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내가 날마다 별 생각 없이 사용하고 있는 이 글자, 한글.

오랜 역사와 고유의 글자를 가진 나라들 중에 한글처럼 만든 시기와 만든 사람이 명확하게 알려져 있는 경우가 있을까?

솔직히 모른다.

하지만 이 글자,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가 얼마나 훌륭한 글자인줄은 안다.

 

사실과 허구가 얽혀 있는 소설을 토대로 했지만 전혀 다른 느낌의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를 보면서 생각했었다.

'세종에 대해 더 알고 싶다.'

왜, 무엇이 그로 하여금 새로운 글자를 만들게 했는지.

 

그래서 읽게 된 '세종대왕실록'

지은이가 여러 실록과 참고자료를 토대로 쉽게 풀이하고,

여러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였던 인물들을 따로 뽑아 실록 내용을 토대로 서술하는 등

겉으로 봤을 때는 부담스러운 책 두께를 잊을 수 있을 정도로 읽기는 편안했다.

 

실록이기에 훈민정음에 대한 내용이 많이 들어있을 것이라 생각했던 건 착각이었다.

실록은 알려진 사실만 일자 순으로 기록한 것이어서 한글이 만들어진 시기와 반포일만 기록되어 있을 뿐이었다.

그러니까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이유는 그 서문의 내용대로 '어리석은 백성이 글을 몰라... 이를 불쌍히 여겼'기 때문이란건데.

훈민정음의 창제 이유를 알고자 했다면 차라리 해례본을 읽었어야 하는 거였나?

뭔가 극적인 내용을 바란 것인가? 드라마를 너무 열심히 봤나보다.

한석규가 너무 그럴싸하게 연기를 잘 하긴 했다.

 

세대를 뛰어 넘는 수 많은 발명품들을 보며 그 창조의 원천은 무엇일까 궁금했다.

실록에는 너무 책을 좋아했다, 필요한 일에 필요한 사람을 쓰는데 있어 귀천을 가리지 않았다, 허물이 있어도 재주가 있는 자는 높여 썼다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황희, 정인지, 김종서, 장영실, 박연 등등 뛰어난 능력 이면에 집안을 단속하지 못한다거나 재물에 욕심이 많았던 점 등,

개인적인 허물도 많았던 인물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맡은 일을 제대로 해낸 것은 세종이라는 능력 있는 임금을 만나서란다.

 

그래서 느낀 것.

성공을 하려면 미리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내 능력을 알아 볼 상사를 만나야 한다, 기회가 왔을 때 능력을 확실히 보여줘야 한다, 집안 단속도 잘 해야 한다, 친구도 잘 사귀어야 한다.

혹시 재수 없이 밀려나더라도 그 곳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언제 다시 기회가 올 지 모르니까.

 

그리고... 인재를 얻기 위해서 생각해 두어야 할 점.

 '너무 깨끗한 물에서는 고기가 살 수 없다.' (아아 하지만 난 깨끗한 물에서 살고 싶단 말이다~~)

아무리 재주가 좋아도 인간성이 별로면 가까이 하고 싶지 않은 '소인배적 사고'로 일관하는 나는

그래서 능력있는 관리자가 되지 못하는 것인가 싶다.

바로 얼마 전에 읽은 책도 내용이 잘 생각나지 않아 버벅대면서 감상을 적고 있는 지금,

책이란건 많이 읽기만 해서는 소용이 없고 작게든 크게든 써먹어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아, 한살이라도 젊었을 때 좀 더 부지런히 책을 읽는 건데......

 

실록에서 해소하지 못한 호기심을 이 책으로 풀어보려 한다.

세종대왕실록만큼 두껍다. -_-;;

드라마에서는 연일 왕, 왕세자, 왕세제(왕 동생)의 로맨스가 판을 치고,

어차피 드라마처럼 왕하고 엮어질 일이 전혀 없는 현실에서,

나는 왕에 대해 읽으며 그 지혜를 빌려 내 위태한 관리자 자리나 보전해 보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새 장일순의 일화를 모은 글 '좁쌀 한 알'을 읽고 있습니다.

원주에서 태어나 원주에서 살다가 원주에서 돌아간 분이라고 합니다.

책을 읽기 전까지는 어떤 분인지 잘 몰랐습니다.

