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바다 ㅣ 미슐레의 자연사 1
쥘 미슐레 지음, 정진국 옮김 / 새물결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오늘의 환경운동과 녹색 사상의 마르지 않는 샘’이라는 역자의 후기(그리고 뒷표지 상단에 자리잡은 출판사의 카피)는 과언이 아니었다. <프랑스 대혁명사>로 유명한 쥘 미슐레의 이 책에 대한 출판사의 자랑이 처음에는 허풍 떨기 좋아하는 출판사의 과장된 광고에 불과하겠지라는 생각을 했다. 자연에 관한 책이라고, 그리고 오래전(19세기!)에 출간되었다고 해서 녹색사상의 대표적인 고전에 반열에 올리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했다.
“바다라는 큰 세계의 일은 현실적이다. 바로 사랑하고 번식하는 일이다. ... 이것이 바다다.
바다는 지구의 거대한 암컷이다. 지칠 줄 모르는 욕망으로, 영원한 수태로 새끼를 낳는다.
절대로 끝이란 없다.” (103쪽)
“이 지구상에 처음으로 생명을 낳은 바다는 인간이 그 질서를 존중할 줄 알고
그것을 깨뜨리지 않고 참을 줄만 안다면 그 복 받은 양식을 기꺼이 내놓을 것이다.
지구의 안녕을 위해서 바다 고유의 신성한 생명과 그 완전히 독자적인 기능을
잊지 않아야 한다.” (295쪽)
녹색사상가들의 글을 많이 읽은 사람이라면 미슐레의 이러한 글들이 새롭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내가 이 책을 경이적인 시선으로 보게 된 이유는 미슐레의 지구와 바다에 대한 ‘탈근대적 견해’가 세상에 나온 때가 19세기라는 것이었다. 이성의 시대라고 불리는 19세기에 자연이란 것은 인간을 위해 이용되어야 하고 개척되어야 할 ‘대상’에 불과했었다. 20세기 후반이 되어서야 ‘이성’에 대한 회의가 가능했다. 인류는 이성적 존재인 자신들이 저질렀던 끔찍한 두 차례의 세계대전의 결과를 보고난 후, 그리고 자신들이 이용한(파괴한!) 자연이 되돌려준 끔찍한 결과를 경험했기 때문이다.
녹색사상과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이 활발하게 논의된 것은 이러한 경험의 토대에서 가능했다. 그런데 19세기에 씌어진 이 책의 사상은 ‘탈근대적’이며, 자연속의 인간(인간을 위한 자연)이라는 동양적 자연관과 녹색사상의 견해가 완벽히 담겨 있다. 미슐레의 이 책은 21세기인 지금 읽어도 전혀 낡은 것이 아니었다.
미슐레의 책을 읽으며 또 하나 느꼈던 것은, 한 사회의 지적 전통과 지식의 축적의 중요성이다. 유럽을 뒤흔들었던 대항해 시기의 경험, 대양을 누볐던 이들이 남긴 경험담과 기록이 없었다면 미슐레의 바다에 대한 이 광대한 사고와 지식이 가능할 수 있었을까? 아마 나올 수 없었을 것이다. 우리에게도 <표해록>이나 <자산어보>와 같은 귀중한 저술들이 남아 있긴 하지만 그 절대적인 수가 너무 적었고 바다에 대한 경험을 ‘기이한 이야기이거나 천한 사람들의 것’으로 치부하는 문화에서는 이러한 저작은 나올 수 없었을 것이다. 저술은 왕성한 호기심과 열정을 가지고 관심이 있어야 가능하다. 그래서 이러한 뛰어난 저작을 남길 수 있었던(우리에게는 없는) 그들의 지적 전통이 부럽기도 했다.
이 책을 읽고 있으면 대서양을 바라볼 수 있는 프랑스 서쪽 바닷가 절벽 위에 서있는 기분이 들다가도, 잠수정을 타고 바닷속을 여행하는 듯한 기분이 들고, 때론 큰 범선을 타고 극지의 차가운 바다와 적도의 뜨거운 바다를 횡단하는 여행을 하는 기분이 들었다. 바다에 관심이 없더라도, 지금은 낯선 19세기의 고색창연하고 우아한 문체를 싫어하는 독자라도 읽다보면 여태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세계를 만날 것이다. 바다가 달라 보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