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츠 카프카의 [실종자]와 미셸 우엘벡의 [소립자]

별다른 기대하지 않고 손에 잡았는데 의외로 재밌다.

[실종자]는 이제 100여 페이지 읽고 있고, [소립자]는 절반쯤 읽었는데, [소립자]는 좀 묘한 소설이다. ........

[실종자]는 심지어 킬킬 웃음까지 흘리게 된다. 주인공 카알이 처한 상황과 그의 대처가 카프카 특유의 부조리를 생각나게 한다.

밀란 쿤데라식으로 하면 '소극'.([작가란 무엇인가], 밀란 쿤데라)

"소극이라는 문을 통해서 '초현실'적인 우주로, '꿈과 현실의 융합'의 길로 들어서게"(305)된다는 그말을 너무나 잘 이해할 수 있다.

뭐 이런 젓같은 상황이 있나.

별장 주인의 딸은 처음 만난지 얼마나 됐다고 집구경시켜준다고 잠깐 데리고 나오더니 유도같은 동작으로 목을 조르며 덮쳐오지 않나, 이놈의 집은 어둠탱탱에다 수많은 방, 끝없는 복도, 밖을 볼 수 없는 창으로 되어 있어 촛불 하나 들고 출구를 찾아야 하고, 집에 가겠다고 하니 이 핑계 저 핑계 대면서 난처해하는 주인에다, 명령에만 따르는 고지식한 하인에... 집에는 갈 수 있나?

게다가 다시 만난 그 아가씨는  이번엔 피아노를 쳐달라고 하네...

한밤중인데다 어떻게든 집(정확히는 외삼촌집)에 가려고 하는데 어떻게 가야하는지 방법도 길도 몰라 절절매고 있는 카알에게, ... 에.. 또 ...카알은 악보를 완전하게 읽을 줄도 모른다고 대답하면서 '이미 피아노를 치고 있었다.' 큭.

 

카프카의 꿈과 서사에 대한 이해를 도와줄 책으로 배수아 역, '프란츠 카프카 꿈'은 사실 그냥 읽기엔 비몽사몽 헤맬 수 있다.

카프카가 메모나 단편적 기록 등으로 자신의 꿈을 기록해놓은 것들을 모아서 하나의 책으로 펴낸 것이기에 다른 이의 꿈 얘기를 보는 난감함에 사로잡히게 된다. 틈나는 대로 들여다보는 독서가 좋을 듯하다.

 

[소립자]는 .... 이 작품의 무엇이 나를 흥미롭게 하는지 아직은 잘 모르겠는데 이토록 재미있을지 예상하지 못했다.

68세대에 대한 적나라한 비판? 뜨악할만한 주장들?

주인공 미셸은 계속 생각을 발전시켜 나가는데 남자와 여자에 대해 생각하는 장면이 있다.

미셸의 생각은 치우친 구분일 수도 있고 나는 별로 동의하지 않는데, 남자와 여자의 차이보다는 개별적 인성의 차이도 있고 환경의 차이도 있어서 남자는 이렇고 여자는 저렇다는 식으로 생각하는 데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남자들은 대관절 무슨 쓸모가 있는 것일까? (178)

이 무슨 섭섭한 말씀을 ....

 

그리하여 인류의 진화는 정연한 흐름 속에서 점진적으로 상승해 가는 양상을 보이기 보다는 무질서하고 불규칙하고 폭력적인 양상을 보였다. 그 모든 것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은 전적으로 남자들에게 있다. 모험과 도박을 좋아하는 그들의 성향, 그들의 기괴한 허영심, 그들의 무책임, 그들의 폭력에 말이다. 여자들이 주도하는 세계는 모든 점에서 남자들이 주도하는 세계보다 나을 것이다. 비록 진보는 더딜지언정, 그 세계는 모두가 행복한 상태를 향해 규칙적으로 나아갈 것이다. 되돌아가는 일도 없이, 그리고 그 모든 것을 한번에 물거품으로 만들어 버리는 일도 없이 말이다.

(179)

 

이런 생각을 하는 미셸은 자신만을 바라보던 아나벨을 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았다. 여자를 만나지 않는다. 적어도 내가 읽은 대목까지는. 환상을 버려.

 

반면 미셸의 이부(異父) 형 브뤼노가 68세대의 정신을 지닌 사람들이 설립한 <변화의 장>이라는 캠프장에 가서 벌이는 일은 또 얼마나 웃기고도 슬픈지 모른다.

개콘의 <깐죽거리 잔혹사>의 성적 버전으로 바꿔 읽으면 웃음이 실실난다. ~빡, ~끝!

나는 소설을 이딴식으로 읽는다, 빡,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