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힘 - 절망의 시대, 시는 어떻게 인간을 구원하는가
서경식 지음, 서은혜 옮김 / 현암사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종 '시란 무엇인가?'를 스스로 물어보곤 했다. 하지만 그 답은 언제나 중심에 닿지 못하고 주변을 서성이다 흐려지고 옅어져 흐지부지 뭉그러지기를 계속했을 뿐 분명한 답이 되어 나오는 일이 없었다. 시에 대해 혹은 문학에 대해 의문을 품어본 일이 있는 사람에게라면 이 책이 특별한 의미가 될 지도 모르겠다는 기대를 갖게 되는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다. 이 책은 한 사람이 스스로에게 던졌던 '시의 힘'이라는 물음에 대한 답이기에 참고가 되어줄 것이기 때문이다. 

 "시의 힘은 무엇인가?"하는 물음에 궁극적이고 근본적인 답을 기대하며 읽지는 말기를 먼저 부탁하고 싶다. 시니 문학이니 하는 것의 보편적인 정의는 언제까지고 '나의 정의'가 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것이 보편적이기 때문이다. 어떤 개인도 보편적일 수 없다. 평범한, 흔히 '보통'이라는 수식어 뒤에 이어지는 개인조차 보편적이기보다 특수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이 책을 읽고 난 후에 마음에 남는 것이 '특수'하기를 기대하면 더 재밌게 읽을 수 있을 책이다.


 처음으로 시를 읽은 것이 언제인지 그 기억은 분명하지 않다. 다만 학교에서 배운 시가 처음으로 읽어 본 시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십 중 팔구는 그 생각이 맞을 거다. 학교에서 배우는 것으로 시와의 만남을 시작한 결과는 대단히 안타깝다. 애초에 정답이 없이 마음 가는대로 읽어도 좋았을 시에서 '정답'을 찾아가며 읽고는 했던 거다. 다른 사람들이 '이러저러한 것을 표현한 것이다'라고 하면 그 말에 귀를 기울이며 혹 그렇게 느끼지 않았더라도 속으로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데'하고 말게 된 거다. 결론적으로 시는 '난해한 것' 혹은 '어려운 것'이 되어버린 데에 우리나라의 국어 교육이 끼친 부작용이 적지 않다. 

 <시의 힘>을 읽으며 가장 절절하게 느낀 것은 아마도 저자의 의도와는 다를 것 같은 '교육'에 대해서였다. 그리고 그 다음이 '마음'이다. 먼저 교육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재일 교포 2세인 저자가 저자의 부모님이 전쟁 당시 일본에 본의 아니게 저항할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교육받지 않았기에' '국가를 대상화 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말한 것이 깊은 인상을 주었다. '배워야 한다'말은 '배우는 것이 좋다'는 전제에 뿌리를 둔 주장이다. 하지만 배우는 것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우리가 무엇을 배우는 방법은 하나가 아니다. 그리고 배우는 것 역시 하나가 아니다. 우리는 여러 가지를 동시에, 여러가지 경로를 통해 배우고 그 가운데서 선택해서 받아들이게 된다. 문제는 정규 교육에서는 이 선택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거다. 한국만의 독특한 경향일 지 모르지만 '암기'와 '주입식' 교육의 폐해는 오래 전부터 지적되어 왔고, 이제는 영영 고쳐질 것 같지 않다. 결국 시 역시 '외워야 할 것' 혹은  '정답을 찾기 어려운 것'이 되어 독자와의 거리는 자꾸만 멀어지기를 계속하는 거다. 시를 배움으로써 배우지 않은 것보다 못하게 되는 일이 되어버린 것을 생각해보면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의 문제뿐 아니라 그 외에 우리가 여러 경로를 통해 배우고 있는 많은 것들을 어떻게 보고, 판단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는 과정의 필요성이 더 분명해지는 거다. 


 이 책의 제목은 <시의 힘>이지만 '시'는 문학, 혹은 지식, 정보와 같은 커다란 가지 가운데 하나를 상징하는 것처럼 보인다. 시가 어떤 식으로 어떻게 작용하고, 어떤 의미를 품고 무엇을 남기는지를 살펴가면서 자신의 경험들(재일 조선인으로서의 고단함, 가치의 혼란, 디아스포라 의식,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이후 일본의 대응 등)을 접목시켜, 시인의 표상과 표현을 독자가 해석하는 것처럼 사회의 현상과 흐름을 받아들이는 개인의 마음가짐에 대해 말하고 있는 거다.


 디아스포라, 즉 스스로의 의지가 아닌 외부의 힘에 의해 흩어져야했던 이들이 겪는 가치의 혼란은 경험하지 못한 이들은 알기 힘들다. 어쩌면 우리들 역시 같은 처지에 놓여있을지 모르지만 그것을 인식하는 것조차 힘든 것이 현실이다. 그러니까 우리에게는 너무 멀고 막연한 이야기라서 이해하기 힘들다고 생각하게 되는 거다. 반대로 아직까지 식민지와 전쟁에 대한 기억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너무 직접적이고 생생했기에 직시하기 어려운 막연한 것이 되어버린다. 시의 힘은 멀리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끌고, 가까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거리를 두게 해서 대상을 객관화할 수 있게 돕는다. 그런 움직임을 통해 궁극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은 그 사건 혹은 상태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닿을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는 거다. 

 "이미 지나간 일을 굳이 이해할 필요가 있는가?"하고 묻는 이들도 있을 거다.

하지만 저자는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감추거나 잊어버리거나 피하지 않고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저자의 욕심일지도 모른다고 하면서 '모든 것을 픽션화해왔던 젊은이가 시의 힘으로 처음 생명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품기도 한다. 그것은 시를 읽는 독자가 과거 혹은 다른 세계에서 일어난 일일지라도 그것이 스크린 속 영화나 책 속의 이야기와 같은 남의 일이 아니라 나의 일이기도 하다는 실감을 하기를 바라는 거다.


 난해하다는 시에 대해 설명하는 것처럼 이 책을 간단하고 단순하게 설명하기에는 아직까지는 나 스스로의 이해부터 너무나 부족하다. 하지만 두 가지만은 기억하고 싶다.

 하나는 시는 멀고 가까운 일들 혹은 사람들을 마치 나 자신이 체험하는 것처럼 실감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는 거다. 

그리고 또 하나는 경계를 짓는 일은 무척 어렵고 까다로운 일이기에 무엇에서든 '하나'의 결론만을 얻는데 그쳐서는 안 된다는 거다. 


 그것은 '남의 일', '과거의 사건'이기에 지금의 나와 무관하다는 것은 사실 진실이 아니다. 한 번 일어난 일은 그 일이 완전히 이해되어 그 이해가 공유되고 공감하게 되지 않는 한 거듭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그것이 거듭 일어날 때는 처음 일어날 때보다 더 크고 나쁜 형태로 들이닥치기 쉽다. 역사는 반복된다. 하지만 시인은 그 역사의 증인이자 표현자로써 단순하지만 명료한 메시지를 남긴다. 그 메시지는 다른 곳이 아니라 우리 마음에 작용하는 생명력을 지닌 것이다. 그렇기에 시의 진정한 힘은 생명에 있는 것 아닐까? 저마다의 마음에서 저마다의 모습으로 드러나 해석되고 기억될 때 그 시가 품고 있던 생명이 후대로 전해지고 퍼져가는 것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