려면 철학적인 것처럼 보이는 전문 용어를 사용해 글을 써야 한다는 압박을 받았다.”(6) 이는 건축에만 국한된 사정은 아닐 것이다. 철학은 고도로 추상화된 사유를 다루는 학문이기에 어떤 분야든 추상화된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철학의 용어들을 빌려오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기 때문이다. 어쨌건 이런 분위기에서 건축을 전공하려는 사람들은 철학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들과 자주 마주치게 될 터이기에, 철학사에 대한 일별, 특히 건축에서 자주 다루는 철학 사상에 대한 일별은 연구를 위한 논문이나 저서를 읽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런 의도를 염두에 둔다면 이 책은 매우 훌륭하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 칸트, 헤겔 등 철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굵직한 사상가들과 현상학, 해석학, 포스트모더니즘, 분석철학 등 현대 철학에서 주로 다뤄지고 있는 주요한 분야들의 핵심을 간결한 언어로 요약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철학’이라는 이름이 붙은 책치고 이렇게 쉽게 페이지가 넘어가는 경우는 흔치 않을 것이다. 배경과 핵심 개념에 대한 친절한 소개는 일반인들의 교양 철학서로도 손색이 없다. 물론 각 해당 분야의 전공자들이 보기엔 이러한 간략한 설명이 너무 피상적이고 때론 편파적이며 심지어 왜곡의 소지도 있다고 비판할 수 있을 것이다. (분명 그러리라고 생각한다. 이런 식으로 자존심을 세우는 전공자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니까. 그러나 또 한 편으론 전공자라면 그래야 한다고도 생각된다. 자신이 전공한 분야를 엄밀하게 다듬고 옹호하는 것이 전공자의 임무이기도 하므로.) 그러나 이 책이 누구를 대상으로 하고, 어떤 목적으로 씌어졌는지를 떠올린다면 충분히 납득할만한 하다.
이 책의 또 다른 의도는 철학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건축 이론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 책에서 선택한 철학적 견해들은 현대 상황과 관계가 있는 건축 및 건축 이론 문제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7) 저자는 의도에 맞게 건축과 관련성이 있는 철학 사상을 선별한 후 친절하게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축 이론을 풀어나간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식이다. “팔라디오 설계의 결정들은 ‘플라톤주의자’라고 부를 수밖에 없는 추론을 일관성 있게 따랐다”(52), “르네상스 이론가들은 신이 어떤 질서를 도입했고, 건축가는 신성한 동료가 사용하는 것과 같은 비례를 사용함으로써 거기에 동참한다고 믿었다”(88), “역사철학의 특정 입장이 20세기 모더니즘 건축 이론의 기술을 가능케 한 지적 틀을 직접 제공했다”(130), “노르베르크-슐츠가 소개한 건축에 관한 하이데거의 견해는 공간과 장소 사이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라는 또 다른 측면에서 그 시대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191~192)
그러나 이 부분은 일반 독자로서 다소 아쉬움이 느껴진다. 건축사에 대한 지식이 어느 정도 있는 전공자라면 저자가 설명하고 있는 철학-건축 이론의 연계에 실제 건축물까지 결합하여, ‘철학-건축 이론-건축물’에 이르는 매끄러운 과정을 머릿속으로 생생하게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건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비전공자들은 그러기 어렵다. 플라톤의 경우 팔라디오의 ‘빌라 로톤다’의 도면을 그림으로 실어주었기에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지향한 건축물이 어떤 형태로 실현될 수 있는지 떠올려 볼 수 있지만, 그 외에는 구체적 건물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기에 명쾌하게 다가오지 않는다. 특히 모더니즘 건축이나 포스트모더니즘 건축과 관련된 부분은 더욱 애매하게 느껴진다. ‘건축가들을 위한 철학’이긴 하지만 일반 독자를 배려해 건물 사진 등을 보강해주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철학-건축 이론-건축물’이라는 연계와 관련해서 한 가지 더 언급하고 싶은 것이 있다. 저자는 결론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비록 건축 이론가들이 다른 분야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파악하는 데 때로는 오랜 시간이 걸리긴 하지만, 건축 이론은 외부와 격리된 채 홀로 존재하는 게 아니다. 그들의 견해는 종종 다른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 견해에 대한 뒤늦은 반응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건축 이론에서 장차 일어날 발전을 가늠하려면 현재의 철학적 환경을 살펴보아야 한다.”(262) 즉, ‘철학-건축 이론-건축물’이라는 연계가 단순한 연관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간적 선후 혹은 인과 관계를 가진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꽤 재미있게 들리는데,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형이상학과 같이 철학 고유의 질문을 다루는 분야가 아니라면 개별 철학은 대상이 되는 분야의 뒤를 쫓아가는 식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심리 철학은 심리학의 새로운 발견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다. ‘철학은 과학의 시녀’라는 말은 철학의 이러한 사정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런데 저자의 진술에는 이 관계가 뒤집혀져 있다. 철학이 앞장서고 건축이 뒤따른다. 과연 그런가? 만일 그렇다면 건축이란 분야는 다른 분야와 달리 어떤 특성을 가지기에 그렇게 된 것인가? 몇 가지 의문들이 꼬리를 문다. 천천히 고민해 봐야겠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