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가는 문]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책으로 가는 문 - 이와나미 소년문고를 말하다
미야자키 하야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앞에 놓인 사람의 운명은, 책으로 가는 문을 발견하느냐 그렇지 않으면 영영 문틈조차 보지 못하느냐로 결정된다. 그 문을 발견하지 못한 사람은 결코 책 속으로 들어갈 수 없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많은 책을 읽고, 서가가 가득 차있어도 그 문을 통하지 않은 사람은 어떤 책도 제대로 읽지 않은 것이다. 아마도 그건 내가 책으로 가는 문을 발견해본 운명이기 때문에 알아보는 것일 테다. 내가 그 문을 발견한 것은 책에 대한 아무런 욕심도 없던 시절이었다. 굳이 책을 읽어야 하는가, 라는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시절이었다. 책으로 가는 문을 통해 들어가면 책을 '보는'일은 사라지고 책을 '느끼는'일만이 남게 되므로, 책을 봐야지, 봐야지 하고 거듭 강조할수록 책과 교감하는 그 문은 희미해지는 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책으로 가는 문보다 책 언저리에서 맴돌며 책의 효용을 따지는 자신을 발견했다. 그런 나에게 도착한 알라딘의 선물. 이 하얀 책이 다시 책으로 가는 문을 열어준다면 좋을 텐데.

 

 

미야자키 하야오, 아주 오래 전부터 그의 애니메이션에 빠져 있었다. 고등학교 때 친구들은 원령공주와 나우시카에 사로잡혀있었다. 남자 아이들은 날씬하고 용감한 그녀들에게, 여자 아이들은 어릴 적 보던 세일러문이나 천사소녀 네티와 영 다른 우아한 그 분위기에 매료되었다. 나도 그 중 하나였다. 그리고 스튜디오 지브리의 애니메이션이 나올 때마다 행복한 마음으로 극장으로 갔다. 그러면서도 단 한 번도, 이것이 '어린이'를 위한 '만화'라고 생각한 적이 없었다. 어린이만을 위한 만화가 아니었기 때문이겠지만, 그의 에세이 <책으로 가는 문>을 읽으면서 비로소 알아챈 건, 순전히 그는 그 자신을 위한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있었던 게 아니었던가 하는 점이었다. 그 안에는 내성적이지만 상상속에서 끝없이 용감해지는 어린아이가 있어서, 그 아이가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책을 썼던 건 아닌가.

 

 

미야자키는 이와나미 소년문고 50선을 추천한다. 사실 이 중에는 읽지 않은 책, 앞으로 읽어보리라 마음 먹은 책도 포함된다. 잘 알지도 못하는 직장동료를 친구에게 소개팅 시켜주는 것과 같은 걸까. 나 역시 읽지 않은 책을 먼저 사랑해버리는 경우가 잦다. 모든 것을 안다고 사랑에 빠지는 것이 아니니까, 그의 50선은 다분히 인간적인 선택일지도. 이 중에는 그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 것도 있다. 오래 전 착상만 하고 키우지 못한 <마루 밑 바로우어즈>가 <마루 밑 아리에티>로 탄생한 비화도 들을 수 있다.

 

 

"곧바로 애니메이션의 원작이 될 수 있는 책은 좀처럼 없습니다.

그런데 평생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기 어렵겠다고 생각한 작품이었는데 '지금이라면 될지도 몰라'하는 시기가 오는 일도 있습니다. 수십 년에 한 번뿐인 바로 그 기회이지요.

<마루 밑 바로우어즈>를 만들기로 결심한 것은, 이제 어른들 아니 인간들이 마치 세계에 대해 무력한, 소인 같은 존재가 되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107쪽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그냥 '지금이라면 될지도 몰라'하는 시기가 꼭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인생에 몇 번 찾아오지 하면서 책과는 전혀 상관없는 지나간 일들이 떠오른다. 사실 이 책의 매력은, 거기에 있다. 자꾸 지나간 것들을 끌어당긴다. 이 할아버지가 정교하게 과거를 기획하고 상상하고 그려내서 사람들에게 마법을 거는 일이, 책에서도 이루어지는 것이다. 책과 관련된 여느 에세이와 달리 책 읽기 자체를 강조하지 않는 느긋한 분위기가 어느새 마음을 여유롭게 만든다. <까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은 아무리 유명한 고전이라 해도 나와 맞지 않아, 읽을 수가 없어, 할아버지가 된 지금까지도, 이렇게 말하는 할아버지를 상상해보라. 얼마나 기분 좋은지.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은 무릎을 꿇고 앉은 듯한 마음으로 읽었습니다만 <지하생활자의 수기>는 나 자신이 해부되는 것 같아서 읽어나갈 수가 없었습니다. 숨조차 쉴 수 없는 느낌이었지요.

필독서일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까지는 나아가지 못했습니다. 비슷한 경험이 몇 차례 있었고, 결국 저는 어른들 소설에 맞지 않는 사람임을 절감했습니다. '사람들은 어떻게 이런 잔혹한 이야기를 읽을 수 있는 걸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어린이문학 쪽이 훨씬 더 기질에 맞았던 것입니다.

82쪽

 

 

일본 저자들이 보여주는 이 '포기하는 매력'을 발견할 때면, 나는 갑자기 행복해진다. 지금 나에게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것을 보편적인 가치에 얽매여서 붙들고 있을 필요가 없다는 걸 문득 깨닫기 때문이다. 꼭 모두에게 잘 보일 필요는 없다. 필독서 따위 안 맞으면 못 읽는 거고, 두어 번 먹어봤는데 도저히 못 먹겠으면 그 다음부터는 안 먹어도 되는 것이다. 몇 마디 했는데 안 맞아서 다음에 만나기 싫은 사람이면 되도록 안 만나도록 하고, 느낌 좋은 사람이면 더 자주 연락해서 그 사람을 보는데 시간을 더 보내면 되지 않나, 이런 단순한 해답을 얻곤 한다. 그래서 책읽기 따위 강요하지 않는 멋진 어른이 되야겠다는 결심도 하게 된다. 어쩌면 일본에서 나고 자란 작가들이 이런 식의 '포기'에 익숙한 건 그들의 지질학적인 운명과 관련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미야자키 하야오는 포기할 수 없는 한 가지를 놓치지 않는다.

 

 

책을 읽어야 생각이 깊어진다는 말은 생각하지 말기로 합시다. 책을 읽는다고 훌륭해지는 것도 아니니까요. 독서라는 것은 어떤 효과가 있다든가 하는 문제가 아니니까요. 그보다는 어렸을 때 "역시 이것"이라 할 만큼 자신에게 아주 중요한 한 권을 만나는 일이 더 소중하다고 생각합니다.

142쪽

 

 

역시 이것,

그런 책을 또 하나 만났으니 기쁘다. 나에게는 평생을 걸쳐 이루고 싶은 꿈이 있는데, '역시 이것'이라 할 만한 책들로 책장을 채우고, '역시 이것'이라 할 만한 옷들로 옷장을 채우고, '역시 이것'이라 할 만한 사람들을 만나 시간을 보내고, '역시 이것'이라 할 만한 글을 써보는 것이다. 아마도 이 책도 '역시 이것'이라 할 만한 책으로 책장에 있지 않을까.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