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해설 징비록 - 한국의 고전에서 동아시아의 고전으로 규장각 새로 읽는 우리 고전 총서 5
류성룡 지음, 김시덕 옮김 / 아카넷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기문 UN 사무총장이 한국에 와서 류성룡 고택을 찾았다.


류성룡에 대한 존경에서 나온 행동일 것이다.
왜 반기문은 많은 위인 중에서 '류성룡'을 선택했을까?
기사를 찾아보니 이런 반기문 총장 행보는 대선을 위한 움직임 중 하나라고 한다.
아마도 이런 말을 행동으로 보여준 게 아닐까?

국가 수장이 된다면 류성룡 같은 지도자가 되겠다.

안타깝게도 류성룡은 결국 선조 주위에 있는 많은 간신에 의해 자리에 물러난다. 류성룡은 이순신과 함께 명과 왜라는 외세 침략을 온몸을 다해 막은 1등 공심임에도 저들을 막을 수 없었다. 고향에 내려가 자신이 재상 자리에 있었을 때 일어난 전쟁 상황을 자세히 기록한다. 그 책이 바로 '징비록'이다.덕분에 우리는 값진 보물 같은 임진왜란 시기 우리 선조가 했던 행적을 알 수 있다.
 류성룡은 하위 직급에 있던 '이순신'과 '권율'을 신임하고 등용했다. 대부분 이들이 한 업적을 자세히 적는다. 이순신을 질투한 원균이 행한 창피하고 치졸한 행적도 거짓 없이 신랄하게 적혀있다. 객관적 사료로는 '심유경'이라는 작자가 19세기 '이완용'과 동급으로 나라를 팔아먹은 자다. 그렇지만 류성룡은 심유경에 대한 판단을 자신 입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심유경이 보낸 편지를 통해 그가 과연 사사로운 이익을 위해 매국적인 행위를 한 것인지 독자 판단에 넘긴다.

류성룡, 조선을 우선하다.

임진왜란 초기에는 류성룡과 명나라는 서로 우호적이었다. 그러나 중반 서로 이익을 위해 합의하는 과정에서 조선은 왜 나라와 명나라와 적이 된다. 이유는 조선 또한 왜 와 명, 동등한 국가로서 계약을 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각 나라에 대해서는 양보는 없다. 명에게 호의적이라면 우리나라는 명에서 먹혔을 테고 왜에 게 호의적이었다면 왜에 게 국가가 없어질 위기였다. 그렇기에 류성룡은 자신 위치에서 힘을 써서 우리나라를 세우기 위해 아슬아슬한 외교 싸움을 계속한다.

 

                 임진왜란은 우리나라가 종식시켰다.

징비록을 통해 대부분 이순신이 한 업적을 강조한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난중일기'가 궁금하다. 류성룡은 국가를 위해 이순신이 감옥에 들어갈 때도 반대편 반발을 생각해 그저 조용히 그 일을 관망한다. 사실을 말하지만 이순신을 향한 안타까움이 글 안에 가득 느껴진다.

               

 
약한 자는 홀대받는다.

앞서 봤던 "류성룡이 군대를 유지해야 하는 이유"에 이어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왜 우리나라에 화가 났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세 가지 이유다.

1. 내 이야기를 명나라에 안 전해 줬다.
2. 내가 호의를 베풀었는데 생각했던 것만큼 고마워하지 않는 것 같다.
3. 조선 네가 감히 왜와 명 사이를 이간질 시킨 것이다.

