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주 목사의 대학 중용 읽기
이현주 지음 / 삼인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남명 조식 선생은 제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 공부의 덕목을  "쇄소응대"라고 했다". 비들고 청소하며 손님맞을 비천한 일을 하는 것이다.즉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공부보다 일상에서 부터 자신의 마음을 닦아 밝은 덕을 찾는 것이 으뜸이라는 뜻이다."쇄소응대의 도'도 제대로 이루지 못하면서 어떻게 바른 정치를 이야기하고 하늘의 도를 이야기하느냐는 것이다.남명 선생은 그래서 조선 철학사의 가장 큰 논쟁이라고하는 '이기논쟁'을 쓸데없는 관념논쟁이라는 식으로 비판했다.또한 이 논쟁에 뛰어든 최고의 유학자 퇴계를 은근히 질책하기도 했다.남명의 시각으로 보자면 부질없는  논쟁에 퇴계가 뛰어듦으로서 논쟁에 불길을 확 지펴버린 것이다.이러한 남명은 임종을 앞두고 마지막 가르침을 구하는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너희들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다만 이제 실천하는 일만 남았을 뿐이다." 평생을 의와 실천궁행에 힘쓴 노학자의 마지막 가르침치고 너무 단순해보인다.하지만 그 안에 그가 가르친 모든 철학이 들어 있기도 하다.

<대학>은 남명 조식의 공부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했던 책이다.영남 우도 최고의 유학자라는 남명 역시 평생 <대학>공부를 하면서도 그 뜻을 전부 알지 못한다고 스스로를 책했다.그런데 사서삼경을 이제야 겨우 다 읽어 본 내가 어찌 <대학><중용>의 깊음을 이해하겠는가...더듬 더듬 한자 따라가다 한글을 따라가다 하면서 어찌 어찌 읽기는 했다.하지만 알 수 없다.그나마 이 책의 저자가 얄팍한 한마디 응원을 해주어서 기죽지는 않는다. "반드시 대청봉을 밟아야 설악산에 들었다 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대학><중용>이 설악산이라면 아마 나의 이번 일독은 설악산 매표소에서 표 끊은 정도일게다.표 끊으니 멀리 산봉우리는 보인다.

<대학>의 첫구절은 대학이 말하는 도를 이야기한다. '대학의 길은 맑은 마음을 맑히고 사람들과 하나 되고 지극한 선에 머무는데 있다'  흔히 말하는 대학의 삼덕목이라는 명명덕,친민,지어선 이다.마음은 원래 맑은 것이다.하지만 마음에는 때가 끼어서 그 맑음을 유지하지 못한다.명명덕은 맑고 맑은 그 마음을 얻으라는 것이다.친민은 그렇게 맑은 마음이 나 혼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그렇게 하여 아무런 사욕이 없는 선의 상태에 도달하는 것이다.대략 책의 내용을 정리하면 이렇다.더 깊은 뜻이 있겠지만 <대학>의 내용을 전부 정리하기에는 내 능력이 부족한 고로 이쯤에서 말자.<대학>에는 유명한 말이 또 하나 있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 .. 신문칼럼에서 정치인들이 집안 단속못하고 일가친적 비리가 터져나오면 기자들과 칼럼 교수님들이 많이 예를 드는 문장이다. 집 단속도 못하면서 무슨 국정운영이냐는 식의 감정에 호소하는 기사들로 끝을 맺기마련이다.하지만 '수신제가치국평천하'가 일의 순서를 굳이 밝혀서 그런 것이지 반드시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뜻은 아니다.신영복 교수 역시 <강의>에서 이 점을  강조하고 있다.신영복 교수는 관계론 차원에서 고전을 파악했기때문에 '수신제가치국평천하' 역시 각 관계의 연쇄로 보고 있다.단계론적 완성으로 파악하는 것보다는 훨씬 옳은 이야기처럼 들린다. 물론 대학은 일의 순서를 강조한다.본과 말이 전도되어서는 지극한 하늘의 도를 이룰 수 없다는 것이다.본과 말은 일머리 순서로 볼 수도 있지만 핵심과 주변으로 볼 수도 있다.주변이라고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나무에 비유하여 본이되는 것은 뿌리이고 가지와 과일은 말이된다. <대학>은 이 순서의 중요성을 이야기할 뿐 어디에 무조건 본이 더 큰 비중이 있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치우친 나는그래도 본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싶다. 실제 삶의 양상에서 나타나는 일들은 여러 복합적인 요소들이 섞여있다.그래서  무엇이 진짜이고 무엇이 가짜인지 무엇이 참이고 무엇이 거짓인지 알기가 어렵게 만들어져 있다.<대학>에서도 강조하는 '격물치지'가 필요하다.'격물'은 사물을 깊이 연구하여 그것에 가서 닿는 다는 말이다.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깊은 관찰과 응시가 필요하다.그러면 사물의 본에 닿게 된다는 것이다.삶의 구체적인 모습으로써 본은 의외로 간단할 때가 많다.핵심은 심플하다는 것이다.평택 대추리... 보상이 얼마고 누가 누구를 때렸고 한미관계의 역할이 어떻고....다 말에 해당한다.사람 사는 땅에서 그 고향 사람이 농사 짓고 싶다는 것이 본이다.그 사람들에게 돈 몇 억 주고 나간다고 그 사람들이 살아갈 수 없음이 본이다.미국이 한반도에서 언젠가는 나가야 하는게 본이다. 거기서 시작해야 된다.하지만 이 땅은 본을 잃은지 오래.... 이민가고 싶게 만든다.

