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sbs 뉴스 추적>을 보았다.
말인즉슨, 이젠 개천에서 용이 나온다는 말은 옛말이라는 것이다.
강남에서 학교를 다닌다는 이유만으로 초등학생이 11개나 되는 살인적인 과외수업을 받고 있다. 방과후 한가하게 놀고 있는 아이는 찾아 볼 수 없다는 것. 이 얘기는 몇해 전에도 다뤘던 내용이다.
한 초등학교 교사의 말에 의하면 아이들은 스트레스에 찌들어 어린 아이다운 생기발랄함이 없다는 것. 조사에 의하면 반 전체 아이들 거의 대부분이 우울증을 보이고 있었고, 어떤 아이는 자살충동까지 보인다고 했다.
아이들이 과외하느라 얼마나 바쁘던지 엄마가 차로 아이를 다음 과외를 받을 장소로 이동하는 동안 그 차안에서 샌드위치로 끼니를 때운다는 것. 쳇, 잘 나가는 연애인들 그렇게 하고 산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얘들이 무슨 연예인이냐?
강남에 사는 아줌마들 아이들은 대학 보낼 때까지 드는 과외 비용은 6~7천만원이 든다고 한다. 그것도 마이너스 통장까지 만들고 카드빚까지 내면서. 자기네들도 그것이 잘못됐다는 것을 알지만 이렇게 안해서 내 아이 뒤떨어지면 어쩌나 불안한 마음에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한다.
이젠 개천에서 용이 나오지 않는 것은, 부모들이 학력이 높을수록 아이들도 그만큼 학업능력이 좋다는 것이다. 부모가 학력이 낮을수록 아이들도 자연 낮다고 한다. 어느 부산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해 서울대학을 다니고 있는 여대생은 지금 서울대를 다니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강남의 고등학교를 졸업한 아이들이어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과연 강남불패다.
이젠 개천에서 용이 나올 수 없다는 말이 설혹 맞다고 치자. 용이 용 일수있는 건 그 유일성 때문일 것이다. 강남은 용 사육장인가? 그런 용 모아 놓으면 뭐가 되겠는가?
인성교육은 아직도 이루어지지 않는가 보다. 도곡동 타워팰리스와 바로 인접해 있는 동네는 빈민촌이다. 타워 팰리스 주변에 있는 부모들은 자기 아이에게 그 동네 아이들과 놀지 말라고 가르친단다.
글쎄, 내가 부모가 안돼 봤으니 나도 자식이 있으면 그 자식에게 그렇게 가르쳤을지 모르는 일이라 뭐라 할 말은 없겠다만, 도대체 이 아이들이 자라면 뭐가 되있을런지 심히 궁금해지는 건 사실이다.
나름대로 똑똑하고 실력은 갖췄겠지. 하지만 남을 배려하거나 함께하는 뭐 그런 걸 재대로 할 수 있을까? 자기도 확실할 수 없고, 잘못됐다는 걸 아는데 그것을 아이들에게 강요할 필요가 있는 것일까?
사실 개천에서 용이 나올 수 없다고 단정짓는 것은 뭔가 새롭지 못한 발상이다. 새로운 패러다임, 새로운 가치가 만들어지면 왜 개천이라고 용이 나오지 말라는 법이 어딨겠는가?
그렇다면 지금의 강남의 용들은 이무기되는 거겠지. 그런 날이 속히 왔으면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