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의 영문법 100법칙 - 읽으면서 이해하고 암기 필요없는
도키요시 히데야 지음, 김의정 옮김 / 더북에듀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어공부하는데 도움얻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책 겉표지 문구 보면 [읽으면서 이해되고 암기가 필요없다]고 홍보하고 있어서 정말 그러한지 아닌지 궁금했다. 저자가 누구인지 내 알 바가 아니고, 어느 분야든지 간에 저자들이 저명하거나 말거나 별 관심 없는 사람이지만, 책이 괜찮은지 아닌지는 내 개인적인 경험으로만 바라보는 출판사 선입견(?)으로 이 책을 볼까말까하는 고민을 줄였다. 집에 더북에듀 영어 도서가 있기에 저자에 대해서는 모르더라도 출판사를 보고 이 책을 일단 보기로 했다.




이 책이름이 [악마의 영문법 100 법칙]인데, 저자가 일본인인데 일본의 원서 제목은 어떠한지 야후재팬에 들어가서 검색해봤다. 저자가 동일인인지는 나는 잘 모르겠지만, 저자이름으로 검색해보니까 [英文法の鬼100則] 이렇게 나온다. 네이버 파파고번역기로 번역해보니까 [영문법의 술래 100칙] 이렇게 나온다. 鬼을 악마로 번역하는 것이 맞는 건지 내가 일본어 번역을 할 줄 모르지만, 어감이 좀 그런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과는 별개의 얘기지만 한 때 방송에서는 악마의 유혹 땡땡 커피 이런 광고로 해당 커피 작명에 반발하는 종교단체의 항의가 있기도 했다. 독자마다 생각 다를 수 있겠지만, 책이름이 악마의 영문법이라고 하니까 기분이 어째 좀 그렇다. 독자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이 책의 내용에 끄덕이고 좋아라하면 악마에 순종하는 듯한 느낌이 들 수도 있으니 말이다. 차라리 책이름을 [마법의 영문법 100법칙]이라고 했다면 좀 낫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이건 내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다.

 나는 절에 다니는데, 내 주위에 기독교인 지인이 몇 명 있는데, 그들에게 영어공부하는데 괜찮은 책이라고 하면서 이 책을 선뜻 권하기가 좀 그렇다. 날 나쁘게 바라볼까봐 좀 그렇다. 뭐 요즘 미디어에는 게임 같은 데서 뿔 두 개 달린 악마다 튀어나오는 등 워낙 악마의 상징이 아무렇지 않게 노출돼서 악마에 대해 경계심이 적어졌을 수도 있겠지만, 책이름이 어째 좀 그렇다.




그건 그렇고 책내용은 나름대로 괜찮은 편이다. 중요해보이는 부분에 물결무늬 밑줄도 그어져 있고, 진한 글씨로 표기되기도 하고, 편집에 공을 들인 흔적이 보인다.


속지 품질도 나름대로 우수한 편이라고 본다. 지난 달에 자격증 관련 도서를 샀는데, 그 책은 나름대로 가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속지 품질이 장기간 보관하다보면 변색될 수 있는 그런 종이를 써서 출판사를 찾아가서 이 괜찮은 책을 이 따위 수준으로 밖에 만들 수 없냐고 너무한 거 아니냐고 항의하고픈 생각이 들기도 했는데, 이 책은 종이품질에도 신경 쓴 편이어서 온습도가 한쪽으로 심하게 쏠리지 않은 이상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변색이 적을 것 같아서 이런 부분도 내 개인적으로 마음에 들었다.


