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생활의 방법
와타나베 쇼이치 지음, 김욱 옮김 / 세경멀티뱅크 / 1998년 12월
평점 :
절판


저자가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지적 생활을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당연히 ‘책’에 관한 이야기가 이 책의 중심이 되고 있다. 저자는 책을 통해 얻는 지적인 기쁨이 너무나 달콤한 것이어서, 노령(老齡)이 겁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겁나기는커녕 오히려 정년(停年)이 기다려진다고 말한다. “모든 의무로부터 해방된 상태에서 차례로 신간(新刊)을 사들여 아침부터 책을 읽는, 정년 후의 인생이 지금부터 기다려진다.”고 말할 정도이다.

『논어』에 보면 ‘호지자 불여락지자(好之者不如樂之者)’라는 말이 있다.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는 말이다. 실로 저자는 독서를 즐기는 경지에 들어가 있는 것이다. 그러면 나 자신은 어디에 와 있는가?

저자는 지적 생활을 위해서는 자기 돈을 주고 책을 사서 읽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수입이 적으면 적은대로, 그 때 그 때 자기 돈으로 책을 조금씩 사들여 자기 주위에 책을 쌓아가는 것이 지적 생활의 첫걸음이라는 것이다. 개인의 ‘장서’, 곧 ‘도서관’을 만들라는 주문이다.

어느 날 문득 전에 읽었던 책을 다시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그런데 찾던 그 책이 곁에 없어서 읽을 수 없었다면, 그것은 지적 생활에서 치명적인 일이다. 이튿날 또는 다음 기회에 도서관 등에서 빌려 보려 했을 때에는 이미 그 책을 읽고 싶다는 감흥이 사라진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역시 책은 자기 것으로 삼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된다. 저자는, 무리를 하면서까지 책을 산다든가 하지 않는 사람이 지적으로 활발한 생활을 하는 예는 거의 없다고 한다.

그러므로 지적 생활이란 언제나 끊임없이 책을 사들이는 생활을 말한다. 따라서 책을 둘 장소를 마련하는 일도 중요하다. 즉 공간과의 싸움이다. 저자가 아는 한 연구자는 책 때문에 밤에 이부자리를 펴지 못해 책을 깔고 그 위에 이부자리를 펴고 잤다고 한다. 우리 가운데 과연 이런 사람이 있던가 하고 자문(自問)하지 않을 수 없다.

지적 생활자는 수동적 지적 생활자와 능동적 지적 생활자의 둘로 나뉜다. 수동적 지적 생활이란 주로 책을 읽고, 생각하고,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말 한다. 이 경우는 책이 그다지 많지 않아도 된다. 작은 방에 애독서들이 들어차 있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능동적 지적 생활을 하는 사람, 즉 논문을 쓰거나 신문, 잡지에 글을 기고하는 사람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한 권의 책을 쓰려면 50배, 100배의 책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은 상식에 속한다. 집에서 잡지에 기고할 글을 쓰다가 무언가 조사할 일이 생겼을 때 집안에 참고문헌이 없다면 그날 밤은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게 되고 만다. 이튿날 도서관에 가서 조사를 해야 한다. 시간이 촉박한 일이 아니라면 상관없다. 그러나 마감을 지켜야 하는 경우라면 참고문헌이 없어 집필을 중단한다는 것은 치명적인 일이 된다.

문득 민족주의자이자 무교회주의자였던 김교신(金敎臣) 선생의 말이 떠오른다. 선생은 절대 책을 남에게 빌려주지 않았다고 한다. 서재란 마치 구축함과 같아서, 전시에 어떤 무기를 뽑아 사용할지 알 수 없는 것처럼, 글을 쓸 때는 언제 어떤 책이 필요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지적 생활 초심자의 경우 ‘원칙적으로’ 카드를 만들지 말라고 권한다. 카드 작성은 너무나 시간을 잡아먹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큰 문제는 독서가 중단된다는 것이다. 결국 카드 쓰기가 귀찮아져서 독서하기가 싫어지고 지적 생활을 위축시키게 된다.

책 한 권을 사서 카드를 작성하면서 읽는 시간에 20권의 책을 읽으면서 중요 대목에 줄을 쳐가며 읽을 수 있으니, 도서관 책을 빌리지 말고 책을 사버리는 것이 결국은 시간 절약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책을 산다는 것은 돈으로 시간을 사는 것과 같다는 것이 저자의 지론이다. (인생은 짧으니까)

‘호지자 불여락지자(好之者不如樂之者)’의 경지에 들어간 저자가 부럽기 짝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