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 - 세계 최고의 투자 수업
워런 버핏.찰리 멍거 지음, 임경은 옮김, 알렉스 모리스 편저 / 교보문고(단행본) / 2025년 8월
평점 :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렇겠지만, 투자에 관심을 가진 이후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의 투자 철학을 꾸준히 공부해왔다. 그래서 워런 버핏의 주주 서한, 스노볼, 가난한 찰리의 연감, 워런 버핏 바이블 등 그들에 관한 다양한 책을 통해 가치 투자의 원칙과 철학을 배우기 위해 노력해왔다. 언젠간 한번쯤 두 구루의 버크셔 해서웨이 연례 주주총회에도 가보고 싶다는 꿈을 꾸기도 했지만, 멍거 옹이 작고하고 버핏 옹마저 은퇴를 선언하며 그 꿈은 이루지 못하게 되었고, 그 열띤 분위기와 질의 응답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없게 되어 많은 아쉬움이 남았다.
그러다 이번에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의 질의응답을 담은 '세계 최고의 투자 수업 :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 란 책이 출간된다고 해 가제본 서평단에 응모하게 되었고, 다행히 읽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번 책은 버핏과 멍거의 팬인 저자가 지난 30여년간 연례 주주총회에서 있었던 질의 응답을 분석 및 편집해 펴낸 책으로, 연례 주총에 참석하고팠던 내 꿈을 간접적으로 경험해 볼 수 기회라 굉장히 기대가 되었다.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지난 30년간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에서 나왔던 질의응답을 집대성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버핏과 멍거에 대한 수많은 책이 출간되었지만, 이렇게 Q&A를 집중적으로 다뤘던 책은 내가 알기론 없었다. 물론 주주 서한이나 가난한 찰리의 연감 등 여러 책들을 통해 버핏과 멍거의 철학과 생각은 알 수 있었지만, 이번 책은 실제 말들을 통해 보다 생동감 있게, 문맥을 전달해준다는 점에서 색다른 가치를 제공한다. 또한 연도에 따라 나열하는 방식이 아닌 가치투자, 내재가치, 자본 배분, 경영진과 이사회 등등 주제별로 다시 편집, 정리하는 형식을 통해 독자들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점도 눈에 띈다.
가제본은 총 13부의 원전 중 3부까지만 제공되고 있어 아쉬웠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어 인상깊었다. 개인적으론 가치 투자, 성장주와 가치주, 버크셔가 자사주 매입을 하지 않는 이유 등에 대해 좀 더 생각할 수 있었다. 몇가지 인상깊었던 부분을 적어보았다.
"워런은 현금흐름할인법에 관해 이야기하지만, 저는 그가 현금흐름할인법을 계산하는 걸 본 적이 없습니다. 굳이 계산하지 않아도 싹수가 명명백백히 보이는 회사가 아니면 바로 대화를 끊는 편이죠."
"연필과 종이를 꺼내야 할 지경이라는 건 이미 안전만진이 아슬아슬하다는 증거입니다. 안전마진은 크게 한눈에 보여야 합니다."
- 버핏은 수십년간 시장대비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성공투자를 이어왔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이 그렇듯 개인적으로도 그의 보유 종목과 포트폴리오 편입, 편출 종목들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데, 사실 매번 생각해보아도 그때그때 이유를 알기는 쉽지 않다. 다만 시간이 지나고 주가추이를 보면 그의 귀신같은 혜안과 타이밍에 놀라 혹시 외부에 알려지지 않은 그만의 가치평가 비법 공식 같은게 있지 않을까 하는 오랜 기간 추측해왔는데, 이번 책에서 그런 의심을 완전히 털어 버릴 수 있었다.
"아무리 하늘 높이 성장할 기업을 소유하고 있다 한들 그 성장의 경제성을 알기 전까지는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없습니다. 오늘 얼마나 투자해야 하고, 오늘의 투자에서 나중에 얼마나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을지 말입니다."
- 성장주와 가치주에 대한 이야기를 늘 보게 된다. 하지만 버핏은 성장주와 가치주의 구분이 무의미하다고 말하며, 성장은 가치 공식을 구성하는 일부로 결국 투입된 투자 자본이 미래에 가져다 주는 수익률이 얼마나 높은가가 핵심이라고 지적한다. 하지만 미래의 수익률은 예측의 영역으로 이는 아무도 보장할 수 없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버크셔가 매력적인 가격으로 보일 정도의 시황이라면 다른 기업의 가격은 더 매력적인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 따라서 버크셔가 저평가될 가능성보다 우리가 저평가된 가격의 다른 우량 기업을 찾을 가능성이 더 큽니다. 그만큼 우리로서는 자사주 매입의 동기가 줄어듭니다. 즉 우리가 자사주 매입을 일부러 배제한다기보다 자사주 매입이 필요한 상황이 거의 오지 않을 겁니다."
- 버크셔 해서웨이는 최근 5년 자사주 매입을 단행했지만 전통적으로 배당과 자사주 매입에 소극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책에서는 버크셔보다 다른 저평가된 우량기업에 대한 투자가 더 매력적이기에 그렇게 해왔던 것으로, 최근 몇년간의 기조 변화는 자사주 매입 한계점으로 정한 BPS 1.2배 이하로 거래되었기에 단행했다는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집중투자에 대한 반복적인 강조, 레버리지에 대한 경계, 수없이 반복되는 투자 단순화에 대한 강조등을 인상깊게 읽었다. 이제까지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에 대한 책은 좋지 않았던 적이 없지만, 이번 책은 이제까지 희소했던 주총의 문답을 담은 점이나 개인적 해석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두 사람의 말만 옮겼다는 점, 주제에 따라 편집해 가독성과 이해도를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책이다. 특히 버핏을 종교처럼 믿는 분들에게는 성경의 구약과 신약처럼, 주주서한과 함께 또하나의 경전이 될만한 책이다. 강력 추천한다.
#세계최고의투자수업:워런버핏과찰리멍거 #알렉스모리스 #교보문고 #북다 #투자 #버핏 #멍거 #워런버핏 #찰스멍거 #버크셔해서웨이 #가치투자 #비즈니스통찰 #장기투자 #자본배분 #사업평가 #기회비용 #실패 #성공 #파트너십 #금융 #자기계발 #투자철학 #주주총회 #주식 #책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