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종교는 과학이 되려 하는가 - 창조론이 과학이 될 수 없는 16가지 이유
리처드 도킨스 외 지음, 존 브록만 엮음, 김명주 옮김 / 바다출판사 / 201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 그대로이다. 과학적으로 입증도 못 할거면서 왜 종교는 과학이 되려 하는걸까? 주된 이유는 단 한 가지로 보인다. 아직 자기만의 주체적인 사고가 불분명한 아이들에게 지적설계론을 학습과정으로 도입하려고 하는 종교인들의 어처구니 없는 시도에 기인한거다.


지적설계론은 종교적인 근본주의자들이 창조론을 지지하기 위해 그들이 만들어낸 이론이다. 예를 들어 눈 같이 정말 복잡 미묘한 신체의 일부분은 누군가 절대자가 만들지 않았다면 절대 진화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리처드 도킨스의 눈먼 시계공에서 논리적으로 날려버린 이론인데, 길거리에 떨어져 있는 시계를 발견한다면 이 복잡한 시계는 누군가 만든거고, 따라서 사람은 결국 하느님이 만들었다 이런 말이다.


입증할 수 없기 때문에 절대자가 존재한다는게 믿겨지는가? 놀랍게도 서구사회 그리고 유난히 기독교인이 많은 우리나라에서도 창조론이 대중에게 먹혀들어가는 이론이다. 종교를 비난하고 싶거나 그렇지는 않지만 종교가 과학이라는건 도대체 납득할 수 없다.


알 수 없는 모든 일들이 신의 섭리로 이뤄졌다면, 그렇게 무수히 많은 부조리한 일들도 모두 신의 섭리라는 말인가? 내세를 꿈꾸며 천당에서 호위호식 하고자 폭탄을 두르고 남을 해치는 이슬람도 결국 신의 뜻이라는 이야기인가 말이다.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에 종교에 의지하는 사람들이 많은건 그렇다고 쳐도 종교가 모든 생활의 규범이 되서는 정말 곤란하다. 중세 암흑의 시절과 이슬람이 뭔 차이가 있단 말인가? 이제야 암흑의 터널을 벗어나 인간답게 살아보고자 하는 이 상황에서도 종교 근본주의를 내세우고 주장하는 사람들이라니....그저 안구에 습기가 찰 노릇이다.


이 책은 지적설계론을 교과과정에 도입하고자 하는 일련의 흐름에 대응해서 왜 인간 심성의 영역을 넘어선 과학이 되려하는지, 숨겨진 의도가 무엇인지, 어떻게 과학이 될 수 없는지에 대해 16명의 대표적인 진화론자들의 칼럼을 모아서 출간한 모음집이다.


리처드 도킨스, 스티븐 핑거등 이 시대의 지성들이 명쾌한 논리로 조목 조목 그들의 말도 안되는 주장에 대해 언급하는 부분을 읽게되면 일종의 청량감과 통렴함도 느낄 수 있는 시원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