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래그릇 ㅣ 동서 미스터리 북스 153
마츠모토 세이조 지음, 허문순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4년 8월
평점 :
책을 덮으며 이 작품이 과연 성립이 될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간단하게 어떤 물증 없이 심증만으로 범인을 잡을 수 있을까... 책은 대단히 두꺼웠는데 역시 형사는 개발에 땀나듯이 뛰어 다니기만 할뿐이라는 생각만이 들었다. 도대체 내가 왜 이렇게 두꺼운 책을 읽으려 했단 말인가. 이런 어설픈 끝맺음을 보려고?
마스모토 세이초에 대해 야후 재팬에서 아무리 찾아도 나오지 않던데 이런 이유 아닐까. 이건 그냥 해본 소리고 스포일러에서 벗어나게 한번 따져 봅시다.
한 남자가 살해된 채 발견된다. 범인은 같이 있던 인물 같은데 찾을 수가 없다. 단서는 피해자의 사투리뿐. 형사는 그 사투리와 그들이 나눈 대화 한 조각으로 범인 찾기에 나선다. 성과 없이 무진장 뛰어만 다닌다. 그런데 작품에서 범인이 될 만한 인물을 두 사람 표면에 내 세우고 있다. 누굴까 놀이를 하자는 것인지. 참...
결국 이마니시 형사의 끈질김으로 범인은 밝혀지지만 어떤 확실한 물증도 없는 데 용의자를 체포할 영장이 나왔다는 것이 참 희한하게 생각되었고, 범인이 과거를 숨겼다 한들 그것이 물증이 될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건 영장도 나오지 않을 사건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시대가 그때는 가능한 일이었는지는 몰라도.
제목에서 알 수 있든 허무한 내용이다. 마치 모래 그릇에 작가를 확 쳐 박고 싶은 심정이다. 물론 작가는 이 작품으로 그 시대 상황과 어떤 문화나 정서적 비판을 담고 싶었다지만 중요한 것은 추리 소설로서 재미있고 좋았어야 했다는 점이다.
잔뜩 기대를 하고 들어간 비싼 음식점에서 거한 음식을 시켰더니 맛이 집에서 김치에 물 말아먹는 것보다 못한 느낌이 이 책을 읽은 느낌이다. 왠만하면 이러지 않으려고 했는데 좋았던 점은 이마니시 형사의 활약상뿐이었다. 모름지기 형사는 이래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이 시대니까 봐줄 수 있었지 요즘 이런 작품 나온다면 아마 비판 깨나 받을 거라 생각된다.
<점과 선>이나 <0의 초점>이 훨씬 좋았다. 내심 처음을 보고 <0의 초점>과 비슷하군 생각했었는데 짧기나 했으면 억울하지나 않았을 것이고 이런 것도 한 두 번 써먹으면 그만 둬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뭐, 타계한 작가에게 할 말은 아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