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왜 수학을 어려워할까?>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아이들은 왜 수학을 어려워할까? - 발달신경생리학자가 들여다본 아이들의 수 세계
안승철 지음 / 궁리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수학이 왜 어렵냐는 질문은 우문이라고 한다. 수학이 원래 어렵기 때문에 아이들도 어려워 하는 것이다. 지은이는 부모가 아이에게 수학을 가르치면서 "넌 아직도 이런것도 못하냐?"라는 말을 함부로 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고 한다. 나 역시도 6살인 큰 아이와 수학 문제집을 풀면서 알게 모르게 아이에게 상처가 될 말을 참 많이 한 것 같아서 반성하게 된다.
 

  아이에게 4 더하기 3이 뭐냐고 물어보면, 아이들은 일단 손가락으로 4개와 3개를 각각 센 후에 다시 한꺼번에 모두 센다. 학자들은 이것을 '모두 세기'라 부르는데, 아동의 발달과정을 몰랐던 난 아이가 왜 이렇게 하는건지 이해하지 못했었다. 지극히 당연한 일이였는데도 불구하고 처음에는 답답하기도 했고, 이어 세는 법을 가르치기도 했다. 아이에게 수학을 가르치기 전에 미리 이 책 <아이들은 왜 수학을 어려워할까?>를 읽었다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많이 들었다.  

 

  이 책은 수학을 잘하는 비법을 소개하지 않는다. 다만 아이의 발달 과정과 수학 능력에 대해서 알려준다. 우리는 수학을 재능이라고 생각하기 보다는 노력의 산물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어릴때 부터 수학 공부를 열심히 시키는데, 그러다 보면 수학 장애, 발달 산수 장애, 수학 불안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다. 엄마로서 아이가 할 수 있는 단계 보다 앞서 나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겠다. 

 

  <아이들은 왜 수학을 어려워할까?>를 읽으면서 내가 어릴때 왜 수학을 좋아하지 않았는지 그 이유도 알 수 있었고, 어떤 방향으로 수학 공부를 시켜야 할지 방향도 잡을 수 있었다. 아이들은 부모가 보내는 것이라면 아주 미세한 신호도 놓치지 않는다. 원래 여자는 수학을 잘 못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려야 한다. 부모의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우리나라 문제집들은 아이들이 이해하기에는 너무 어려운 말로 설명하고 있다. 아이가 이해하기 쉬운 말로 바꿔서 설명해 줘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