<중용>은 사실 <대학>보다 훨씬 이해가 안된다.중용을 중간가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진 않았지만 그런 치우치지 않는 법을 이야기하는 책이 아니다.이현주 목사의 말을 빌자면 <중용>의 중은 속에 있어서 보이지 않지만 겉에 있어서 보이고 들리고 만져지고 경험되는 용과 두루 융통되는 것이라고 한다.무슨 말인지 문맥도 어색한게 아리송하다.그나마 뒤에 설명은 조금 낫다.중은 천이요 용은 인이다.즉 중용은 하늘과 사람사이의 관계에 대한 철학이다.중용 일기 첫장부터 만만치가 않다.이 목사는 계속 말한다. 중과 용의 도를 이어주는 것이 성이다.'성을 모르고는 중용을 안다고 할 수 없다' ......

문제는 <중용>을 덕지 덕지 겨우 읽었는데....'성'에 대해 감이 안온다는 것이다.여기서 말하는 성은 고등학교 윤리시간에 배운 그 '성'과 '경' 할 때 그 '성'이다.그 때나 지금이나 '성'은 참으로 어려운 개념이고 중언부언하는 개념이다.유학에 여기 저기서 '성'은 무엇이다라고 이야기하는 걸로 안다.개 중에는 그런가 보다 하는 것도 있고 또 어떤 건 이게 뭐야 하는 것도 있다...... 아....쓰면서도 <중용>에서 말한 바를 채 10%도 이해하고 있지 못한 듯 하다.이 <중용>이 중간 간다는 중용은 아니란 것 하나는 확실하게 안다..그 중간가는 중용에 대해 이현주 목사의 명쾌한 답은 인상적이어서 자주 써먹을 수 있을 듯하다.'집기양단'이란 말을 설명하면서 든 예이다. '집기양단'은 양쪽 끝을 잡는다는 말이다.즉 어디에 치우지지 않게 한다는 것이다. 이현주 목사의 중간-중용과 다른-즉 평등에 대한 빛나는 예가 시작된다. 대략 이런이야기다.

여기 1미터짜리 막대기 자가 있다.0이라는 숫자가 새겨진 눈금에서 100까지 있다.양 쪽 끝을 동시에 들어올리는 길은 50에을 잡아서 끌어올리는 것이다.무게중심이니까....만일 그 막대기가 한 쪽이 굵고 한 쪽이 가늘다면 굵은 쪽으로 치우쳐야 중심을 잡을 수 있다...(야구 방망이 생각하면 되겠다) 따라서 겉보기에 한 쪽으로 치우치는 것이 실제로 중심을 바로 잡는 것일 수도 있다.

어디가서 사회적 문제에 기계적 중립의 예를 들면서 어줍지 않은 객관 객관,중립 중립...이런 이야기 할 때 이 예를 써먹을 수 있다.보수언론들은 늘 한겨레나 민중언론들이 한쪽에 치우치고 자신들이 중립,객관이라고 이야기한다.또한 이에 쇄뇌된 인간들 역시 그게 중립이고 객관이라고 믿는다.야구방망이 무게중심론이 나의 중립이요 나의 객관이다.

