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 파트의 주목 신간을 본 페이퍼에 먼 댓글로 달아주세요.

참, 뭐라할 수 없을 정도로 좋은 가을날이 지나가고 있다.  

이제 곧 겨울, 아득하게 느껴져봐야 어느새 턱까지 치민 세월들을 어찌할까나...  

소년은 쉬이 늙는데, 중년은 더 빨리 늙는 이 세월의 역설이라니. 느느니 푸념이요, 먹자니 나이뿐이로다!!

 

  1. 이 책은 어쩌면 '윤리학 서적'에 포함되어야 할지 모른다.  

우리가 내냍는 이산화탄소가 지구를 비닐하우스처럼 덥힌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고등학생때였다. 그리고 인간의 삶이란 것이 지구의 것을 조금씩 소비하면서 살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을 했더랬다. 

지금은 어느 누구도 기후변화와 석유의 고갈을 의심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어느 누구도 심각하게 다음 세대 이 후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지금은 과학서가에 꽂혀 있는 이런 책들이 윤리학 책들 사이로 옮겨질 때 쯤 나는 참으로 무책임했던 기성세대의 일원으로 기억될지도 모른다.  

그래서 지금이라도 지구-윤리와 관련하여 공부를 해야 한다. 나부터. 

 

 

 

2. 일종의 유행상품에 이름을 달다 

  

우리가 복지국가를 말하고자 할때 굳이 그것의 주인을 찾아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는 편이지만, 그래도 비그포르스라는 낯선 이름을 들었을 때 이사람이 궁금하다고는 생각했다. 잠정적 유토피아로서 복지국가와 영원히 잠정적인 유토피아가 되어버린 현대 복지국가의 명암은, 어쩌면 정책에서부터가 아니라 사람에서부터 시작해야 할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모두가 복지국가를 바란다고 해서, 모두가 똑같이 비그포르스가 될 필요는 없다. 

 

 

 

3. 제국과 다중, 그 세번째 악장 

 제국에서 다중으로, 그리고 다중과 제국으로. 

21세기는 바야흐로 네그리의 시대다. 수많은 논쟁 속에서 끊임없이 등장하는 현존하는 정치이론가이자 활동가. 

제국을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다중이, 합쳐진 제목처럼, 수미일관하게 연결될까? 제국을 읽고도, 다중을 읽고도 해결되지 않았던 궁금증이 풀리게 되려나.

 

 

 

 4. 태초에 인간은 줌 이었다.

 

 소유권이라는 것이 종교의 경전처럼 여겨지는 시기는 불과 200년밖에 되지 않았다. 그 전에는 세속의 욕심이 천국으로 가는 여정에 짐이 된다고 여겼던 시절이 있었고, 그 전에는 물질을 줌으로서 비물질적인 것을 얻는 시기가 있었다. 

이 책은 '증여'를 다루는 거의 모든 책에서 언급되는 책이지만, 정작 그 본 내용을 볼 수 없었던 책이었다. 나왔으니 다행이다. 

 

 

 

5. 부처는 부디스트가 아니다

 

사회사상은 이즘으로 변하면서 신도를 얻지만, 태초의 심상을 잃는다. 아마 대표적인 것이 이땅의 기독교일 것이다. 예수를 믿는 사람은 많지만 정작 누구도 예수가 되려고는 하지 않는 모순. 

토막글을 통해 박노자 선생이 전해준 부처의 모습도 그러했다. 부처는 호국과는 상관이 없으며 살생과는 더더욱 상관없고, 가진 것과는 철저하게 결별했지만 불교는 그렇지 못하다. 

부디스트가 아닌 부처의 모습이 어떨지, 박노자 선생이라면 기대할만 하다. 

 

첫 눈이 오면, 지난 세월의 무게만큼 맞아주리라. [끝]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신간평가단 2011-11-09 1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체크완료했습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