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대중문화 분야의 주목할만한 신간 도서를 보내주세요

지난 1년 몇개월 동안 거의 음악을 듣지 않고 지냈던 탓인지 '짐 모리슨'과 '커트 코베인', 그리고 지난달에 이어 다시 보이는 '음악과 삶'이라는 주제가 유독 눈에 뜨인다. 물론, 추천도서에는 이 책들을 꼽지 않았지만 음악 아니면 죽고 못살던 시절을 떠올리기에는 충분한 자극이었다. 전영혁의 25시(이후 '전영혁의 음악세계'로 타이틀이 바뀌었다)의 시그널 뮤직을 손꼽아 기다리던 그 때, 잠들기 직전까지 음악을 들어야 직성이 풀리던 그 때, 눈보라가 휘날리는 겨울일지라도 음반 하나 사기 위해 아무도 없는 길거리를 헤메던 그 때... 봄을 타나? 다시 음악이 그리워지는 듯하다.

무튼, 이제 서점에서 뒤져본 책들을 추천할 차례.  



 

<지혜로 지은 집 한국 건축> 

며칠 전 추천도서 목록에서 한 권을 빼고 이 책을 추천한다. 사실 도면들이 많이 수록되었다는 설명을 보고 전공교재까지는 아니여도 부교재나 참고도서(전공자를 위한)쯤 되리라 생각해서 아무도 추천하지 않을거라 예상했는데, 그래서 추천하고 싶었지만 그냥 삼켜버리고 말았는데, 지금 보니 많은 분들이 선뜻 이 책을 추천하시는 것을 보고 용기(?)를 얻어 함께 밀어본다.^^ 

한국 건축의 공간, 형식, 구조 등 기초부터 차근차근 모두 살펴볼 수 있는 엄청 기대되는 책이다.




 

<사유속의 영화>


이 달에 가장 보고 싶은 책이다. 이 책을 읽게 된다면 5월에는 평가단에서 딱 한권만 선정된다 해도 상관없을 것 같다. 영화 이론에 대해 이렇게 알차게 모아놓은 책이 또 있을까? 물론 각 학자의 이론에 대해 심도 있게 다가가려면 먼 길이며 영화에 국한된다기 보다는 예술, 인문에 두루 걸치는 방대한 지식임을 간과할 수 없지만 이렇게 한 권으로 영화를 둘러싼 주요 담론들을 한꺼번에 만날 수 있는 기회는 정말 행운이다.





 

<퍼블릭 인티머시>


미디어 아트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개념이 확장되고 예술의 경계가 무너지는 것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말해줄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몸에서 영화적 요소들과의 관련성을 발견해 내고, 그것을 방이라는 공간적 개념으로 확장할 수 있는 신묘한 세계가 미디어 아트라면 한번쯤 푹 빠져 그 방들 사이의 여행에 동참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결국, 음악>


이젠 새 세대의 음악 이야기를 들어야 겠다. 1980년대부터 시작하는 음악 이야기이니 80년대가 가장 오래된 시간이고 따라서 오늘날과 가깝다면 가까울 수 있는 90년대의 음악 이야기도 많이 들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V 생방송에 등장하던 '서태지와 아이들'을 오늘의 아이돌 스타가 아닌 음악사 속의 아티스트로 만나게 된다면 어떤 느낌일까? 스타로 주목받지 않았더라도 묵묵히 자신만의 음악세계를 구축했던 인디밴드들은 지난 30년간 음악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많은 것들이 궁금해지는 책이다.
 


 

<에디토리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미술잡지 <월간미술>의 편집장 이건수의 글을 모은 책이다. 15년간 한결같이 <월간미술>을 지켜왔다는 것 만으로도 참으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기에 그의 내공을 기대하며 이 책을 선뜻 택해본다. 또한 에디토리얼에는 미술계의 각종 이슈에 관한 사색들이 더 두드러지는 편이라 지난 우리 미술계의 대소사를 통해 미술과 사회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우려되는 것은 책소개에서 '신정아 사건'을 언급하고 있다는 점인데, 이 책의 내용이 그 사건과는 무관하길 바란다(좀 전 내게 유일하게 남아있는 <월간미술> 2007년 8월호를 펼쳐 보았다. 헛! 그런데 그때의 에티토리얼 제목은 '진실게임'...이건 신정아 사건에 관한 이야기였다...ㅠ.ㅠ).
 


그밖에도 4월에는 한 명의 아티스트의 작품과 생애를 집중해서 다룬 책들이 눈에 뜨였다. <반역의 시인, 랭보와 짐 모리슨>은 아주 오래 전 반쯤 읽었던 짐 모리슨의 전기 <Doors>(혹은 <도어스>였을 수도 있다)가 떠올랐다. 물론 이 책은 단순히 짐 모리슨의 전기는 아니고 랭보와 모리슨에서 발견되는 공통성을 주제로 쓰여진 책인데, 두 사람을 비교한 점이 흥미로워 읽고싶긴 했지만 우선순위에서 밀렸다. <커트 코베인>의 경우 전적으로 그의 전기이다. 미스테리한 죽음은 항상 의문과 관심을 남기는 법. 아기가 헤엄치는 너바나의 앨범 표지가 눈 앞에 아른거리며 그의 부고를 알리는 소식을 듣던 때를 생각해 본다. 저 세상에서는 새로운 영으로 태어났을까? <앤서니 브라운의 나의 상상 미술관>은 영국 최고의 동화작가라 인정받는 앤서니 브라운의 작품세계를 담고 있다. 사실 동화와는 크게 상관이 없지만 그의 ‘모양 상상 놀이(Playing the Shape Game)’ 이라는 것을 좀 더 자세히 보고 싶은데...(사실 이것은 <마술연필>이나 <마술연필을 가진 꼬마곰>을 보면 약간 엿볼 수 있다. 덧붙이자면,나는 조카 덕에 엿봤다) 마지막으로 <프랭크 게리와의 대화>는 미국의 건축가 프랭크의 작품세계와 지금까지의 생애를 다룬 책이다. 물론 이와 비슷한 책들이 많긴 하지만 가장 최근 것이니 게리에 대해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선택해 봐도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