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매트릭스>는 기계가 인간의 의식을 통제, 양육하며 만들어 내는 가짜 현실에 맞서 대항하는 SF영화이다. 그러니깐 영화에서 의미하는 매트릭스이란 가짜 현실을 실제 현실로 착각하면서 사는 컴퓨터 세계인 것이다. 가짜 현실과 실제하는 현실, 영화의 주인공들은 자신들이 가짜 현실에 살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고 컴퓨터가 만들어내는 가상현실을 파괴하고 진짜 현실세계를 되 찾으려고 저항하지만 그 그 저항은 결코 쉬워보이지 않는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떠 오른 단어가 바로 메트릭스였다. 가상현실세계인 메트릭스. 과연 우리는 자신있게 메트릭스에서 살고 있지 않다고 말할 수 있을까? 컴퓨터가 만들어 낸 가상현실은 아니지만, 우리는 우리가 만들어낸 가짜 현실에 갇혀 살고 있지 않는다라고 말할 수 있는가 말이다. 우리는 수 천년 전부터 우리가 만들어 낸 신에 복종하며 의지하였으며, 수백년 동안 이어져 내려오는 전통적인 문화와 관습에 대해 옛날부터 그래왔으니깐 따르는 것을 당연시하고(예를 들어 제사 문화, 제사 안 지내면 조상신이 후손들에게 엄청난 재앙을 내릴 것 같은 두려움에 지내는 것은 아닌지 ), 미신과  영적인 존재들이 있다고 믿는 것이야말로 가상 현실 아닌가. 왜 어떤 근거로 우리는 우리가 만들어낸 실체 없는 존재에 대해 현실적으로 있다고 믿고 숭배하거나 제를 지내는 것일까.

 

아마도 수 천년 동안 사회적, 관습적으로 의문 없이 세대가 바뀌어도 받아 들이는 순진성과 우리를 둘러싼 물질적인 자연 세계에 대해 이 땅위에  살면서도 아무 의심도 없이 받아 들인 결과물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세계 혹은 자연세계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알고 있을까?

 

솔직히 말하자.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해 잘 모른다. 나 또한 수년 전만해도 과학 지식에 무지했다. 과학 지식에 대해 잘 몰라도 사는 데 지장이 없으니깐 과학적 이론들에 대해 잘 알려고 하지 않았다. 지구가 태양을 돌고 우리는 중력법칙에 의해 지구에 서 있을 수 있다는 정도. 그 이상 알려고도 않았고 알 필요도 없었다. 왜냐하면 과학은 저 너머의 일반인들이 넘겨 볼 수 없는 머리 좋은 과학자들만의 세계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대신 나는 우리가 만들어낸 현실적 세계에 충실했다. 신을 믿었고 윤회설을 믿었으며 이 세상에는 영적인 존재가 있어 살짝 두려움에 떨기도 했으며, 믿음에 대한 배신이 큰 화를 불러 일으킬 지도 모른다고 굳게 믿었었다. 세상이 만들어 낸 메트릭스에서 한치의 의심이나 불신 없이 갇혀 살았던 것이다.

 

그러다 몇 권의 물리학책과 몇 권의 진화관련 책들을 읽으면서, 세상을 보는 시각이 변했고 강해졌다. 이럴 때 진보라는 말이 어울린다면 쓰겠다. 진보적으로 변했다. 세상엔 알아야 할 것들이 넘쳐 나고 의심투성이라는 것을.

 