세 개 이유 모두 어이가 없다. 차라리 "그냥 너희들이 만만하고 약하니까 싫다. 밉다."이렇게 말하는 게 더 납득이 간다. 결국 국가 간 싸움도 대단한 명분이 있었던 것이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초등학생이 싸우는 이유나 국가 간 싸우는 이유가 다르지 않다. 이유는 상대방이 만만해서 자신이 강하기에 침략한다는 게 당연한 생각인가 보다.
 이 부분을 보며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약했다. 사실 일본은 우리나라가 이렇게 잘 막아낼지 몰랐다. 그들이 원하는 곳은 '명'이었다. 결국 우리나라에서 길이 막히자 그들은 우리를 핑계로 "왕따"를 시킨다. 그렇게 원하는 침략을 할 수 없어 망한 '왜'는 결국 우리나라 핑계를 대며 후퇴한다.

                

류성룡은 후에 다시 일본이 침략할 것을 예상한다.

그럼에도 류성룡은 자세히 기록을 남겨놓았다. 왜? 그는 다시 또 일본이 우리나라를 침략할 것을 알고 있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우리 후세가 읽고 긴장하길 바랐다. 결국 이 책을 읽고 참고한 건 다름 아닌 우리의 적, 일본이었다. 일본이 심도 있는 연구를 하면서 왜 임진왜란이 실패한 전쟁이 되었는지에 대해 공부한다.

제발 책을 읽자.

책 안에 미래가 있다. 경고가 있다.
징비록은 과거 '왜나라'와 겪은 힘겨운 싸움에 대한 영웅기나 군대 이야기 같은 모험담을 늘어놓는 책이 아니다. 진심으로 후세를 걱정하고 사랑하는 조상이 쓴 값진 책이다.
이런 무시무시한 일인 "임진왜란"을 겪고도 결국은 다시 일본에 침략당했다. 그때는 정말 나라가 넘어가 버린다. 몇 십 년 치욕적인 역사 과오를 남긴다. 나는 너무 무지하다. 그렇기에 책을 읽어야 한다. 어쩌면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무지하다는 사실만 깨달을 뿐이다. 그래도 책을 읽어야 한다. 무엇보다 이런 고전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징비록을 다 읽었다.

처음 생소한 일본인 이름과 명나라 장군 이름, 우리나라 장수 이름이 산재해 있었다. 읽는 것이 어렵고 힘들었다. 어느새 책 안에 류성룡의 떨리는 목소리가 들렸다. 좀 더 나아가 자신과 마음이 맞는 이순신과 권율을 조용히 응원하며 바라보는 그 마음을 읽을 수 있었다. 또한 다른 의견을 갖고 있던 신하에 대해 쉽게 화내지 않고 객관적으로 바라보려고 노력하는 마음을 보고 존경하게 됐다. 원본에서는 이게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 내가 판단하고 생각해야 한다. 그래서인지 "류성룡이 한 이 행동은 좋은 행동"," 류성룡이 이렇게 행동한 것은 모호한 행동"이라고 꼬집어 말해주는 책을 더 가까이한다. 그전에 직접 그가 쓴 글을 읽고 내가 먼저 판단한 후 다른 사람이 생각한 판단을 보고 확인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야만 쓴 사람이 하는 제대로 된 생각을 제대로 이해하고 깊은 뜻을 알 수 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5-30 12: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5-30 13: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6-05-30 13: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반기문 측에서는 총장 행보에 너무 촉각을 곤두세우지 말라고 언론 입장을 표명했던데, 관심을 안 가질 수가 없어요. 예전 안철수 신드롬이 생기기 전에도 언론 반응과 안철수 측 반응이 이랬던 것 같아요.

책한엄마 2016-05-30 13:19   좋아요 0 | URL
네-정말 많이 닮아있어요.
그러면 언론에서 조용히 해줘야죠.
달린 기사만해도..ㅎㅎ예전 대통령 서거 7주기 3배 정도는 될 것 같아요.

cyrus 2016-05-30 13:20   좋아요 1 | URL
언론이 가만히 있을 존재가 아니죠. 관심 얻을만한 특종을 노려야하니까요. ^^

책한엄마 2016-05-30 14:41   좋아요 0 | URL
네.그렇죠.^^
소문이 가시화 되긴 하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