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꽃 아가
이해인 지음, 김진섭.유진 W. 자일펠더 옮김 / 열림원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과 고독, 사랑의 기도, 그 모든 것 속에 숨은 은총의 빛을 담고자 애썼던 저의 진심이 깃든 시집입니다. …이 영문시집은 제 작은 시들이 언어의 벽을 넘어 더 많은 이들과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귀한 다리가 되어주리라 믿고 싶습니다.

2006년이 그녀의 처 시집 <민들레 영토>가 나온지 30주년이 된 해로 이 책의 토대가 되어 ‘시인의 말‘을 이 책의 서두인 시인의 말 뒤에 놓아두어 반세기에 걸친 시간 그리고 그녀의 감수성이 피어나던 시기부터 지금까지의 긴 여정을 자연, 사랑, 고독 그리고 기도로 모아 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고독과 침묵의 수도생활을 통해서 나 자신도 조금씩 ’버릴 것은 버리고‘ 한 편의 시가 되어가는 느낌을 받는다.

그는 시골 출신이고 도심이 아닌 곳에서 나고 자란 이유일까 유독 자연에서 많은 영감을 받은 것 같다

나무는 나에게 늘 시를 주고 싶어합니다.

The tree always seems to desire to hand me a poem.

새로 쓰는 시인의 말 중에서.

In the Forest of June

Even before I’m aware of if

Love is there waiting for me.

As the green hope dazzles,

And the fragrance stimulates,

So shall I be born anew.


Meditating on a Tree’s Leaves

As the flower petals fall

The leaves present themselves…

I see those I’ve loved

Each with a different destiny,

Hanging thickly over the tree.

꽃이 지고 나면 비로소 잎사귀가 보인다. 시인의 눈에 둥글고 길쭉하고 뾰족하거나 때론 어긋나기 마주나거나 한 무리의 잎들이 화려한 꽃잎이 사라지고 이제서야 보였고 ‘사랑한 사람들의 서로 다른 운명’이 삶의 나무 위에 살아있음을 명상하게 했나보다.


해 질 녘의 단상

…하늘을 보려면 마음을 넓혀야지

별을 보려면 희망도 높여야지

이름 없는 슬픔의 병으로

퉁퉁 부어 있는 나에게

어느새 연인이 된 나무는

자기도 춥고 아프면서

나를 위로하네


You permit me to live

Even in the desert.

You strengthen me

To endure times

Of bloody affliction

그리하여 살아있는 그 어느 날

가장 긴 가시 끝에

가장 화려한 꽃 한송이

피워 물게 하셨습니다.

오늘도

한줄기

노래가 되어

너에게 가겠다

...

평생 기도로, 그리고 중년 이후에 불치병으로 고통 속에 살면서도 곱디 고운 시어들로 독자들에게 특히 젊은 독자들에게 희망이 되고자 하는 맑고 밝은 별 같은 마음은 오늘도 눈물의 노래로 또 책으로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의 본심 - 트럼프 2.0 시대의 글로벌 각자도생 시나리오
이성현 지음 / 와이즈베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널드 트럼프 재선으로 국제 정세는 혼란이 가중되고 미국 내외적으로 미국의 소프트파워가 약화되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견해를 여러 미디어에서 접한 적이 있다. 윌리엄 번스 전 CIA국장이 작년의 한 기고문에서 ’미국이 더 이상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시대‘ 라고 했다고 인용하는 미국 전문가인 이성현은 프롤로그에서 앞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어떠한 방향으로 가고 있을지 가늠하고, 국제 정세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트럼프 2.0시대의 글로벌 각자도생 시나리오, 미국의 본심>에서 확인해보고자 한다.

