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조금 전까지 나는 『눈먼 자들의 도시』를 여행하고 오는 참이다. 단 한 사람을 뺀 도시의 모든 사람들이 눈이 먼, 혼란과 무질서와 더러움과 굶어 죽어 지독한 썩은내가 진동하는, 굶주린 개와 고양이가 죽은 시체를 물어뜯는, 그런 도시를 여행한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 전혀 아니다. 오히려 머리털이 쭈뼛 서는 긴장감과 지독한 더러움과 냄새를 참아내야 하는 고통을 수반하는 고난의 여행이다. 난 지금 그 여행으로 충분히 지쳐있으면서도 이렇게 즉각적으로 리뷰를 끄적이고 있다. 왜냐하면 아직 그런 긴장과 괴로움은 해체되지 않았으며, 자칭 눈 뜨고 있다는 나라의 사람들에게 눈먼 자들이 주는 어떤 일침을 가하기 위해서.

  자동차를 몰고 집으로 가던 도중, 횡단보도 앞에서 빨간불에 멈춰선 김에, 보는 능력도 멈춰 서버렸다. 첫 번째로 눈이 먼 남자를 시작으로 한편 그를 도와주면서 그의 자동차를 훔친, 그러나 그의 눈멂까지도 훔쳐버린 눈먼 자동차 도둑. 첫 번째로 눈먼 남자를 진찰한 의사, 그에게 진찰받은 아이, 노인, 검은 색안경을 쓴 여자. 이들은 눈 멂은 전(全)도시적으로 전염되어버린다. 이른바 ‘눈먼 자들의 도시’가 된다. 그러나 그 도시에 단 한명의 눈뜬 자가 있으니, 의사의 아내는 이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 이단아가 된다. 모두가 눈이 멀었을 때 단 한 명의 눈뜬 자는 타자일 수밖에 없겠다.

 

  주제 사라마구는 이 소설에서 무엇을 말하려고 할까? 비교적 간단해 보인다. 우리가 눈을 떴다고 우쭐대지 마라. 너희들의 눈뜸은 눈 멂만 못하느니라. 우리가 확실히 이 세상을 본다고 여기지만, 본질적으로 우리는 온통 하얀 백색의 세상을 보는 것이라고, 너희가 보는 것은 이 세상의 진실, 이 사회의 본질, 그리고 우리 자신의 본모습을 지극히 하얗게 바라보는, 백색 악의 질병, 곧 눈멂의 상태에 갇혀있다고 말하는 것은 아닐까? 그러니 눈 크게 뜨고 우리 현재를 잘 살펴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눈먼 자들의 도시』는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 눈뜬 자들의 삶의 모습과 세상을 지극히 사실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다만 눈뜸과 눈멂의 차이일 뿐이다. 그 차이를 부각시킨다면 ‘환상적’ 리얼리즘이라고 하면 되겠다. 다만 환상적이든 그렇지 않던 간에, 리얼리티는 이 소설에 살아있다. 우리 눈뜬 자들의 도시는 여기 『눈먼 자들의 도시』에 올곧이 그려져 있다. 너무나도 리얼리티하게 말이다.

 

  눈이 먼 사람들은, 그들의 눈멂이 위험한 전염병으로 인식되는 순간, 그들은 통제되어지고 감시되어진다. 이것은 곧 이 사회의 눈뜬 자들이 살아가는 방식에 다름 아니다. 우리 눈뜬 자들은 이 사회적 정치적 체제 속에서 감시되고 통제되어진다. 오늘도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나라의 외곽에서는 총을 들고 경계를 서고 있다. 다만 그들은 우리의 적으로부터 우리를 지킨다고 거짓말 치고 있을 뿐이다. 이 통제된 공간 안에서 벌어지는 눈먼 자들의 비인간적, 비윤리적, 비도덕적, 비인격적, 수많은 非적 행위들은 또한 우리 눈뜬 자들의 공간에서도 우리가 알게 모르게, 오히려 눈뜬 자들의 공간에서보다 더 잔인하게, 더 다양하게 자행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주제 사라마구의 이런 의식 이면에는 인간의 본질적 삶의 방식 혹은 진실을 드러내고 있다. 이를테면, 첫 번째로 눈먼 남자의 자동차를 훔친 도둑이 눈먼 자들 중에서 가장 첫 죽음의 희생자로 기록되어짐으로써 그 죗값을 톡톡히 치르고 있다는 점이 그것을 잘 보여준다. 인간적 본질, 곧 인간적 윤리의식과 도덕의 본질은 바로 이런 보편적 권선징악에 있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죽음의 순간에 개과천선의 태도를 보인다. 이것 또한 보편적 개념의 윤리의식이라고 우리는 생각한다.

