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어느 별에서
정호승 지음 / 열림원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정호승 시인의 시「수선화에게」는 수선화가 필 무렵이면 해마다 떠올리며 곱씹어보게 되는 시이다. 시를 읽다보면 시인의 감수성이 부러워지면서도 행간을 읽는 재주가 없기에, 좀더 길고 상세하게 이야기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단번에 시적 감수성이 생기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에, 먼저 에세이를 통해 시인의 감성을 전해듣기로 했다. 요즘들어 시와 산문이 함께 들어있는 책이라든지 시인의 산문집 등 산문을 통해 시와 거리감을 좁히게 되었다. 이번에는 이 책 『우리가 어느 별에서』를 읽어보았다. 이 책은 정호승 시인의 에세이라는 점에서 궁금한 생각이 들어서 읽게 되었다.

 

책에도 운명이 있습니다. 이 책은 저의 첫 산문집으로 19년 동안 몇 차례 개정판을 거듭해왔습니다. 1996년 『첫눈 오는 날 만나자』2001년 『인생은 나에게 술 한잔 사주지 않았다』2003년 『위안』으로 발간되었다가 이제 다시 『우리가 어느 별에서』로 개정증보판을 내게 되었습니다. (작가의 말 中)

이번에 처음으로 출간된 책이 아니었다. 출판사를 달리하여 몇 차례 개정을 거듭하며 다시 탄생한 것이다. 말하자면 환생을 거듭하여 새로운 모습으로 내 앞에 나타난 것이다. 어떤 인연에서인지 이번 판형에서는 나와 만나게 되었다. 긴 세월을 돌고돌아 2015년 지구별에서 이책과 나의 만남이 성사된 것이다. 

 

이 책의 제목인 『우리가 어느 별에서』는 가수 안치환이 노래로 만들어 부른 곡이 있어서 또렷하게 떠오른다. 제목을 볼 때부터 노래의 멜로디가 떠오르기에 산뜻한 음악처럼 다가온 책이다.

 

우리가 어느 별에서

 

우리가 어느 별에서 만났기에

이토록 서로 그리워하느냐

우리가 어느 별에서 그리워하였기에

이토록 서로 사랑하고 있느냐

 

사랑이 가난한 사람들이

등불을 들고 거리에 나가

풀은 시들고 꽃은 지는데

 

우리가 어느 별에서 헤어졌기에

이토록 서로 별빛마다 빛나느냐

우리가 어느 별에서 잠들었기에

이토록 새벽을 흔들어 깨우느냐

 

해 뜨기 전에

가장 추워하는 그대를 위하여

저문 바닷가에 홀로

사람의 모닥불을 피우는 그대를 위하여

 

나는 오늘밤 어느 별에서

떠나기 위하여 머물고 있느냐

어느 별의 새벽길을 걷기 위하여

마음의 칼날 아래 떨고 있느냐

 

이 책을 통해 이 시와 노래에 대한 뒷이야기를 보는 것이 흥미로웠다. 만남과 헤어짐을 통한 사랑의 시 「우리가 어느 별에서」는 시인이 30대 초반에 썼다고 한다. 이 시를 쓰면서 만남이 소중한 만큼 이별도 소중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별을 통해 만남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이 시는 가수 안치환이 1993년에 노래로 만들었다. '우리가 어느 별에서 만났기에 이토록 애타게 그리워하는가. 우리가 어느 별에서 그리워했기에 이토록 아름답게 사랑할 수 있나'로 시작되는 축가는 가사가 조금 수정되었고, 결혼식 축가로 많이 불렸는데, 물론 결혼식 축가로 종종 부르다보니 신부나 신랑 중 한 명은 꼭 눈물을 흘려 고민 끝에 더이상 부르지 않았다고 한다. 애달픈 목소리와 애잔한 멜로디가 떠올라 서평을 쓰는 지금, 마음이 떨려온다. 시를 음미하며 감상하니 더더욱 감성을 일깨우게 된다.

 

이 책은 총 4부로 나뉜다. 1부 '십자가를 품고 가자', 2부 '꽃에게 위안받다', 3부 '우리는 언제 외로운가', 4부 '첫눈 오는 날 만나자' 이렇게 4부에 담긴 산문을 읽다보면 그의 성향이나 마음가짐 등을 엿볼 수 있다. 시적 세계와 산문의 세계가 다르다지만, 글을 통해 정호승이라는 시인을 좀더 알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그가 사는 세상을 엿보는 기분이다. 그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시간이다.

 

시를 읽는 것과 비교해보면 산문은 느낌이 다르다. 그의 시가 '꽃'이라면 그의 산문은 '씨앗'이다. '꽃과 잎은 씨앗에서 비롯된다. 씨앗은 생명의 근원이며 본질이다. 분명히 씨앗이라는 열매 속에는 꽃과 잎과, 그 꽃과 잎의 아름다움과 향기로움이 숨어 있다.'(339쪽)는 글을 보다보니, 정호승의 시와 산문의 세계가 서로 얽혀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으나 겉으로 나타나는 모습은 다르고 그에 따른 감상도 달라진다. 꽃을 보는 것과 씨앗을 보는 것은 분명 느낌이 다르다. 이 책에는 씨앗을 뿌리고 물을 주고 잡초를 뽑아주는 등 정성껏 키우는 모든 과정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꽃에 매료된 사람에게는 제반과정이 꾹꾹 눌려 담겨있다는 것이 아쉬울 수도 있는 부분이다.

 

그의 글을 읽고나니 맨 앞에 쓰인 피에르 신부의 말이 눈에 들어온다. 책을 읽으며 삶을 바라보게 되고, 사랑이라는 종착으로 귀결되는 것을 느끼게 된다. 삶은 사랑이다. 사랑하는 법을 배우기 위한 자유 시간을 우리 모두 얻게 되었다. 이 책에서 보게 되는 것도 결국은 사랑이다. 기나긴 여정의 끝은 사랑이고 결국 시작도 사랑이었음을 조금이나마 느껴본다.

삶이란 사랑하는 법을 배우기 위한 얼마간의 자유 시간이다. -피에르 신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