그는 또한 같은 지면에서, 미중 간 긴장이 고조되고 이런 상황에 친중인 북한이 또 무역 간 거래가 많은 우리나라의 스탠스가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한다. 트럼피즘Trumpism 이라고 할 정도로 보수당인 공화당 후로보 선거인단을 민주당보다 더 많이 확보하며 전국 일반 투표에서도, 전통적 경합지역에서도 모두 승리한 트럼프 2기를 진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나는 20년 넘게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해외에서 살아오며 한 가지를 절감했다. 외국인들은 나를 ‘이성현’이라는 개인으로 보지 않고 언제나 ‘한국인‘으로 인식했다. …이 책은 불확실한 국제 질서와 미중 관계에 대한 나의 고민을 담았다.

저자는 10년 이상 미중 관계의 연구자로서 오피니언리더로 활동하고 있는데, 미국이 대중 정책을 디커플링 Decoupling 에서 디리스킹Derisking으로 전환한 것을 화해 무드로 오해하면 안된다고 지적한다. 미중 갈등 양상이 과거 미소 냉전보다 더 불확실하고 위험하다고 하는데, 구체적인 측면을 한국인으로서 우리나라가 친미냐 친중이냐의 단순구도가 아닌 다각도의 관점으로 정립해야한다고 말한다.

대한민국의 선택에 대한 프롤로그 다음에 1장은 제국의 쇠퇴와 불확실성의 국제 정세를 21세기 미국 외교, ‘신냉전이라고 불리우는 혼란의 시대’를 다루며 트럼프 행정부의 미중 관계 그리고 이전 바이든 시대에서 그 전조를 진단하고 있다. 현재 국내외 매스컴에서 빈번하게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나오는데, 중국 등은 받아들였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협상을 타진하려고 이재명 정부에서는 위성락 참모를 미국으로 급파한 것으로 안다. 현 시점에 아무 비판없이 받아들이는 게 장기적으로 한국 경제에 치명적일 것이라는 것은 온국민도 다 알기에 행운의 여신이 우리나라 정부에 있기를 바랄 뿐

그 다음으로 2장에서는 트럼프의 귀환이 주는 의미와 그가 보여 준 선거 전략, 미국 대중에게 왜 먹히는가? 왜 기득권 뿐아니라 저소득층 남녀에게, 특히 과거의 번영을 그리워하는 중장년층에게 소구하는가?를 심도있게 다룬다. 특히 트럼프 2기 민주당 하원의원이던 탤시 개버드가 개인적인 북한 정책 방향성을 형성하고 트럼프가 북한 김정은과 핵무기에 대해 마주 앉아 이야기해야 한다고 하면서, 2022년 민주당을 탈당하고 트럼프를 지지하며 작년 10월 트럼프 유세 기간에 공화당 가입을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트럼프 당선 이후, 인수위원회를 거쳐 국가정보국장에 지명됨으로서 44세 나이에 미국 18개 정보기관을 총괄하는 수장이 되었다. 그녀는 미국 역사상 최연소 여성의원이었고 최초 사모아계 연방 의원, 최초의 참전용사 여성의원의 기록을 가졌다는게 참 흥미롭다. 현 미국 예비군은 우리나라와 달리 현역만큼 좋은 처우와 대우를 받으며 군사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도 재미있다.

미국 정치사에서 트럼프처럼 논란을 일으키고 변화를 촉발한 인물이 드물고 좋든 싫든 그의 존재는 미국 정치와 문화의 현주소를 보여준다는 것,

맥도날드 조리대에서 드라이브스루에서 음식을 서빙한 트럼프는 작년 대선 유세기간에 가족을 챙기는 가부장적 정체성을 투영해 광고를 직접 찍었다고 한다. 문제적 인물인 그가 ‘문제가 많은 미국 사회’에 대한 셀프로 아이러니를 보여주는 페르소나라는 것이다. 세금을 열심히 내는 미국의 한인들 또한 대놓고는 못할지라도 불법이민자 정책을 강력하게 시행한 그의 남성적 추진력을 지지하고 그에게 투표했다는 사실은 한인 사회 내 민주당 경제 정책에 실망한 사람들을 끌어들인 것을 의미한다고.

조지프 나이 교수는 저자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소프트 파워가 쇠퇴하고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여전히 미국의 하드파워는 건재하다고 평가했다.