집중력을 방해하는 기기들을 멀리 두고 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 부분부터 긴장 풀고 차근차근 보면 좋을 것 같다. 내 개인적으로 책 이름이 좀 아쉬울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픽 노블로 읽는 수학 이야기 쉽고 재미있는 인문학 3
인동교 지음 / 시간과공간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인인 나도 그렇고 한창 공부할 때인 조카도 그렇고 수학공부하는데 도움주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어느 분야이든지 간에 친근하고 재밌고 쉽게 접근하기 쉽다면 그 분야를 익히려고 하는데 도움이 된다. 안 좋은 예를 드는 것이지만 아이들 공부하는 학원가에도 마약이라는 게 돌고 있다는 뉴스가 나오는데, 접근하기 쉬우니까 그런 거다. 접근하기 쉬울 때 접근하려 하는 것이다. 어렵게 느껴지는 공부도 접근하기 쉬워야 자연스럽게 공부하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요즘 책들 보면 [그래픽 노블, 그래픽 노블] 이런 책이름이 나오곤 하는데, 그래픽 노블(Graphic Novel)을 인터넷으로 검색해보면 그림 소설이라고 번역된다. 만화소설, 그림 소설이라고 말하면 내 나이대나 내 나이 위에 세대들은 이해하기 쉬운 편일 텐데, 그래픽 노블이라고 하니까 내 개인적으로는 좀 어색하긴 하다. 그러거나 말고나 책 겉표지 그림을 보면 내 눈에는 캐릭터가 험상궂게 안 생기고 재밌어 보여서 책을 봤다.


책은 초중고 대학 시절에 한번쯤이라도 들어봤던 수학자들의 얘기가 나온다. 대입수능이나 시험을 치르기 위하여 수학공식을 암기하기 바빴던 지난 날들과 달리 책을 보는데 있어서 부담감이 적고, 당대 수학자들에게 있었던 몰랐던 이야기들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책이름이 그래픽 노블이라고 한 만큼 소설적인 부분도 없지 않아 있겠지만, 여기저기 문헌에서 나온 걸 토대로 이야기를 구성한 것이라는 생각도 들어서 수학자가 어떤 일을 해거나 말거나 어떤 일을 겪었거나 말거나 나는 그런가보다 하면서 이 책을 보았다.


학창시절 피타고라스에 대해 몰랐던 정보를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내 개인적으로 철학자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수학자이기도 했다는 탈레스가 피타고라스의 스승이었다는 것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내가 봐왔던 수학책에 이런 정보가 담겨 있었더라면 수학에 대한 관심을 조금이라도 더 기울이려고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수학자들의 그림만 있기보다는 실제사진이나 조각상도 곁들여서 나오면 좋았을 것 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이 든다.

책 맨 뒷부분에는 참고문헌이 있다. 수학사가 궁금한 독자들은 이 책 말고도 해당 책을 살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초반에 이집트인들이 수학을 실용적으로 써먹었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한국교육도 수학을 실용적으로 써먹을 수 있는 방법으로 가르치려 한다면 사람들이 수학에 대한 관심을 더 가지려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고, 제 나름대로 솔직하게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르면 호구 되는 부동산상식 - 난생처음 부동산 문을 열기 전에 당신이 알아야 할 최소한의 부동산상식 떠먹여드림 모르면 호구 되는 상식 시리즈
박성환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동산 공부하는데 도움얻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독자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내 개인적으로 책이름이 나름대로 마음에 들었다. [모르면 호구되는...] 이 책 받고 책 뒤페이지를 보니까, 이 책이 [모르면 호구되는] 시리즈인가 보다. 이러나 말거나 책내용이 어떠한지는 책의 목차를 보고서 이 책을 볼까말까 고민하다가 보기로 결심했다. 나 역시 모르는 부분이 참 많기 때문이다. 책을 펼쳐보면 핵심용어에 있어서는 녹색바탕에 검은색 진한 글씨로 해당 용어를 강조해서 독자들이 이런 용어들은 알아두기 바라는 듯하게 하였고, 독자가 나중에 내가 뭘 읽었지 할 때 해당 용어를 상기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동산 용어를 보면 알겠지만 한자어가 많아서 이왕이면 해당 용어에 한자어도 같이 병기해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이건 내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다. 요즘 문해력 무해력 이러는데 문해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자를 어느 정도 알아두면 좋기 때문에, 한자 병기 얘기를 꺼내봤다.