 

  이 소설에서 주의 깊게 볼 대목 중의 하나는 바로 눈먼 자들의 눈먼 자에 대한 약탈과 강간이 아닐까 한다. 눈먼 재소자들에 대한 눈뜬 군인들의 무차별적 총알 세례와는 또 다른 방식의 우리 사회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담고 있다. 인간의 지배욕과 탐욕, 그리고 모든 비인간적 요소를 작가는 이 상황에 담아 재현하고 있다. 인간의 인간에 대한 비인간적 죄악의 모습, 현대 사회체제에서 자행되고 있는 이러한 약탈과 강간을 우리는 이 소설적 사건에서 축약과 상징적, 비유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눈뜬 자들의 세상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을 사라마구는 말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눈먼 자들의 도시』는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 다름 아니라는 얘기인데, 그렇다면 거기에는 어떤 희망적 요소를 가지고 있을까? 거두절미 하건대, 주제 사라마구는 무엇보다 의사의 아내의 희생적 행위와, 인간적 연대와 유대를 그 희망, 곧 인간성의 회복과 인간 본질의 회복의 희망적 요소, 원인자로 보고 있다. 그렇다. 이 아가페적 사랑의 희생과 인간관계의 연대와 유대는 이 소설의 다양한 장면에서 보이는 약탈자와 지배자들, 탐욕과 권력의 이합집산과는 그 본질적 성격이 전혀 다르다. 그것은 생명의 연대요 유대인 것이다. 그것이 있기에 우리 눈뜬 자들의 도시에는 아직 희망이 있다. 우리 눈뜬 자들의 이 도시 어딘 가에도 ‘의사의 아내’는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소설에서 또 하나 흥미로운 것은 작가의 개입이다. 적당한 용어를 찾자면 편집자적 논평 비슷한 것도 삽입되어 있는 것 같다. 이 소설의 끝자락에서 첫 번째로 눈먼 남자의 집을 찾아가서 만난 작가인 눈먼 남자가 바로 주제 사라마구의 현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것이 아니라면 이 장면은 다소 개연성이 부족할 수 있다. 왜냐하면 눈이 먼 세 가족이 움직였다면 이산가족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함께 움직여야 마땅하건만, 눈먼 작가 남자만 남과 여자인 아내와 딸만 움직이고 있다는 점에서 개연성을 얻기가 어렵다. 결국 작가라는 인물과의 만남은 이 소설에서 불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편집자적 논평의 성격을 띤다면 얘기는 다르겠다.

 

  이 장면에서 작가라는 인물은 주제 사라마구의 가면이다. “내가 여자들이라고 말한 사람들은 내 아내와 두 딸이오, 내 말은 언제 여자들이라는 말을 쓰는 게 좋은지에 대해 내가 알아야 한다는 거요, 나는 작가요, 우리는 그런 것들을 알아야 하는 사람들이지요.” 이런 작가라는 존재에 대해 낯간지러운 찬사를 보내기도 한다. “첫 번째로 눈이 먼 남자는 기분이 좋았다. 상상해 보라, 작가가 내 아파트에 살고 있다니”. 주제 사라마구는 작가라는 인물 설정을 통해 작가라는 존재의 본질적 모습에 대해 살짝 언급한다. “이제 아무도 그걸 읽을 수 없소, 따라서 그 책들은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소.”라고 말하고 있는 것은 눈이 먼 독자들에게는 더 이상 작가라는 존재는 의미 없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 말은 오늘 우리 눈뜬 독자들의 현실에도 적용되는 사라마구의 쓴 소리일 수도 있다. “나는 내 집에 이성에 귀를 기울이고 싶어 하지 않는 사람들이 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소”, 결국 이 세상에 이성이 없는 비인간들에게 작가 주제 사라마구는 의미 없는 존재가 되어갈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엿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작가란 삶에서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인내나 얻는 사람”이기에 그는 여전히 작가적 삶을 위해 인내하고 있는 것을 지도 모른다. 이런 소설을 통해 세상 사람들, 곧 눈을 뜨고 있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이성을 되찾을 수 있도록 호소하면서 말이다.