출처 입력

그렇다면 미국이 보인 강인한 국내외 정책들과 소프트파워, 그의 참모들에 대해 제3장에서 다루고 4장에서 본격적 대만, 유럽, 러시아-우크라이나, 중동, 멕시코와 중남미 인도, 동남아시아 정책까지, 5~6장에서 미국의 중국 분석, 시진핑 시대의 모순과 전략에 대해 더 나아가 미래까지 점쳐본다.

한국 역시 미중 갈등의 잠재적 격화를 충분히 상상하고 대비해야 한다. …현재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 질서가 예상보다 취약할 수 있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7장 트럼프가 바꿔놓은 세상, 그레이트 어메리카는 과연 올 것인지, 미중 갈등 속 한국은 어떤 미래로 나아가야 할까에 대한 담론이 8장에 펼쳐진다. 동맹과 국익 사이에서 우리 같은 나라가 한미 동맹, 한중 경제 협력관계만 고수하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음을 깨닫는 것만으로도 국제정세의 대전환기에 이 책을 읽어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로필과 프롤로그에 이어 Part 1에서는 ‘빌딩부부’의 탄생배경 우리는 어떻게 빌딩 중개사가 되었나 - 그의 이야기와 그녀의 이야기가 나온다.

호텔경영학 전공한 젊은이가 사회초년 생활에서 영업을 시작하고 회사를 나와 창업을 해 여러가지 경험을 쌓게 되고, 부동산 중개법인을 첫직장으로 한 여성을 만나 서로 교류하며 사랑하고 결혼해 가정을 이루어 동반 성장 중이라는 것이다.

거래액 1조 원, 이제는 브랜드가 된 ‘빌딩부부‘

두 사람의 우여곡절은 급변하는 부동산 업계 상황과 정보지나 신문 매체를 이용한 광고에서 블로그, 유튜브라는 새로운 디지털 매체로의 이동과 맞물려 구체적으로 어떻게 자신들을 알렸는지 어떻게 팀을 꾸렸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젊은 부부가 집도 없이 투자금 몇 천, 혹은 1억으로 전세보증금이 아닌 건물을 사기 위해 계약을, 그것도사업자 대출을 받아서?

독자들에게 무조건 자신들처럼 이렇게 하라는 것이 아닌 투자 관점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라는 의미가 들어있다.

대한민국에서 대학을 가고, 대기업 취업을 위해 달리고 아파트 분양권을 따려고 청약을 하는 등의 대다수가 하는 선택에 목을 매지 말고 ‘낮은 허들’의 투자, 아파트 구입 비용보다 적게 시작할 수 있는 ’수익형 건물’에 눈을 돌려보라는 것.

부자에 대한 생각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 되는 것이고, 요즘 한국에서 건물주가 재테크와 심지어 젊은이들의 궁극적 금전적 목표에서 이런 투자 견해, 조언이 의미가 있어보인다.

주택은 법인을 통해 매입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건물은 다릅니다 주택이 아닌 상업용 부동산이기 때문에 가족 법인을 통해서도 충분히 매입할 수 있고, 오히려 아이가 어릴 때부터 법인을 만들어 증여를 시작하면, 아이와 함께 그 건물이 같이 성장할 수 있습니다.

어릴 때 단순하게 꿈꾸었던 직업을 갖게 되면 자연스럽게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착각이었다는 사실을 사춘기가 지날 때엔 부모님을 보며 미디어를 보며 어렴풋이 깨달았던 것 같다.

왜 누가 어떻게? 그리고 워렌버핏의 베스트셀러를 읽어도, 존리 아저씨의 주식투자법 저서들을 읽어도 대다수의 우리는 성공하지 못하는가? 타고난 부자가 아니라면 자수성가 해야하지 않겠나…

가상화폐에 관한 관점이 바뀌고 가치 투자를 어디에 하는지는 각자의 몫이지만, ’상업용 건물’에 투자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면 ‘앞으로의 상권과 건물투자 방향‘, ’부동산 제도와 법 개정‘ 등 구체적 실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 빌딩부부의 책이나 유튜브를 참고서 삼아보면 좋겠다.