주의할 점이나 중요해보이는 부분에 있어서는 밑줄치고 보면 좋을 것 같다. 어떤 책들은 이런 부분들을 강조해서 표기하곤 하는데, 독자마다 중요해보이는 부분이 다르고, 중요한 부분들이 많아서 밑줄 칠 곳들이 많아지다보면 가독성이 떨어질 수도 있으므로 일부러 이런 표기까지는 안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귀차니즘 발생으로 이런저런 생각을 해본다. 이게 그렇거나 말거나 내가 알지 못했던 주의할 점을 책 속에서 어느 정도 알게 돼서 이런 부분들은 내 개인적으로 참 마음에 들었다. 부동산 사기를 당하면 이 책보다 수백배의 손실을 갖게 되는 것이니까, 내 나름대로의 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에 만족했다.


왜 나의 초중고 학창시절에는 이런 정보들은 공부과목에는 없고 세월이 흘러가면 잊혀지는 그런 과목들로 구성되었는지 참 아쉬운 생각이 들면서, 살기 위해서는 밥벌이를 하면서도 계속해서 책을 봐야한다는 생각이 들면서 이 글을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쇼펜하우어의 논쟁 대화법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김시형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자 쇼펜하우어가 말하는 설득술이 있다. 38가지 기술이라는데 그 기술이 뭔지 궁금했다. 몇 문장으로 말하는 설득술인지 아니면 옮긴이의 글이 첨부되어 설명되는 것인지 궁금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사실 나는 이 책을 보기 전에 쇼펜하우어가 말하는 설득술을 담은 책을 보았다. 옮긴이의 글이 더해진 것인지 아닌지 알 수가 없었다. 그래서 이 책과 그 책을 비교해봤다.




두 권의 책을 비교해보니까 그 책이나 이 책이나 두 권 모두 쇼펜하우어가 말한 내용을 옮긴 것으로 구성된 게 맞았다. 두 권의 책을 비교하면서 “아! 쇼펜하우어가 이렇게 말한 것이 맞는가보다.”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 책 말고 다른 책을 보다보면 옮긴이의 생각이 담긴 글이 더해져서 저자의 글을 옮긴 것인지 옮긴이의 생각으로 해석이 달라진 것인지 헤깔릴 때가 있는데, 그렇지 않다는 걸 확인하게 되었다. 다만 쇼펜하우어 설득술을 다룬 두 권의 책을 보면서 옮긴이의 번역능력에 의해서 원문의 내용을 받아들이는 게 달라질 수 있다는 걸 다시 느끼게 되었다.




쇼펜하우어가 독일 사람인데, 내가 독일어를 알지 못하여, 이런 말 뜻인지 저런 말 뜻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그렇다고 내가 직접 독일어를 배워서 쇼펜하우어가 말하고자 하던 걸 직접 해석할 시간은 그렇게 없다. 밥벌이하다가 피곤하여 잠자기 바쁘기 때문이다.


이 책은 내가 먼저 본 설득술에 비하여 번역이 좀 강하게(?) 느껴진다. 부드럽게 돌려 말하는 스타일이라 하기보다는 거침없이 직설적인 표현이라고 해야 하나 내 개인적으로 이렇게 느껴진다. 그 시대에 쇼펜하우어가 이런 식으로 말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내 개인적으로 이런 스타일을 좀 선호하는 편이어서 그런가보다 하면서 봤다.


책은 크게 2장으로 구성되었는데, 1장은 쇼펜하우어가 이렇게 말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이 책 말고 다른 도서에서도 이런 내용이 나오는데 구성방식이 이 책의 구성방식과 달라서 비교해보려다가 귀차니즘으로 포기했다. 만약 나처럼 비교하는데 귀차니즘이 발동하다면 1장 내용은 일단 건너뛰고 2장부터 보면 될 것이다.