  “지금 이대로 살아가자는 거요, 지금은 우리 둘 다 살 수 있는 곳을 가지고 있소, 나는 내 아파트가 어떻게 되는지 계속 주의 깊게 지켜볼 생각이오, … 방금 또 하나의 해결책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소, … 당신들이 이곳으로 들어오고, 우리는 이곳에 당신네 손님으로 사는 거요, 이곳은 우리 모두가 살 수 있을 만큼 넓으니까”


  여기에는 작가의 주제의식이 담겨 있다. ‘이대로 살아가자’는 것은 곧 의사의 아내를 중심으로 한 7인의 연대와 유대를 유지하자는 것이다. ‘또 하나의 해결책’은 또 다른 연대와 유대를 이루고 살아가자는 것이 된다. 곧 첫째도 연대요, 둘째도 연대하는 삶의 방식이다. 이것이 사라마구가 말하고 있는 이 눈 떠 있다고 착각하는 우리 눈먼 현대인들에게 말하는 본질적 눈 뜸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 하나의 재미있는 요소는 이런 작가의 개입이 이 소설의 리얼리티, 혹은 온 도시의 사람들이 눈이 멀었다는 비현실적인 논리를 독자들로 하여금 보다 현실화 시켜 받아들이도록 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사실 나는 지금 책을 쓰고 있소”라고 말하면서 마치 작가 자신이 이 환상적 현실을 경험하여 진술하고 있다고 여기게끔 독자들을 유인하고 있는 것이다. 이 함정은 “작가란 다른 사람들과 똑같소, 모든 것을 알 수도 경험할 수도 없소, 따라서 물어보아야 하고 상상해야 하오.”라는 서술을 통해 살짝 피해갈 수 있는 여지를 주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여기 작가는 이 소설의 주인공들에 의해 쓸려면 똑바로 쓰라는 호통을 듣기도 한다. “말을 알아야 할 의무가 있어요, 따라서 그런 형용사들은 우리에게 아무 쓸모가 없다는 걸 아실 거예요”라고 소설 똑바로 쓰라는 호통이다.

 

  이상의 것들 이외에 이 소설은 재미있는 요소들은 많이 가지고 있는 작품임에 분명하다. 그러면서도 인간의 본질적 문제의식, 그리고 보편적 문제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보기 드문 수작인 것도 사실이다. 또한 작가의 문체에서도 독자로 하여금 소설적 상황을 보다 사실적으로 혹은 몰입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문장부호의 극소적 사용이다. 특히 대화의 상황에서 대화를 나타내는 “”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다만 반점만을 찍고 있는 점이다. 문자 기호 자체가 시각성에 기반을 두고 있어 이 소설적 상황과는 적절한 배합을 이루지 못하는 성격이랄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문자기호의 시각적은 극단적으로 해체시키면서, 말하자면 대화를 문장부호를 사용하여 처리할 경우의 시각성을 없애버림으로써 소설적 상황에 독자로 하여금 일부분이나마 체험하게끔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은 작가의 문체적 특성에 기인하면서 작가의 주도면밀한 소설적 구성이라고 볼 수 있겠다.

 

  여러모로 좋은 작품을 읽는 기쁨이 남는다. 우리 사회에 대한 주제 사라마구의 환상적 리얼리즘의 면모는 이 작품 하나만을 읽어 본 나에게 매우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그것은 주제 사라마구의 다른 작품들을 사라, 마구! 곧 마구 사서 읽으라는 암묵적 강요로 작용하기에 충분하리라. 우리 사회의 내면적 눈먼 장님들인 우리들에게 세상을 보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인간의 본질과 본성을 회복하여 진정한 눈을 뜨도록 요구하고 있는 작품이 바로 이 소설 『눈먼 자들의 도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