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의 이면 - 1993 제1회 대산문학상 수상작, 개정판
이승우 지음 / 문이당 / 2013년 1월
평점 :
처음 만난 이승우의 소설이다. 그의 소설을 읽으면서 우리 말의 아름다움을 깨달았다는 친구의 평을 나 역시 확인했다. 이렇게 잘 연마되어 가슴을 후벼 파는 문장을 벼려내는 작가라니, 한국문학의 보배라 하겠다.
작품은 무척 독특한 구성을 갖고 있다. 박부길이라는 소설가를 인터뷰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그 박부길의 생 전체를 조명하는 내용이 마치 액자식 소설처럼 이어진다. 박부길의 생이 시작된 작은 섬마을과, 그가 섬마을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원죄의 탄생과, 그후 이방인으로 세상과 조화하지 못하고 그렇다고 등지고도 살지 못했던 서늘한 인생살이가 드라마틱하게 펼쳐진다.
아버지가 어린 그에게 준 상처는 천형 그 자체였다. 그것은 원죄가 되어 어디로 가든지 박부길의 삶을 따라다녔고 그는 결코 자유로울 수가 없었다. 그런 그에게 구원이 되어준 여자가 있었다. 목숨보다 더 사랑했고 그녀 역시 그의 사랑을 받아주었다. 그러나 극복하지 못해서 원죄라고 하는 것일까. 아버지가 남긴 그 폭력성은 그에게서도 고스란히 드러나서 가장 사랑하는 여자를 가장 잔인하게 스스로 떨궈버리게 만든다. 스스로 헤어나지 못하고 벗어날 수 없는 가혹한 운명 같은 느낌마저 들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랑처럼 수월한 것은 없다거나 사랑은 자연 발생적인 것이므로 따로 노력할 필요가 없다는 따위의 안이한 생각에 빠져 있다. 사랑에 실패하는 사람은 많지만, 사랑에 대한 자신의 능력 부족이 실패의 원인이라고 인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사랑을 유쾌한 감정 놀음이나 우연한 몰입쯤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사랑을 그렇게 이해하는 한 배우려 하지 않을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그것은 틀린 생각이다. 사랑에도 기술이 있다.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술들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면, 사랑이야말로 그래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사랑보다 더 소중하고 가치 있는 것은 없기 때문이다. 사랑을 배우지 않을 때, 종종 사랑은 흉기가 되어 사람을 상하게 한다. -258쪽
기억보다 가슴에 남을 무수한 문장들이 있었지만 이 부분이 가장 강렬하게 가슴을 쳤다. 우리는 얼마나 많은 경우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잔인한 흉기를 휘둘렀던가. 가족에게, 연인에게, 또 그밖의 많은 것들에게... '사랑'이라는 단어 대신 관심을 넣어도 좋겠고, 동정을 넣어도 어색하지 않겠다.
작품의 제목이 작품 속에서 박부길의 작품 제목으로 다시 등장하고, 그의 또다른 소설 제목과 비슷한 제목의 소설이 박부길의 연표에 등장한다. 실제로 박부길처럼 신학을 공부한 작가의 이력 덕분에 여러모로 등장 인물이 작가 자신과 겹친다. 얼마나 닮아 있는지, 얼마만큼 반영되어 있는지는 그의 또 다른 작품들을 통해서 확인해야겠다.
책을 읽은지 삼개월도 더 지났는데 좀처럼 리뷰를 쓰기 어려웠다. 짧은 100자 평 정도로 대신할 생각이었는데 아쉬움이 남아 글을 더 보태고 말았다. 어떻게 표현하든 하나만은 분명하다. 이승우의 소설을 알게 된 것은 독자로서 큰 축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