책을 읽어가다보니 내가 늘 만나고 싶어하던 그런 분이었습니다.

내 삶의 스승 같은 분.

읽다가 마음을 치는 글이 있어 옮겨봅니다.

 

밥집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이렇게 말했다.

" 자네 집에 밥 잡수시러 오시는 분들이 자네의 하느님이여.

그런 줄 알고 진짜 하느님이 오신 것처럼 요리를 해서 대접을 해야 혀.

장사 안 되면 어떻게 하나, 그런 생각은 일절 할 필요 없어.

하느님처럼 섬기면 하느님들이 알아서 다 먹여주신다 이 말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혼의 비타민' 이라는 책의 첫 장에 체로키 노인 이야기가 나옵니다.

 

노인이 아이에게 이야기를 해 줍니다.

 

사람 마음에는 항상 두 마리의 늑대가 싸우고 있다고.

 

한 쪽은 미움, 분노, 시기, 질투, 복수 같은 나쁜 늑대,

 

한 쪽은 기쁨, 사랑, 희망, 평화 같은 좋은 늑대.

 

아이가 묻습니다.

 

둘이 싸우면 누가 이기나요?

 

"네가 먹이를 주는 놈이 이긴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겨레신문에 연재된 '홍은택의 아메리카 자전거여행'에 실린 글입니다.

자전거로 미국 서부에서 동부로 여행하면서 만난 엘리슨이라는 사람이 쓴 글이랍니다.

음미할 만한 내용이라 옮겨봅니다.

 

 

바라는 것(Desiderata)

 

소란스러움과 서두름 속에서도 평온함을 유지하기를.

정적에 싸인 곳을 기억하기를.

가능한 한 굴복하지 않으면서도 모든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기를.

당신의 진실을 조용히 그리고 분명하게 말하기를.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심지어 아둔하고 무지한 사람들에게도 귀를 기울이기를.

그들도 그들 나름의 이야기가 있으니.

사납고 나쁜 사람들을 피하기를. 그들은 영혼을 갉아 먹으니.

스스로를 다른 사람과 비교한다면 공허해지거나 잠시 기분이 나아질 뿐.

세상에는 항상 당신보다 낫거나 못한 사람들이 있거늘.

앞일을 계획하는 것만큼 지금까지 이뤄낸 것들을 음미하길.

아무리 미천한 일이라도 그것이 당신이 할 일이라면 그 일에 흥미를 잃지 않기를.

시간에 따라 운은 변할 수 있지만 그것은 변하지 않는 당신의 천직이 될 것이니.

사업을 할 때는 조심하기를. 세상에는 사기가 판치고 있으니.

그러나 이것 때문에 좋은 일들에 대해 눈감는 일이 없기를.

많은 사람들이 높은 이상을 위해 분투하고 있고 영웅적인 노력들로 세상은 가득 차 있으니.

당신 자신이 되기를. 관심이 있는 것처럼 가장하지 말기를.

사랑에 대해 냉소적이지 말기를. 아무리 무미건조하고 정나미가 떨어지는 일들이 벌어져도 사랑이야말로 잔디처럼 연중 끊이지 않는 것이니.

젊음의 것들을 우아하게 단념하면서 세월의 흐름에 순응하기를.

갑작스런 재난에서도 당신을 지켜줄 영혼의 힘을 키우기를.

그러나 상상의 것으로 스스로 괴롭히지 말기를.

두려움의 대부분은 피로와 외로움에서 싹트나니.

엄격한 자기수양을 넘어서 자신에게 온화하기를. 당신은 우주의 자녀이니.

나무와 별보다 못한 존재가 아니니. 당신은 여기에 있을 권리가 있거늘.

그리고 당신이 의식하든 못하든, 우주는 마땅히 그래야 하는 대로 끝없이 펼쳐지고 있으니.

그러므로 신과 융화하길. 신이 당신에게 어떤 모습이든 간에.

그리고 삶의 시끄러운 혼란 속에서 당신이 무엇을 열망하고 무엇을 위해 다투고 있든 간에 당신의 영혼과 조화를 이루길.

세상은 거짓과 허영과 무너진 꿈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아름답거늘.

조심하기를. 행복하기 위해 분투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