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 1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래 제목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로 상당히 긴 편이라서, 부르기 편하게 줄여서 <직지>라고 한다. 이 책은 고려 말에 국사를 지냈던 백운 스님이 선불교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여러 이야기를 모아 만든 책이다. 책은 원래 상하 두 권이었는데 현재는 하권만 남아 있고 그것도 첫 장은 없어진 상태이다.

 

<직지>는 1377년에 인쇄되었으니, 1455년에 인쇄된 서양 최초의 금속활자인쇄본인 구텐베르크42행 성서보다 무려 78년이나 앞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금속활자 발명은 직지보다 훨씬 앞서서, 기록으로만 그 존재가 알려진 <고금상정예문>이라는 책은 구텐베르크보다 200년 이상 앞선 인쇄물이다.

2001년 유네스코에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데, 이 책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이 책이 한국의 것이며 금속활자로 인쇄됐다는 것을 밝힌 분은 박병선 박사님이다. 박사님은 프랑스 국립도서관 사서로 계시면서 이 책을 발견했을 뿐만 아니라, 혼자 노력으로 이 책이 금속활자 인쇄본이라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저자 김진명은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라는 베스트셀러로 이름을 날린 작가이다. 대부분은 작가들이 신춘 문예나 전국적인 규모의 문학상을 통해서 등단한 반면 그는 그러한 이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장편 소설 두 권으로 문단에 나타나서 베스트셀러 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이후로도 발표작마다 대중적인 호응을 얻었지만 문학적인 평론에 있어서는 그리 큰 작가로서 취급되지는 않고, '극단적 민족주의자', '과도하고 거친 상상력의 작가'라는 일종의 꼬리표를 달았다.

 

대표작으로는 한일 관계의 새로운 지형도를 펼쳐 보였던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일제의 문화재 약탈과 광개토대왕비의 비밀을 파헤친 <몽유도원(구판 : 가즈오의 나라)>, 금융 대란과 함께 찾아온 우리의 정신 문화 위기와 그 극복을 위한 <하늘이여 땅이여>, 10.26을 통해서 미묘한 한미 관계에 대한 작가의 시선을 보여준 <1026(구판 : 한반도)>, 고대사 문제를 새롭게 조명해낸 <천년의 금서>, 역사상 가장 강력했던 나라 고구려의 이야기를 최근의 국제정세와 함께 풀어낸 <고구려> 등이 있다.

 

 

 

일간지 사회부 기자 김기연은 베테랑 형사조차 충격에 빠뜨린 기괴한 살인현장을 취재한다. 무참히 살해된 시신은 귀가 잘려나가고 창이 심장을 관통했다. 놀라운 것은 드라큘라에게 당한 듯 목에 송곳니 자국이 선명하고 피가 빨렸다는 점이다. 피살자의 신원은 고려대에서 라틴어를 가르쳤던 전형우 교수로 밝혀진다. 과학수사로도 용의자를 찾을 수 없는 가운데, 기연은 이 기묘한 사건에 점점 빠져든다.

 

이후 살해된 전 교수의 차량 내비게이션에서 최근 목적지가 청주 '서원대학교'임을 알아내고, 그의 휴대폰에서 '서원대 김정진 교수'라는 사람을 찾아낸다. 김정진 교수는 <직지> 알리기 운동을 펼치는 인물로, 구텐베르크 금속활자의 뿌리가 <직지>임을 확신하고, 이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를 캐고 있다.

 

바티칸 비밀수장고에서 오래된 양피지 편지가 발견된다. 그것은 교황 요한 22세고려 충숙왕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로, 직지 연구자들은 이것이 <직지>의 유럽 전파를 입증해줄 거라 믿고 편지의 해석을 전형우 교수에게 의뢰했지만 전 교수는 그 가능성을 부정하는 해석을 내놓았고, 연구자들은 그에게 분노한다. 기연은 처음으로 범행동기가 나타났음을 깨닫고 직지 연구자들을 용의선상에 올린다.

 

그러나 범행동기와 살인현장이 전혀 매치되지 않는 모순적 상황에서 고민하던 기연은 전 교수의 서재에서 결정적 단서를 발견한다. 그것은 남프랑스 여행안내서와 책에 적힌 두 사람의 이름, 스트라스부르대학의 피셔 교수와 아비뇽의 카레나다. 기연은 전 교수가 계획했던 동선을 따라가 두 사람을 만나보려고 프랑스로 날아간다. 거기엔 기연이 상상도 못한 반전과 충격적 사실이 기다리고 있는데….

 

가독성이 매우 높은 소설로 마지막 페이지까지 흥미가 넘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