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의 통찰, 철학자들의 명언 500 - 마키아벨리에서 조조까지, 이천년의 지혜 한 줄의 통찰
김태현 지음 / 리텍콘텐츠 / 2025년 4월
평점 :
#도서협찬
[세상의 통찰, 철학자들의 명언 500] 서평
마키아벨리에서 조조까지, 이천년의 지혜 한줄의 통찰
저자: 인문학자 김태현

삶의 정상에 선 많은 사람들은 이 한 문장으로 인생이 바뀌고 꿈이 이루어졌다. 그들은 누구인가? 이 도서에는 마키아벨리에서 조조까지 이천년의 지혜 한 줄의 통찰, 철학자들의 명언 500가지가 실려 있다.
<1장 삶과 처세에 대한 통찰>에서는 어떻게 해야 지혜롭게 인간관계를 꾸릴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자들의 명언이 실려 있다. 세네카는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은 '자기 통제'라고 했다. 적당한 균형을 유지해야 참된 노력을 통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p28
약간의 광기를 띠지 않은 위대한 천재란 없다.
<2장 사유하는 인간에 대하여>에서는 반항하는 인간, 알베르 카뮈는 전쟁, 정치적 혼란속에서 인간의 부조리에 대해 치열하게 썼다. 삶이 얼마나 무의미하며 무의미 너머에 어떤 것이 있는지 탐구했다.

p91
때로는 진실은 빛과 같이 눈을 어둡게 한다. 반대로 거짓은 아름다운 저녁노을과 같이 모든 것을 아름다워 보이게 한다.
<3장 대문호들이 던지는 철학적 교훈>에서는 언어 예술을 생의 업으로 삼았던 철학자들이 남긴 명언은 인생을 아름답게 해줄뿐 아니라, 삶에 대한 깊은 사유를 하게 해준다. 괴테는 지금 이 순간이 우리가 가장 행복하게 누려야 할 순간이라고 말한다. 그렇다. 순간의 찰나는 지나가버리면 사라진다.

p121
현재에 열중하라.
오직 현재 속에서만 인간은 영원을 알 수 있다.
톨스토이는 종교와 인생관, 육체와 정신, 죽음의 문제 등에 관한 자신만의 해답을 작품에 녹여냈다. 생전에 가난한 자를 사랑하며, 비폭력 무저항정신을 주장했고, 수많은 명언은 인간 내면의 본질을 파악하여 무엇이 진정한 삶의 가치인가를 알려준다.
p150
깊은 강물은 돌을 집어던져도 흐려지지 않는다. 모욕을 받고 이내 발칵 하는 인간은 작은 웅덩이에 불과하다.

<4장 생각의 폭발을 이끈 동양의 철학자들>에선 자연과 인간의 삶 전반을 아우르는 동양 철학자들의 명언이 담겨있다. 중국의 문학가, 사상가인 루쉰은 문학과 사상에는 모든 거짓을 거부하는 참된 정신과 언어의 아름다움, 그의 깊은 사유가 담겨있다.
p181
희망이란, 본래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다.
그것은 땅 위의 길과 같다. 본래 땅 위에는 길이 없었다. 걸어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것이 곧 길이 되는 것이다.
무소유와 참된 삶을 살았던 법정스님은 무소유는 소유를 하지 않는 개념이 아닌 인생에서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하고, 욕망을 버리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했다. 한동안 무소유의 삶이 유행처럼 번지던 때가 있었다. 그때 내가 버린것은 욕망이 아니라 물욕이었다. 욕망을 버리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거듭 깨닫는다.

법정스님은 빈마음이 우리들의 본마음이라고 한다. 텅 비워서 울림이 있어야 삶이 신선하고 활기가 있다고 하는데, 아직 거기까지 깨닫기에는 멀었나보다.
총 4장의 목록으로 이루어진 이 도서에는 주옥같은 철학자들의 명언들이 수록되어 있다. 하루 한장씩 필사를 하면서 음미해도 좋고, 반복해서 아침마다 읽으면 하루가 충만하지 않을까.
나는 누구인가? 20대에는 이런 질문을 왜 하는지조차 몰랐다. 삶이란 게 무엇인지 알 즈음에 내가 누구인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간혹 질문을 던져본다. 그 질문에 나는 답을 할 수 있을까? 내가 누구인지, 정녕 나 자신을 안다고 말할수 있을까?
명언들을 읽으면서 계속해서 자신에게 질문하고, 또 질문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삶이 무료하다고 느낄때, 무풍지대에 있다고 느낄때, [세상의 통찰, 철학자들의 명언 500]을 통해서 길을 찾을수 있기를 바란다.
위 서평은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지원받아서 작성하였습니다.
@riteccontents
#세상의통찰철학자들의명언500 #추천도서 #철학도서 #철학 #필사 #명언 #책갈피를꽂다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