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나의 선택 2 - 3부 마스터스 오브 로마 3
콜린 매컬로 지음, 강선재 외 옮김 / 교유서가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날 갑자기, 독재관을 그만두겠다는 선언을 한 술라. 모야모야~~ 죽을 때까지 권력을 잡고 있을 생각이 아니었던 거야? 그렇게 많은 사람을 죽여 놓고 왜 스스로 물러나는 거지? 끝까지 나쁜 놈은 아니고 싶었던 걸까? 아니면 진정으로 로마를 사랑한 마음이었던 걸까? 부패하고 있던 로마를 정리하고 자신의 측근들로 로마를 통치하게 만들어 놓고는 독재관이라는 최고 권력을 손에서 놓다니. 정말로 측근들을 신뢰하는 수장이었네. 진짜 자연인이 된 술라는 술과 애인을 즐기는 진짜로 방탕한 삶을 즐기게 된다. 헐~~~ 그래서 그런 건가? 술이 병을 부르고, 병은 죽음을 불러왔다. 또 한 명의 독재관 술라의 죽음으로 로마의 한 시대가 막을 내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일 읽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 A Year of Quotes 시리즈 1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 로라 대소 월스 엮음, 부희령 옮김 / 니케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월 11일


봄 들어 첫 참새다! 여느 때보다 더 신선하게 시작되는 한 해다! 군데군데 맨땅이 드러난 물기 머금은 들판 위로 파랑새, 노래참새, 개똥지빠귀의 희미한 은빛 지저귐이 울려 퍼진다. 겨울의 마지막 조각이 반짝이며 흩어지는 것 같다!이런 시절에 역사나 연대기, 전통이나 기록되어 있는 계시라는 게 다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봄, 《월든(1854)》



경칩도 지나고 낮 기온은 영상으로 포근해졌다. 아침의 쌀쌀함은 사라졌지만 찬 공기 대신에 미세먼지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지금을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보았다면 어떤 글을 남겼을까? 코로나로 마스크를 쓰고는 있지만 눈은 여전히 까끌까끌해지는 공기보다 차라리 살짝 추운 찬 공기가 더 생각나는 봄날 아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인과 바다 원전으로 읽는 움라우트 세계문학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인이 잡은 청새치는 대략 천오백 파운드가 넘을 듯 보였는데 천오백 파운드면 대략 680킬로그램이다. 대박! 680킬로그램이라니. 흔히 우리 식탁 위에 구워져 올라오는 고등어가 커야 600그램에서 700그램 정도 하는데, 그 고등어 무게의 천 배라니~~ 그렇게 큰 물고기를 노인 혼자서 작살로 잡다니. 그래서 그렇게 몇 날 며칠을 사투를 벌이는 과정이 필요했던 거였구나! 혼자서 바다 위에 떠 있었을 노인과 배와 청새치를 생각하니 아무 소리 없는 고요하다 못해 적막했을 것 같은 분위기가 상상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방인 원전으로 읽는 움라우트 세계문학
알베르 카뮈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관 가까이에, 흰색 가운에 원색 스카프로 머리를 싸맨 아랍인 간호사 한 명이 있었다. 이 문장으로 아랍인을 구분하고 있는 뫼르소를 알 수 있다. 카뮈가 따로 기록까지 해 놓았다고 하는데 이 간호사의 역할은 무엇이었을까? 뫼르쇠의 앞날에 아랍인과 어떤 일이 생기길래 그냥 간호사라고 하고 넘어갔을 수도 있었을 텐데. 중요한 복선이라고 하니 전엔 그냥 무심코 흘려 읽었던 것이 분명하다. 이렇게 새로운 번역으로 다시 읽으니, 꼼꼼히 생각하면서 읽게 되는 것 같다. 다시는 까먹지 않을 것 같다. 간호사가 아랍인이었다는 사실을. 그리고 아랍인을 무시하던 관리인의 대화는 더더욱이 기억해야 할 사회적 분위기일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건희 컬렉션 - 내 손안의 도슨트북
SUN 도슨트 지음 / 서삼독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혜석의 작약 작품은 처음 본다. 이건희 컬렉션 중에서도 희귀작으로 꼽힌다고 한다. 작품은 제목은 <화령전작약> 이다. 나헤석의 다른 작품처럼 강렬한 색채가 눈길을 끌었다.


수원 화성행궁 옆에 위치한 '화령전'은 조선시대 순조가 정조의 초상화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냈던 유적지다. 수원이 고향인 나혜석은 흐드러지게 핀 작약을 강렬한 색채로 그려냈다.


작약은 함박꽃으로 불릴 정도로 탐스럽게 피는 꽃이다. 화령전 옆에서 순조가 정조의 제사를 지내러 올 때마다 지켜보았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니 세월이 지나 사람은 가도 자연은 나혜석의 작품 속에 자리잡고 영원히 남아 있다고 생각하니, 사람은 이름을 남기는 것이 맞는건가? 아니면 이 세상에 조용히 왔다가 가는 것이 맞는 건가? 알쏭달쏭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