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과학사 이야기 1>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한국 과학사 이야기 1 - 카이스트 신동원 교수님이 들려주는 하늘과 땅의 과학 한국 과학사 이야기 1
신동원 지음, 임익종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이라 하면 왠지 우리나라와는 거리가 멀게 느껴진다. 아마도 과학 발전의 대부분이 서양에서 먼저 이루어지고 주도되었기 때문이라는 인식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세계에 우리의 문화를 자랑스럽게 내놓을 수 있는 업적이 몇 가지가 있다고 우리는 배워왔다. 우리가 아는 것은 그렇게 이름 뿐이다. 실제로 왜, 어떻게 해서 우리나라의 것이 세계적으로 내세워도 전혀 부끄럽지 않고 그것을 넘어 가장 훌륭하다고 자랑스럽게 생각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한국 과학사 이야기>>는 바로 그러한 우리의 생각을 뒤바꾸어줄 책이 아닌가 싶다. 서양의 그들 문화와는 전혀 다른 문화의 바탕에 우리 나름대로의 철학을 가지고 발전시켜 온 "과학"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책이다. 그 밑바탕이 된 뜻과 의미가 달라 현대에 추앙받는 기술적 과학의 업적을 이루지는 못하였지만 우리 민족은 우리 전통에 맞는 기술과 과학을 발전시켜 왔다. 따라서 <<한국 과학사 이야기>>를 읽고나면 우리 겨레가, 우리의 전통 과학이 무척이나 자랑스러워진다. 

책은 제 1부 하늘편과 제 2부 땅편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 1부는 아주 먼 옛날, 하늘을 보며 자신들의 삶을 이해하려 하고 실생활에 적용시켰던 조상들이 남긴 흔적을 쫓아 그들이 이룩한 천문학과 실제로 농사를 짓기 위해 필요했던 여러 산물들(특히 세종대왕 때에 이룩한 여러 업적들)에 대해 아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제 2부는 풍수지리와 지도로 인해 발달한 "땅"에 대한 과학적 사례들을 설명한다. 

그 어느때보다 비약적 발전을 보인 조선 세종대왕 시절의 여러 업적들은 가히 폭발적이다. 훈민정음을 비롯하여 여러 기구들에 대한 발명은 알고 있었지만 이토록 전분야에서 체계적으로 실생활에 이용하기 위한 과학적 발전을 이룬 것인지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또한 역사적으로 이때만큼은 그 어느 나라보다 우리나라가 과학적으로 앞섰다는 사실이 무척이나 자랑스럽다.

"어때, 세종의 이런 명령은 천문학에서 봤던 내용과 같지. 이후에 의학이나 농학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보게 될 거야. 이는 과학에서뿐만 아니라 훈민정음을 창제한 것이나 다른 제도를 만들 때에도 나타나는 특징이야."...157p

<<한국 과학사 이야기>>에서는 각 과학 기술에 대한 자세한 원리를 알 수 있다. 역사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왜 그렇게 만들어졌는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가 아주 자세히 설명되어있기 때문에 그 시절의 문화나 생활상까지도 이해가 가능하다. 특히 이 책에서 저자가 여러 번 강조하는 그 시절을 파악하게 하는 "잣대"에 대한 이야기도 꼭 기억해두려 한다. 우리의 잣대를 갖고 들이댄다면 우리의 과학사는 무척이나 미개하고 하찮게 느껴질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그들이 믿는 의식에 따라 과학을 발전시켜 왔다. 따라서 우리는 그때의 잣대를 내밀어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 과학사 이야기>>를 읽으니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힘"이 키워지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