아직도 갈 길은 한참 멀지만, 지금 우리는 물리학의 진정한 핵심과 정수를 찾은 것 같기도 하다. 그것은 바로 '우리가 모르는 것이 얼마나 많은지를 깨닫고, 모르는 것의 양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것'이다 p-26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과 접근법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다. 그 방식이 어떤 것이든 내가 믿고 의지하는 실체에 대해서 한번쯤은 의심하고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 그래야 우리는 거대 권력의 메트릭스에서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틈틈히 현실 세계를 가장 정확하게 이해하는 방법으로 과학책을 읽을 것이다. 이 책은 어쩜 물리학史를 알기 쉽게 정리했다고 할 수 있겠다. 시공간속에 살면서 그들의 존재를 까막게 잊고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시간과 공간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획기적인 발견과 물리학사의 여러 발견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은하계에서 지구가 무한 생명을 가진 불로장생의 행성이 아닌 아닌 50억년 후에는 불가피한 죽음을 맞이할 수 밖에 없는 이유와 그리고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여러가지 조건이 잘 갖춰진 우리의 골디락 zone인 지구를 보호해주는 자기장이 약해지고 있다는 흥미로운 글들이 넘쳐 난다. 현재의 메트릭스에서 빠져 나올 수 있는 가장 손 쉬운 방법은 과학책이 아닐까.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군자란 2012-09-18 09:27   좋아요 0 | URL
님의 생각에 동감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의식도 못믿을 거라는게 두렵습니다. 결국 자기가 믿고 싶은 것만 믿는 이기적인 속성이 우리 의식의 본질이기에 기본적으로 신뢰하지 않습니다. 아직도 자기라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조차도 확정된 것이 없기에 유동적인 삶. 유동적인 가치, 유동적인 존재라는 것이지요.

기억의집 2012-09-18 21:10   좋아요 0 | URL
그렇긴 해요. 믿고 싶어하는 것만 믿으려고 하죠. 저도 그러고 보면 신이 없다,고 생각하기 시작하니 그쪽으로만 읽게 되거든요. 근데 차라리 유동적인 게 더 새로운 틀을, 사회적 가치관을 만드는데 용이하지 않을까 싶기는 해요.

2012-09-18 22: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9-19 17: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9-25 14: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9-27 08: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9-27 12: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icaru 2012-09-27 09:11   좋아요 0 | URL
표지가 책의 내용을 상징*압축적으로 표현하고 있어서, 나의 이해도와는 무관하게 잘 만들어진 책일 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ㅎㅎ
아, 이렇게 해서, 앞으로 읽어야 할 책 목록에 한 권 또 추가요!! ㅎ

기억의집 2012-09-27 12:18   좋아요 0 | URL
이 책은 물리학에 대해 정리가 쉽게 되어 있어요. 재밌기도 하고. 번역도 알아주는 분이 하셔서 매끄럽구요. 이카루님, 카톡으로 나중에 보내겠지만, 명절 잘 보내세요. 전 올해 집에 있어요. 안 내려가고~ 완전 맘 편한 거 있죠.

책읽는나무 2012-09-27 14:29   좋아요 0 | URL
최재천의 '통섭의 식탁'이란 책을 얼마전에 읽었는데요.
그래서인지 님의 페이퍼 내용이 쏙쏙 귀에 들어오게 되네요?
책을 읽으면서 그동안 이쪽 계통의 책들을 너무 멀리하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그런 생각을 문득 했었습니다.바로 가까이 두고 챙겨 읽어야할 책이지 싶어요.
헌데,'물리학'이라고 하니..좀 긴장되긴 합니다만..ㅋ

아~ 나도 스맛폰 구입해야하나? 싶네요.내주변 모든이들이 스마트폰으로 카톡 주고 받고 있으니 흑~ 진짜 이젠 나만 골동품 핸드폰 가지고 있더라구요.ㅠ
약속 정할때도 카톡으로 자기들끼리 다 정해놓고,전 언제나 통보를 받고 있다죠?ㅋ
지금 대화 화제꺼리는 그 애니팡인가? 뭣인가? 귀찮아 죽겠다고 하던데..쩝~
전 그게 뭔 소린지??? 덕분에 전 귀찮지 않아 좋은건지? 그것마저도 부러운건지?ㅎㅎ
갑자기 '카톡'이란 문구를 보니 '애니팡'이 떠올라서요.

기억의집 2012-10-09 11:14   좋아요 0 | URL
ㅋㅋ 나무님, 답글이 너무 늦었죠. 하루하루가 총알처럼 갑니다. 스맛폰 재밌어요. 생각보다 재밌어서 하루종일 손에 끼고 살고 있다는. 저는 애니팡은 안 해요. 게임은 예나 지금이나 좋아하지 않아서 깔지도 않았어요. 울 아들은 한번 해 보라고 카톡으로 연신 뭐 날리던데...걍 생까요.

통섭의 식탁 전자책으로 사서 읽었는데,,,,솔직히 별로였어요. 그나마 반값으로 사서 다행이지...가볍게 읽긴 했지만, 글에 성의가 별로 없으신 듯 했어요.

2012-09-27 22: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10-09 11:1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