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를 돌보며 - 딸의 기나긴 작별 인사
버지니아 스템 오언스 지음, 유자화 옮김 / 부키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나는 시력을 잃었지만 어머니는 자기 자신 전부를 잃어 가고 있다. 
우리의 신체 중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더 손상되어도 괜찮은 부분도 있다...


'왜, 나에게 이런 일이,,?'  큰 일이 일어나거나 겪게 되면 '왜, 나일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그런 일이 유독 내게만 일어나지는 않는다. 다른 누군가도 겪었거나 겪게 될 일인데 유독 내가 닥치게 되면 큰 일처럼 보여지고 생각되어진다. 나 또한 부모님이 연세가 있다 보니 부모님을 찾아 뵙든가 전화를 하다가 아프다는 말씀을 하시면 '가슴이 철렁' 한다.그때를 준비해야 하는걸까 하면서 담담하게 생각해 보기도 하는데 그런 일이 지금 내게도 일어나고 있다. 아버지가 아프시니 이 책은 그런 부모님의 고통을 미리 겪어보는 것처럼 간접경험이 될 것 같다. 

뇌졸중으로 쓰러지신 어머니가 알츠하이머에 치매가지 겹치셨다면 과연 난 그 어머니를 저자처럼 돌볼 수 있을까..아버지가 아프셔서 병원에 입원하셔서 검사를 받던 며칠동안도 집안일과 아이들을 돌보며 하다 보니 퇴원하신 후에 내가 병이 났다.처음 그런 일을 겪어서 아직 경험이 미숙하기에 그러하기도 하겠지만 병원에서 연세가 드신 환자들을 보면서 그분들을 돌보는 도우미들을 보니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물론 가족보다는 돈으로 도우미를 쓰고 전문적으로 돌보게 하는 경우도 있고 가족이 붙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환자에게는 가족보다는 도우미들이 더 낫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내 부모가 이런 경우를 당했다고 해도 받아 들이기기가 쉽지 않았을것 같다. 거기에 저자 자신이 녹내장까지 앓아가며 시력을 잃어가고 있었으니 그 고통은 배가 되었을것 같다. 하지만 끝까지 어머니를 포기하지 않고 돌보며 하루 하루 기억하고 글을 써 나갔다는 것은 대단하다. 이런 큰 일이 닥치면 환자 자신보다도 가족이 더 먼저 마음에 상처를 입어 자포자기 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꿋꿋하게 어머니 옆에서 힘이 되어준 저자는 의지도 있고 현실을 바라보는 냉철함도 보인다. 제일 힘든 것이 치매 노인들을 돌보는 것 같다. 친정부모님의 동네에도 엄마와 연세가 같으신 분이 치매가 걸려 동네를 헤매고 다니시는 분이 있다. 날마다 가족들의 울타리에 있지 않는 노모를 찾아 동네를 헤매기도 하는 가족들과 노모의 행방을 알려주는 동네분들이 있어 아직 별일은 없지만 유독 피해를 입고 있는 우리 엄마의 밭 농작물들, 그 할머니는 유독 친정엄마의 밭에서 열매가 익으면 다 따가신다. 그렇다고 변상을 요구할 수도 없고 그저 씁쓸하게 바라보시는 친정엄마는 당신이 그렇게 되지 않은것을 다행으로 여길뿐이다. 끝도 없는 기나긴 싸움을 저자는 어머니의 편에서 나름 현명하게 헤쳐나간듯 하다. 나 또한 그런 위치에 처한다면 그런 현명한 답을 할 수 있을까. 긴 병에 효자 없듯이 어느 정도 지켜나가다 보면 겉으로 포기하듯 하게 되는데 나 또한 그렇게 하지는 않을지 걱정이다. 이런 일들이 남일 같지 않은것 또한 나도 부모님도 점점 나이를 먹어감일터인데 그런 부모님을 지킬 용기가 내겐 있을지 묻게 하는 책이다. 

'정도야 다르겠지만 어머니의 두려움은 나의 두려움과 다르지 않다. 우리 둘 모두 그 암흑이 두려운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