 


 

이 책을 읽는 와중에, 이재명 정부의 새 부동산 대책이 발표되고 하루만에 시행되면서 시장이 급변하고 있다. 일 주택자만 대출허용이며 투기세력을 완전히 없애는 목표로 정책이 펼쳐진 것에 매우 반갑고 부디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의 시작이 되길 빌며, 주거용이 아닌 상업용에 대한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지금 바로 눈을 돌릴 시기라고 본다.

#아들아의사대신건물주가되어라 #부동산관련도서추천 #네버기브업 #빌딩부부지음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으아앙! 내 동생은 울보 미래그림책 197
미야니시 타츠야 지음, 김수희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이야기는 어느 집 남매 이야기다. 내 동생은 울보라고 하는 거 보니 오빠의 시점인가보다...



친구집에 놀려가려고 했더니 어디가냐 꼬치 꼬치 묻는 여동생,

오빠, 나도 데려가... 내가 안 돼! 했더니 동생은 으, 으, 으, 으아앙!

우리집 남매 두 아이는 <우리 형>같은 동화책을 즐겨봤었다. 오빠가 읽던 것을 동생이 옆에서 듣다가 한글을 배우는 단계에서 읽어달라 조르는 우리 막내처럼, 으아앙 내 동생은 울보에서 오빠한테 책을 읽어달라는 여동생 그리고 그녀의 요구에 '안된다'는 말을 했다가 이내 '으아앙' 울어버리는 여동생을 가진 오빠. 마치 우리집 남매 자랄 때와 너무 비슷했다.

어쩌면 이렇게 우리 애들 같은지.

삼남매 중 중간에 낀 우리 아들은 윗 누나와 아랫 여동생의 놀이를 같이 해서 그런가 섬세하고, 사실은 여리기까지 하다.

으아앙! 으앙!

내 동생은 제멋대로인 울보다.

나는 늘 꾹꾹 참지만 오늘은 못 참아!

이층침대 이층침대 노래를 불러서 사주니, 아래 윗층 누가 쓰느냐로 다투기도 하고, 여동생이 아랫층에서 자려고 준비하다 '내가 이층에서 잘래' 선언을 해서 또또! 울음으로 요구를 들어달라고 하니, 왜 동생보다 먼저 태어나서 억울하게 모두 해주어야 하는지...


안 되는 건 안 되는 거라고, 오늘만은 못참은 오빠는 줄넘기가 재밌어보여 빌려달라는 여동생의 말을 들어주지 않는다.

열심히 줄을 넘던 자신이 넘어지고 아픈 눈물이 터졌다...

으아아아앙!

마지막 장면이 웃기면서도 슬프다. 우리집 남매도 꼭 그렇기 때문에.

주말에도 싸워서 혼꾸녕을 내주었지만 내일도 모레도 앞으로도 쭉~ 싸우고 화해하겠지. 언제즘 안싸우는 날이 올지, 서로 보듬어주기만 하는 날이 빨리 왔으면~


#으아앙내동생은울보 #미야니시다쓰야지음 #김수희옮김 #미래아이출판사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왜 마음이 아플까 - 그림 그리는 정신과 의사의 상담 일기
전지현 지음 / 시원북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브런치에 스토리를 연재하여 책이 아닌 대중들과 소통한 글들은 특유의 생생함이 있다,

이 책을 쓰고 그린 정신건강의쌤도 좀 독특하다. 심리학, 정신의학에 기반해 상담하고 진단하는 본인들의 업이기에 임상 사례를 분석해 객관적 사실과 증상, 주관적 해석을 전달하는 글쓰기의 책들의 저술하던 관행에 역행하여 감정에 공감하는 글로 환자가 아닌 잠재적 환자나 일반인까지도 포용하는 '한 줄기의 빛'이 아닌 '한줌의 소금'같은 위로의 글과 그림을 엮어냈다.

