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 조선의 책과 지식은 조선사회와 어떻게 만나고 헤어졌을까?
강명관 지음 / 천년의상상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은 누구나 원하면 책을 읽을 수 있다. 하지만 조선시대의 분위기는 어땠을까? 상상이 잘 안된다. 모르는 것을 알고 싶은 지적 호기심때문에 이 책을 읽어보게 되었다.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는 도대체 어땠는지 궁금했다. 이 책은 생각보다 두껍고, 이 책 속의 자료도 생생하게 컬러로 담겨있다. 학술적인 가치가 있는 책이고, 누구나 한 번 쯤 짚고 넘어가야 할 책의 역사라는 생각이 들었다. 현재,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면 과거의 역사를 알아야 한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책의 과거에 대해 알고 넘어가는 것이 당연한 일일테다. 이 책을 통해 고려와 조선의 책에 관련된 분위기를 살펴보는 뜻깊은 시간이 되었다.

 

 

 

 먼저 이 책을 보면 활자의 발달 과정을 비교적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목판 활자에서 금속활자, 그리고 보급 과정과 국가 간의 유통까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짚어나가고 있다. 서적 교류에 대한 정보까지 읽어나가다 보면 이 책을 손에서 놓을 수가 없다. 고려 때의 상황을 짚어보고, 조선이 새로운 서적 문화를 개척해야만 하는 상황적 배경을 공감하며 읽어나갔다.

 

 

 

 특히 흥미롭게 본 부분은 '책값은 얼마였을까?'와 '종잇값은 왜 비쌌을까?'였다. 조선시대에 책값은 매우 비쌌다고 한다. '도대체 얼마나 비쌌길래' 하는 의문은 저자가 찾아본 자료에서 엿볼 수 있다. 저자는 <중종실록>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보았다고 한다.

외방의 유생 중에는 비록 학문에 뜻이 있지만 서책이 없어 독서를 하지 못하는 사람도 또한 많이 있습니다. 궁핍한 사람은 책값이 없어 책을 사지 못하고, 혹 값을 마련할 수 있다 해도 <대학>이나 <중용>같은 책은 상면포 3~4필은 주어야 살 수 있습니다. 값이 이처럼 비싸므로 살 수가 없는 형편입니다. (중종실록 中 어득강의 말)

200~300면에 불과한 책의 값이 면포 3~4필에 해당했다는 것이다. 참고로 현재 널리 읽히는 성백효 번역의 <대학><중용>의 합본은 번역문과 원문을 합쳐 246면인데 값은 7500원이다. 면포는 아니지만 오늘날(1필에 60~70만원 정도 하는) 안동포 3~4필을 이 번역본과 교환하고자 하는 사람이 있다면 아마도 정신질환자 취급을 받을 것이다. (302쪽)

 

 

 

 

 <대학>이나 <중용>의 가격이 논 2~3마지기 소출에 해당한다니 쉽게 읽을 수 있는 것이 아니었을 것이다. 머슴이 1년을 고생해야 한 권을 읽을 수 있으면 나같아도 읽기 싫었으리라. 종잇값은 또 어땠는가! 1장에 벼 1말 3되 4홉이었으니 도정한 쌀로 환산하면 6.5되에 해당한다. 조선에서는 쌀값이 엄청나게 비쌌으니, 쌀 6.5되를 종이 1장과 교환한다는 것은 일반 서민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322쪽) 종이 제조 과정에서는 아무런 대가 없이 농민들을 착취하였다. 농민 입장에서는 종이 생산을 원하지 않을 수밖에 없었다. 구체적인 수치와 함께 비교가 되니 솔깃한 마음이 들고, 특히 읽는 재미가 쏠쏠했던 부분이다.

 

 

 

 서점에 대한 이야기도 인상적이었다. 조선,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세 나라 중 조선만 서점이 없었다는 사실도 놀라웠고, 일본이 임진왜란 때 조선에서 약탈해 간 금속활자와 전적을 밑천 삼아 도쿠가와 막부 이후 출판업이 급속도로 발전했다는 점은 특히 아쉽기만 하다. 임진왜란과 19세기 말 일본의 조선 침략 이후 1945년까지 이어진 식민지 시기의 한국 서적 약탈과 반출은 실로 어마어마한 양이다. 단 1차례의 전쟁으로 3세기에 걸쳐 쌓아올린 문화가 궤멸되었다니 정말 통탄할 일이다.'서점의 부재는 아무래도 지식시장의 성립을 막고 지식의 유통을 제한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금속활자의 나라'라는 자부심이 무슨 소용이 있을 것인가.(397쪽)'라는 저자의 말에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예전에 <20세기 이데올로기, 책을 학살하다>라는 책을 읽었다. 세계사와 종교적 시선으로 책의 역사를 바라보며 문화와 정치, 권력 등이 연결되어 세상을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 책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는 조선시대를 한정해서 책의 역사를 바라보게 하기 때문에 좀더 깊게 역사를 바라보게 된다. 자료도 더욱 풍부하게 첨부되어서 읽는 시선을 끌게 된다. 저자는 이번 책의 출간을 시작으로 조선 전기에 대해 한 권, 조선 후기에 대해 두 권을 추가로 집필할 계획이라고 한다. 시간이 허락된다면, 근대계몽기에 관한 것 한 권을 추가하여 조선 건국 이후부터 1910년까지, 모두 다섯 권의 책으로 조선의 인쇄,출판 문화를 한번 모아보려 한다니, 실로 어마어마한 대장정이 될 것이라 짐작되며 기대하는 바가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