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살인한다 1
조르지오 팔레띠 지음, 이승수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5년 5월
평점 :
절판
제목 <나는 살인한다>는 문법적으로 아무런 하자도 없는 말이다. 그렇지만 어떤 강렬한 스릴러적인 표현으로 이목을 끌어보려는 시도는 자칫 역효과를 줄 수도 있다. 너무 강렬한 것은 호기심을 유발하는 것보다 거부감을 더 느끼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이 문장이 이 작품에서 아주 중요한 메시지라 할지라도 제목은 좀 더 다른 것으로 정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이 작품을 처음 읽는다고 했을때 사람들이 제목의 섬뜩함에 놀라던 것이 생각나기 때문이다. (사실 제목이 문법적으로 안맞는 줄 알고 썼었는데 맞는다고 해서 다시 고친다. 이 점은 모른고 쓴 잘못이 크므로 출판사와 역자분께 사과드린다.)
몬테카를로... 환락과 카지노의 도시... 세금도 없는 나라... 부자가 되려는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곳... 그곳에서 연쇄 살인 사건이 발생한다. 엽기적이고 끔찍한... 아내가 자신의 공무 중 사고로 인해 노심초사하다가 휴양지에서 자살한 충격으로 요양을 온 휴가 중인 FBI가 이 사건에 참여하게 되고 또 딸이 희생된 미 장성도 개인적으로 원한을 갚겠다고 찾아온다.
사실 이 작품은 정통 유로피안 스릴러라고 할 수는 없다. 미국 FBI가 모든 사건을 해결하는데 무슨... 그냥 재미있고 괜찮은 스릴러 작품이다. 인지도 면에서 명성이 없어 보지 않는 사람은 <양들의 침묵>같은 작품을 놓치는 거라고 말해주고 싶다. 재미나 구성면에서도 양들의 침묵에 못지않은 작품이다.
미국의 입김이 어느 곳에서나 작용한다는 씁쓸함이 있지만 그것만 제외하면 오랜만에 제대로 만나는 스릴러 작품이라는 생각이 든다. 색깔은 완전 미국식이다. 그냥 스릴러로 생각하고 보면 된다.
이 작품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은 인간에 대한 연민과 고통의 치유는 같은 고통을 가진 자와 고통을 공유하고 끌어안는다는 점이다. “나는 살인한다.” 살인자의 그 메시지는 마치 <몬스터>에서의 메시지처럼 ‘내 광기를, 내 살인을 멈추게 누가 나를 잡아줘‘ 라는 외침과 같다. 광기는 누구 안에나 있다. 그 광기를 잡을 수 있느냐 없느냐는 개인이 다스릴 문제를 넘어섰다. 이제 국가와 정부, 사회가 나서서 인간의 그런 광기에 대처해야 할 때다. 무작위적 연쇄 살인... 이건 누가가 아니라, 누구나, 어쩌면 내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책이 무척 두껍다. 두 권, 꽉 차는 분량이다. 무겁다. 하지만 재미있어서 아마 그 두께를 실감하지 못할 것이다. 재미있는 작품을 사장시킨 다음 찾지 마시고 꼭 보시길 바란다. 이 책을 더 재미있게 보는 방법이라면 책에 등장하는 노래를 들으며 보는 것을 들 수 있다. 한번 집에 있다면 시도해 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