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7p.
《06》화학 결합, 소금은 부서지고 금은 빛나는 이유
148p.
원자와 주기율표, 알고 보니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죠? 우리의 뇌는 나이가 들어도 얼마든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이런 마음가짐으로 다시 한번 힘차게 시작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주변에서 접하는 모든 물질은 원자들이 서로 결합해서 만들어진 결과물입니다. 물 한 잔, 우리가 숨 쉬는 공기, 강철처럼 단단한 금속, 심지어 우리 몸까지. 이 모든 것이 화학 결합의 산물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서로 다른 원자들이 모여 이렇게 다양한 물질을 만들어내는 걸까요? 그 답은 바로 화학 결합에 있습니다.
화학 결합은 원자들이 서로 전자를 주고받거나 공유하면서 결합하는 방식입니다. 결합의 방식에 따라 물질의 성질이 달라지죠. 심지어 같은 원소라도 결합 방식이 달라지면 완전히 다른 물질이 될 수 있습니다. 탄소를 예로 들어볼게요. 탄소 원자들은 다이아몬드와 흑연이라는 전혀 다른 물질을 형성할 수 있는데, 그 차이는 바로 결합 방식에 있습니다.
149p.
다이아몬드는 각 탄소 원자가 매우 강하게 결합하여 3차원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 결과 다이아몬드는 세상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 중 하나가 됩니다. 반면 흑연은 탄소 원자들이 평면 구조로 느슨하게 결합하여 층을 이룹니다. 그래서 흑연은 부드럽고 쉽게 부서지며 연필이나 윤활제로 사용합니다. 같은 탄소 원소지만 결합 방식에 따라 완전히 다른 성질을 갖게 되는 것이죠.
또 다른 예로 산소도 있습니다. 우리가 호흡하는 산소(O2)는 두 개의 산소 원자가 공유 결합을 통해 이루어져 있습니다. 오존(O3)이라는 물질도 산소 원자들이 결합한 형태로 세 개의 산소 원자로 이루어져 있죠. 산소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반면, 결합 방식에 따라 완전히 다른 물질이 되는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처럼 화학 결합은 물질의 성질을 결정하는 보이지 않는 끈과도 같습니다. 원자들이 서로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물질의 강도, 전도성, 녹는점 등 다양한 성질이 나타나죠.
이번에는 이온 결합, 공유 결합, 금속 결합이라는 주요 결합 방식을 중심으로 원자들이 어떻게 결합하여 물질을 형성하고 그 결합이 물질의 성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히 살펴볼 것입니다. 과연 이 결합들은 우리 일상 속 물질을 어떻게 만들어내고 있을까요? 그 숨겨진 과학을 밝혀보겠습니다!
- - -
우리는 어떻게 지금 모습으로 있을 수 있을까?
원자와 원자가 결합할 때
18족 원소들과 옥텟 규칙
알고 마시면 더 재미있는 이온 음료
금속 원자들은 쉽게 양이온이 된다
비금속 원소들은 쉽게 음이온이 된다
덩어리 소금의 특징
금속 원자 x 비금속 원자, 이온 결합
화학적 결합을 끊어내는 힘
소금에 전기가 통하게 하는 마법
금이 반짝이는 이유
금속 원자 x 금속 원자, 금속 결합
금속마다 색이 다른 이유
산소, 물, 단백질의 탄생 비밀
비금속 원자 x 비금속 원자, 공유 결합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비금속 원자가 만날 때
원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세상
《07》화학 반응, 배터리에 관한 최소한의 지식
속 쓰릴 때 제산제를 먹는 이유
산은 산성비, 염기는 양잿물을 떠올려라
산과 염기의 정의
산-염기 중화 반응
깎은 사과는 왜 갈색으로 변할까?
산화-환원 반응
일상 속 산화-환원 반응
몸속에서도 일어나는 산화-환원 반응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다
이온화 경향
최초의 배터리, 볼타 전지
망가니즈 건전지와 알칼리 건전지
전기차에도 쓰이는 2차 전지
납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리튬 이온 전지
- - -
*화학결합 공부도 재미있구만. 큰일이구만. 아무래도 도서관 옆으로 이사를 가는 수밖에 없겄는디. 흑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