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노블로 읽는 수학 이야기 쉽고 재미있는 인문학 3
인동교 지음 / 시간과공간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인인 나도 그렇고 한창 공부할 때인 조카도 그렇고 수학공부하는데 도움주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어느 분야이든지 간에 친근하고 재밌고 쉽게 접근하기 쉽다면 그 분야를 익히려고 하는데 도움이 된다. 안 좋은 예를 드는 것이지만 아이들 공부하는 학원가에도 마약이라는 게 돌고 있다는 뉴스가 나오는데, 접근하기 쉬우니까 그런 거다. 접근하기 쉬울 때 접근하려 하는 것이다. 어렵게 느껴지는 공부도 접근하기 쉬워야 자연스럽게 공부하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요즘 책들 보면 [그래픽 노블, 그래픽 노블] 이런 책이름이 나오곤 하는데, 그래픽 노블(Graphic Novel)을 인터넷으로 검색해보면 그림 소설이라고 번역된다. 만화소설, 그림 소설이라고 말하면 내 나이대나 내 나이 위에 세대들은 이해하기 쉬운 편일 텐데, 그래픽 노블이라고 하니까 내 개인적으로는 좀 어색하긴 하다. 그러거나 말고나 책 겉표지 그림을 보면 내 눈에는 캐릭터가 험상궂게 안 생기고 재밌어 보여서 책을 봤다.


책은 초중고 대학 시절에 한번쯤이라도 들어봤던 수학자들의 얘기가 나온다. 대입수능이나 시험을 치르기 위하여 수학공식을 암기하기 바빴던 지난 날들과 달리 책을 보는데 있어서 부담감이 적고, 당대 수학자들에게 있었던 몰랐던 이야기들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책이름이 그래픽 노블이라고 한 만큼 소설적인 부분도 없지 않아 있겠지만, 여기저기 문헌에서 나온 걸 토대로 이야기를 구성한 것이라는 생각도 들어서 수학자가 어떤 일을 해거나 말거나 어떤 일을 겪었거나 말거나 나는 그런가보다 하면서 이 책을 보았다.


학창시절 피타고라스에 대해 몰랐던 정보를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내 개인적으로 철학자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수학자이기도 했다는 탈레스가 피타고라스의 스승이었다는 것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내가 봐왔던 수학책에 이런 정보가 담겨 있었더라면 수학에 대한 관심을 조금이라도 더 기울이려고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수학자들의 그림만 있기보다는 실제사진이나 조각상도 곁들여서 나오면 좋았을 것 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이 든다.

책 맨 뒷부분에는 참고문헌이 있다. 수학사가 궁금한 독자들은 이 책 말고도 해당 책을 살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초반에 이집트인들이 수학을 실용적으로 써먹었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한국교육도 수학을 실용적으로 써먹을 수 있는 방법으로 가르치려 한다면 사람들이 수학에 대한 관심을 더 가지려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고, 제 나름대로 솔직하게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