책 겉표지와 마찬가지로 일부 글씨는 분홍색으로 쓰여 있다. 분홍글씨를 그렇게 선호하는 편이 아니고, 책크기도 좀 작은 편이어서 이런 구성방식은 좀 아쉬웠다. 나 같은 경우 이 책 말고도 책이 택배로 배송될 때 아주 드물지만 흙먼지 같은 게 묻어 있어서 오는 경우도 있기에 화장지에 에탄올(+물) 묻혀서 겉면을 닦아내는 게 습관화됐다. 이 책 겉표지가 물을 쉽게 흡수하는 코팅이 안 된 스타일이라서 이 부분이 개인적으로 아쉬웠다. 겉표지 닦다가 에탄올+물에 살짝 불어나서 얼른 후다닥 말리고 두꺼운 책 밑에 넣고 납작하게 깔아두었다.

겉표지가 친환경 스타일 인 것 같은데, 나 같은 경우 코팅된 겉표지를 선호하고 속지 짱짱한 걸 좋아하는 터라 이런 부분이 내 개인적으로 아쉬웠다. 그렇지만, 2장 38가지 대화법 번역 부분은 나름대로 이해하기 쉽고 마음에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라우마 사회심리학
미타니 하루요 지음, 명다인 옮김 / 또다른우주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면서 사연 없는 사람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겉으로는 웃고 있지만, 내면에는 슬픔이 누구에게나 어느 정도는 있다고 본다. 트라우마를 극복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지만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ACE 생존자라고 나와 있는데 단순하게 영단어 풀이만 해버린다면 1인자, 우수한 이렇게 번역해버릴 수도 있겠지만, 여기서 ACE는 약자라고 한다. Adverse Childhood Experience의 약자로 아동기 부정적 경험에서 살아남은 사람을 가리킨다. 누구에게나 유년기시절에 이런 경험은 있지 않을까 한다. 유난히 이런 부정적 경험을 가진 사람이 많을 수 있겠지만, ACE 생존자를 세세하게 가리지 않아도 이런 부정적 경험해본 사람들은 한 둘이 아니라고 본다.




ACE 생존자들을 위한 회복탄력성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방법이 나와 있다. 그들을 위한 지지자가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 나온다. 키다리 아저씨마냥 후원해주는 사람이 있다면 더욱 좋은 것일 테고, 사회가 그런 환경이면 더욱 좋고 그래서 복지라는 것이 있는  것이겠고..... 그런데 현재 세상을 보면 알겠지만 점점 어두운 그늘이 다가오고 있다. 하여 대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사람들의 의식이 깨어나면 또는 깨어 있다면 좋겠지만, 다들 먹고 살기 바쁘고 힘들어서 어떤 위기가 닥쳐오는지도 잘 모르는 것 같다. 주변에 지지자가 없다면 결국 셀프지지라도 해야 할 것이다. 그런 방법 중의 하나가 이런 책들을 읽으면서 자신을 달래고 자기자신 스스로 일으켜야 한다. 전쟁상황을 보면 알겠지만 부상당한 전우를 구하려다가 멀쩡한 전우 또한 같이 죽게 되는 경우가 있다. 결국 내가 다쳤건 안 다쳤건 간에 스스로를 챙기려고 노력해야 하고, 그것이 타인을 위한 방법이기도 하고, 어느 정도 타인도 챙겨주면 좋은 그런 상황을 만들려고 노력하면 좋다.

 공부라는 것이 그런 것 중의 하나일 것이고, 밥벌이라는 것도 그런 방법 중 하나일 것이라고 본다.


밥벌이하느라 정신없이 살지만, 역사시간에 배운 것처럼, 다른 나라 같은 경우는 잘 모르겠지만, 한국은 반만년 역사를 가진 나라이다. 살면서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정신을 잊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든다. 이것은 기독교의 사랑, 불교의 자비심과 연계된다고 본다. 바다 한 가운데 꿀 한 방울 떨어뜨리고서는 꿀 첨가했다고 자랑스럽고 태연하게 말하기에는 너무나 부끄럽지만, 아주 뜸하게라도 이런 생각을 가지고 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살면서 상종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도 더러 있어서 이런 생각들이 언제 그랬냐는 듯이 싹둑 잘려지고 사라져버리지만....배운 놈이 가오라는 걸 잡으려면 그만큼 배운대로 행동해야한다는 게 따라다니게 되는 것 같다. 세상에 공짜라는 건 없는가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