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낌없이 뺏는 사랑
피터 스완슨 지음, 노진선 옮김 / 푸른숲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르 미스터리, 스릴러. 
줄거리: 주인공인 조지는 동네 단골 술집에서 옛 대학동기인 리아나와 재회한다. 곧 그는 리아나가 제인 이라는 가명을 사용중이며 쫓기는 쫓기는 중임을 알게된다. 리아나는 자신이 왜 쫓기는 처지가 되었는지 조지에게 고백하며 자신의 부탁을 들어달라고 간청한다. 
위험한 일에 휘말리게 될 것을 직감하면서도 조지는 리아나의 부탁을 끝내 거절하지 못하는데...

액자식 구성으로 리아나와 조지가 당면한 현재의 위기에 관한 이야기와 과거 리아나와 조지의 관계 그리고 둘이 이별할 수 밖에 없던 사건에 대한 이야기가 챕터별로 번갈아 진행되는 구조이다. 

신분을 속이고 도망다니는 여주와 자신이 속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를 도와주는 남주의 이야기라 조금 식상할 것 같기도 했는데, 작가의 글솜씨 덕분에 생각보다 훨씬 재미있었다. 뻔한 이야기가 되지 않도록 긴장감이 잘 조성된 이야기다. 

조지는 리아나가 믿을 수 없는 인간이라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매번 속아주는데, 과연 어디까지 속아줄지 아니면 다른 조지에게도 다른 의도가 있는 것인지 내내 두근두근했다. (스포방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 조지와 리아나 모두 서로를 언제든지 배신할 수 있고, 그 배신을 당하는 상대에게 치명적이라는 상황 때문에 더 스릴있었다. 

이 책을 읽고 나서도 리아나의 행동과 말의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거짓말인지 알쏭달쏭하다. 진정한 거짓말쟁이는 80프로의 진실과 20프로의 거짓으로 거짓말을 한다는 말이 있는데, 리아나가 딱 그 타입인 것 같다. 때문에 리아나의 말대로 리아나를 쫓는 자가 나쁜 것인지 리아나가 나쁜 것인지 중반까지 알기 어려웠다. 생각해보면 등장인물 모두 저마다 자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들 조금씩 거짓말을 하고 있지 않았나 싶다. 

피터 스완슨의 책은 처음 읽어보았는데, <GONE GIRL>의 저자 길리언 플린과 비슷한 스타일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두 사람의 책에서는 누구도 완전한 선도 아니고 완전한 악도 아니라는 점에서, 순전한피해자도 가해자도 없다는 점에서 비슷하다고 느낀 것 같다. 
그렇지만 길리언 플린의 소설은 처음에는 조용히 불꽃놀이를 하다가 마지막에 폭죽이 빵빵 터지는 것 같다면, 피터 스완슨은 퍼즐을 맞추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뻔한 이야기가 뻔하지 않게 쓰여졌다는 느낌. (결말도 뻔하지 않으니 미스터리 애호가는 기대하는 것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프 보이스 - 법정의 수화 통역사
마루야마 마사키 지음, 최은지 옮김 / 황금가지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CODA, 농인, 청인 같은 농인과 관련된 주제들을 접하는 것이 신선했다. 처음 접하는 주제들임에도 작가의 서술방식 덕분에 어색하거나 이해가 어려운 부분 없이 술술 읽혀서 좋았다. 또, 미스터리의 특성에 충실한 적절한 복선 배치와 긴장감이 끝까지 유지되는 이야기 전개라서 책을 덮은 뒤에도 매우 만족스러웠다. 
작가의 표현 방식도 주인공이 느끼는 감정을 주인공이 직접 '나는 ~~라고 느꼈다.'라고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인물간의 대화나 에피소드 또는 은연중에 나타나는 행동들로 보여주는 식이어서 매우 세련되었다고 느꼈다.

주제가 농인사회와 농인들이 겪는 부당함과 어려움에 관한 것이다 보니, 읽은 후에도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되었다. 본문이 끝난 뒤에 나오는 작가의 말과 옮긴이의 말 그리고 이길보라 님의 말 덕분에 생각하는 데 더 도움이 되었다. <데프 보이스> 를 읽는 사람이라면, 본문을 다 읽은 뒤에 꼭 읽기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프 보이스 - 법정의 수화 통역사
마루야마 마사키 지음, 최은지 옮김 / 황금가지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CODA, 농인, 청인 같은 농인과 관련된 주제들을 접하는 것이 신선했다. 처음 접하는 주제들임에도 작가의 서술방식 덕분에 어색하거나 이해가 어려운 부분 없이 술술 읽혀서 좋았다. 또, 미스터리의 특성에 충실한 적절한 복선 배치와 긴장감이 끝까지 유지되는 이야기 전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는 내가 죽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마틴 피스토리우스.메건 로이드 데이비스 지음, 이유진 옮김 / 푸른숲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이자 이 책의 주인공인 마틴 피스토리우스 의 자전적 에세이 . 
마틴 피스토리우스는 12살 정도에 이유를 알 수 없는 갑작스런 병변으로 인해 몸을 가눌 수 없게 되었다. 몸 뿐만 아니라 정신도 함께 통제불능에 이르러서 사람들은 그를 회복 불가능으로 여겼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마틴은 점점 깨어나기 시작했다. 불행한 점은 정신은 또렷해졌는데 여전히 몸은 가누지 못하는 상태였다는 것이다. 마틴은 말도 할 수 없었다. 그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소통방법은 눈짓과 표정 그리고 손을 가끔 움직일 수 있는 것 뿐이었다. 이 책은 자신의 몸에 갇혀버린 그가 자신이 깨어있다는 것을 어떻게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고, 성숙한 개인으로 자립하기까지의 이야기이다. 

자신의 몸을 통제할 수 없다는 데서 오는 절망감과 장애인에 대한 사람들의 차가운 시선 그리고 보통 사람들에게는 당연하게 느껴지는 누군가를 사랑할 권리를 갖고 있지 않은 것처럼 느끼는 데서 오는 슬픔, 그런 모든 고통들에 대해서 마틴은 솔직하게 모두 말하고 있다. 그리고 특히 이 모든 것을 극복할 수 있었던 희망과 의지에 대해서. 실화라고 느껴지지 않을 정도의 부당함과 고통을 견뎌내고 자신의 존엄성을 지켜낸 마틴 피스토리우스 가 존경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는 내가 죽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마틴 피스토리우스.메건 로이드 데이비스 지음, 이유진 옮김 / 푸른숲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2살에 갑자기 장애를 갖게 되어 자신의 몸 속에 갇힌 채 세상과 소통할 수 없게 되었던 마틴 피스토리우스가 슬픔과 고통을 이겨내고 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지켜내기까지의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