진료실에서 매일 마주하한 환자들을 보며 진단의 복잡함, 지난한 치료과정 중에 미처 다 하지 못한 마음을 다해 이 책으로 전하고자 했다고 한다. 어릴 때부터 그림 그리기를 좋아해 의학도와는 거리가 멀어보이는 일러스트, 만화를 그려왔다는 전 작가님, 애심을 가진 의사이면서 웹툰 작가라고. 웹사이트 필명 니너하리로 '정신과 의사의 일기' 를 인스타그램과 브런치에 연재하는게 저술의 맨처음 시작이었다.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의 백세희 작가님은 "괜찮아, 너만 그런 게 아니야"라고 손을 내밀어 잠시 아픈 마음이 치료되는 그림까지 다정했다고 추천의 글을, <알고 싶니 마음, 심리툰>의 저자 팔호광장 님은 진단보다 환자의 삶을 먼저 보려 하는 온화한 태도가 배려와 공감의 그림과 문체로 표현되어 마음이 힘든 분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고 추천하고 있다.

누군가에게 큰 위로를 주는 책이 뭔지, 독자들이 사랑한 백세희 작가님의 정신과 의사와 나눈 대화를 담은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가 최근 몇 년간 스테디 셀러로 사랑받는 것만 보아도 요즘 사람들의 마음이 힘들고 심지어 병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저자인 전지현 쌤도 매일 그림 그리고, 책 읽고, 생각을 적으며 이런 위로의 책에 대한 생각이 계기가 되었고 진짜 정신과 의사가 되기까지 자신의 열등감과 정체성의 혼란에 대해 진솔하게 고백하고 있다.

학창시절 그림은 좋아했지만 이렇다 할 꿈이나 장래희망이 없어 평탄하지 않은 가정환경에서 공부와 성적이 우리 사회에서 불안을 안정감으로 바꾸는 일임을 깨닫고 의대생이 되었다고 한다. 수많은 시험을 치르고 실습, 졸업을 그리고 국가고시까지 주변의 기대는 커졌지만 정작 본인은 앞으로 나아간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고 인기 과인 성형외과에 지원했지만 실패. 각자 목표한 내과ㅡ 정형외과, 신경외과 등 원하는 과에 지원해 성장하는 친구들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끝없는 고민과 괴로움을 느꼈다고...

간절했던 만큼 정신과 의사만 되면 모든 게 잘 풀릴 줄 알았습니다. ..벼랑 끝에서 저를 바라보는 것 같은 그들이 내민 손을 잡을 마지막 사람이 어쩌면 나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책임감과 부담감은 점점 커져만 갔습니다.

나 잘 하고 있는 거죠?

우리 부모들은 의대에만 들어가면 공부와 취업을 동시에 해결하기에, 걱정과 고민이 크게 없을거라 기대하지만 정작 아이들은 이런 저런 고민, 우리 시대 청년들이 여전히 좌절과 고민을 여전히 안고 살아간다는 사실을 외면하고 있지는 않을지.

대한민국 의료 대란, 특히 의대 정원 대폭(?) 늘린다는 지난 정부의 부실한 정책의 피해를 고스란히 지금의 학교와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 젊은 의사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드디어 정부가 바뀌었으니 빠른 정상화와 합리적 타협을 기대하며 일선의 지방 의료인들과 작은 의원들에 환자와 가족까지 '마음이 다쳤을 때' 언제든 문을 두드리고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회적 안전망을 공고히 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

때로는 갑작스러운 변화가 너무 버거워서 넘어지기도 하죠. ...우리는 왜 자꾸만 넘어질까요?

우리가 넘어지는 이유는 어쪄면 다시 일어서는 법을 배우기 위해서가 아닐까요?

다시 일어나 씩씩하게 걸어갈 내일에 작은 용기를 보탭니다.

#나는왜마음이아플까 #전지현글그림 #시원북스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