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많을수록 좋다
김중미 지음 / 창비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꽃은 많을수록 좋다, 김중미, 창비, 2016
#김중미 #꽃은많을수록좋다

1. 구독하는 창비에서 수요일에 문자가 왔다. 3월 25일 금요일 저녁 7시 망원역 1번 출구 근처의 창비서교빌딩에서 '괭이부리말 아이들'의 김중미 작가와의 만남에 초대한다는 내용이었다. 참석을 원하는 사람은 회신을 부탁했다.



"참석가능, 2명(꼭 참석하고 싶어요!!)."

그날 퇴근 무렵 신청 확인 문자를 받았다. 연미에게 급히 그날 참석 가능한지 물었다. 통보에 가까운 부탁을 들어 주었다. 회사통근 버스를 타고 주안역에 내려 다시 1호선, 2호선, 6호선. 만남 장소에 도착하니 딱 7시 30분이다.
눈대중으로 50여명 정도 모였고, 아동 문학평론가 한 분과 김중미 작가가 나란히 앉았다. 작가의 첫 인상은 강단 있어 보이는 아줌마였다. 눈이 약간 처진 푸근한 인상이지만 '공부방' 얘기를 할 때는 눈에서 빛이 났다. 마치 어머니들이 자기 자식 얘기할 때처럼 때론 애틋하고, 때론 자랑스럽게 조곤조곤 말씀하셨다.




2. '꽃은 많을수록 좋다'

이 책 제목은 한 아이의 그림에 씌여진 글에서 따왔다. 작가가 직접 그 아이가 그린 그림을 보여주셨다. 보통 아이들은 꽃그림을 그리면 화분 하나에 꽃 두어송이를 그렸는데, 한 아이는 화분에 예닐곱 송이 꽃을 그렸다.

"왜 화분에 여러 송이 꽃을 그렸어?"
"꽃은 많을수록 좋잖아요."

'꽃은 많을수록 좋다' 그 옆에 또 글이 씌여져 있다. '아직 안자란 꽃도 있다'

"아직 안보이는 꽃도 있어요. 그게 나예요."

아름답고 예쁜 꽃, 꽃은 많을수록 좋은 것이다. 어느 글에서 한 송이 장미보다 수많은 꽃이 모인 안개꽃이 더욱 좋다는 글을 읽었다. 또 서양에서 전래된 크리스마스 트리는 항상 한 그루지만 절에 메달린 연등은 하나가 아니라 반드시 여러 개가 줄지어 메달려 있다는 글도 보았다. 이 책은 '모둠', '공부방', '공동체'에 관한 작가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에세이다. 30여년을 인천 만석동과 강화에서 '공부방' 네트워크를 만들어 온 역사가 녹아있다. '공부방'이지만 '공부보다는 공부아닌 것'들을 더 많이 가르치는 곳이다.





3. 책을 읽다가 울컥한 장면이 있었다. 바로 이 부분이다. 작가의 딸이 학업에 집중해야할 시기인데 자기 집 안의 공부방 때문에 신경이 예민해지고 작가와 트러블이 일어났을 때 공부방 출신 삼촌들의 삶을 담으려고 방문한 이후였다.

- 승우네 미용실과 영수네 수리점을 다녀온 뒤, 큰딸이 말했다.
“엄마, 나 이제야 엄마랑 이모 삼촌들이 왜 지금까지 공부방을 하는지 알 것 같아. 오늘 승우 삼촌이랑 영수 삼촌 보면서 삼촌들한테 공부방이 어떤 곳인지 알았어. 그리고 나한테도 공부방이 삼촌들만큼 소중한 곳이라는 것도 알았어.”
딸은 그 뒤 마음이 누그러졌고 여유도 생겼다. 그 힘으로 고3 시기를 견뎌 냈다. 이듬해 봄, 남편은 승우의 결혼식 주례를 섰다. 떨리는 목소리로 남편이 주례사를 시작했다.
“저는 농부입니다. 그리고 승우의 공부방 큰삼촌입니다······.” 58쪽

'공동체, 공부방' 식구들은 실명이고, 아이들은 가명이다. 작가의 자녀들 이름은 실명으로 썼다고 작가님이 말씀해 주셨다. 책을 읽다보면 '자발적 가난'이라는 말이 많이 나온다. 이 부분이 가장 잘 설명해주는 것 같다.
-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은 모두가 가난해질 때까지 나누는 것이고, 끝까지 싸워야 할 것은 몇 사람만이 누리는 풍요이기 때문이다. 108쪽
- 나는 후배들이 공부방 아이들 때문에, 혹은 공부방 아이들을 위해서 자발적인 가는을 선택하지 않기를 바란다. 자발적인 가난과 공동체는 다른 사람을 위해서는 할 수 없는 온전히 ‘나’를 위한 선택이어야만 한다. 120쪽





4. 이 짧은 글에 30여년의 공동체 생활에 대한 감상과 그 날의 작가와의 만남을 다 담을 수 없어 아쉽다. 꽃이 많을수록, 책 읽는 사람이 많을수록, 서서히 그리고 조금씩 세상이 나아질 것이라 믿고 싶다.

- 그해 가을이었다. 오랜만에 공부방 분위기를 바꿔 보겠다고 동일방직 앞부터 인천역까지 걸으며 은행잎을 주웠다.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공부방 벽에 갈색 도화지를 이어 붙여 커다란 은행나무 기둥을 만들고 노란 은행잎을 붙였다. 때마침 창밖으로 진눈깨비가 흩날렸다. 자리가 만든 은행나무를 흐뭇하게 바라보던 가람이가 말했다.
“이모, 밖에 겨울이 와도 우리 공부방은 내내 가을이다요.” 17쪽

- 공부방을 하면서 늘 부딪친 벽은 ‘공부방 이모’로 내세울 권리가 없다는 것이었다. 21쪽
내가 공부방을 시작한 이유, 그리고 30년이 지나도 계속하는 이유는 세상이 지금보다 나아지기를, 선한 사람들이 그 마음을 잃지 않고 살아가는 세상이 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44쪽

- “이모, 난영이가 욕했어요.”
“희준아, 이르지 말고 네가 욕하면 안 된다고 말해 줘야지.”
“아, 그렇지! 내가 말해 줄게요.”
망설이지도 않고 돌아 나가는 아이를 재양 이모가 불러 세웠다.
“근데 희준아, 난영이가 누구한테 욕했어?”
“포도나무한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