공자 역시 중용의 가르침을 한달 이상 이어가기 힘들다고 했다.나 같은 범인은 그 뜻을 이해하기도 어렵다.그래도 이제 첫 술이니까 과욕 부리지 않기로 했다.

이현주 목사 이야기도 마지막으로 잠깐해야겠다.일단 범종교적으로 고전을 접근하는 방법이 마음에 든다.내가 비록 일부 한국 기독교인들로 인해 기독교에 대해 좀 부정적이긴 하지만 그 가르침이야 아름답지 않았겠는가. 이 목사는 대학중용의 도를 이야기하면서 성경 구절을 예로 들어 그 가르침이 서로 소통함을 말한다.딱딱한 의고투적인 본문보다 어떨 때는 성경 내용이  의미를 명쾌하게 이야기해 주기도 한다.하지만 비기독교의 눈에 너무 자주 등장하는 성경 이야기가 원래의 의미를 간섭할 수 도 있다는 의혹이 생기기도 한다.다음 번에 <대학><중용>을 읽을 때는 다른 책을 고를 생각이다.이번은 처음이니까 이 정도로도 훌륭했지만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팽이 2006-05-18 23:33   좋아요 0 | URL
대학의 명명덕, 친민, 지어지선과 중용과 격물치지는 제대로 이해한다면 그것은 지식으로서가 아니라 마음의 증득으로 알아야 합니다.
무위당 장일순 선생님의 도덕경의 '무위' 하나를 이해하는데 일생이 걸렸다고 했습니다.
좁쌀 하나 이해하는데 일생이 걸렸다고 했습니다.
조식 선생님이 퇴계 선생님을 제대로 이해했다면 섣부른 비판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님의 치밀한 독서력으로 보건대...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능력은 뛰어나지만...
논리로서는 아무리해도 닿을 수 없는 개념들이 그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해봅니다.
이기론이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졌는가에 대한 평가는 한토막의 평가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그 사람의 삶을 만들었던 그 사람의 마음으로 들어가보지 않고서는 우리가 함부로 말할 수 없는 것들이 분명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특히 사서삼경을 비롯한 동양고전을 접할 때 우리는 역사적으로 이론적으로 백번 천번 읽어도 그 뜻에는 천리 만리 떨어진 결론밖에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 공자는 중용의 가르침을 한달 이상 이어가기 힘들다고 했을까?
과연 공자가 마음으로 검증하는 중용은 무엇인가?
범인이라서 우리가 모르는 것이 아니라 범인의 마음으로 미리 기죽기 때문에 우리가 모르는 것입니다. 그래서 시작도 하지 않으므로 길은 우리 앞에서 사라져버립니다.
님께서 인생의 경험으로든 마음 속의 공부로든 언젠가 이 말들을 마음에서 체득할 날이 오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그렇다면 세상은 분명히 새롭게 보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불청객이 말이 길었습니다.

드팀전 2006-05-19 08:45   좋아요 0 | URL
불청객이라니요.^^ 사사삼경과 불경,내지는 성경이 논리로 접근하는 책이 아니라는 것은 대학은 졸업해서 압니다.그 책들이 가진 경지를 알기에 단 한줄 이해하고도 이해했다고 말하기도 어려운거지요.그리고 현실에서의 관철에 대해 부끄러운바가 있기때문에 안다고 이야기할 수 없는 것이구요.마음공부에 대해 백안시한다고 생각치는 마십시오.저 역시 전인격적 인간을 만드는데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어떤 불평등이 해소되면 -또 해소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것이 그 일을 꾸리고 누리는 사람들의 순정한 마음임을 모르지도 않습니다.하지만 마음공부는 내면의 덕을 이루고 현실의 다양함에 적용해나가야 한다고 믿습니다.그게 아니라면 마음공부는 자칫 개인적 안분지족의 도가 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장일순 선생은 제가 정말 따르고 싶은 분인데요.그분이 노자를 읽고 도를 깨우쳐서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그 도를 바탕으로 함께 사는 일에 골몰하셨기 때문에 존경하는 것입니다.
결국은 선택이 다른 것이라고 생각할 뿐입니다.남명의 공부도 퇴계의 공부도 모자랐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듯이...무엇에 더 큰 비중을 두어야 하는 가에 대해 생각이 달랐겠지요....님의 길과 저의 길이 꼭 같다고 할 수는 없겠지요.함께 사는 세상에 더 못나고 어려운 사람들에게 부끄럽지 않으면 언젠가 만나지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