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와 다른 아이들 1
앤드류 솔로몬 지음, 고기탁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달 전 대만에 가서 여행하며 알게 되었던 친구를 다시 만났다.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내가 '부모와 자식의 관계는 필연적으로 상처를 주고 받을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를 했는데 이 친구가 이러는 거다. "아프리카 여행하다가 말라리아에 걸려 죽을 뻔한 적이 있었는데 아프다가 깨어나니까 애를 가져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짐승이라고 해도 할 수 없다. 죽음 직적에 자신의 유전자를 남기고 싶다는 동물적 본능 때문이든 뭐든, 그 순간에 나는 내가 이 세상에 아무것도 남기지 못하고 죽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아이를 가지고 싶다는 확신이 생겼다. 부모가 우리에게 상처를 준 것은 맞다. 하지만 네 자신을 봐라. 넌 정상이고 꽤 괜찮은 사람으로 자랐다. 인간은 생각보다 강하다. 그리고 나는 네가 좋은 엄마가 될 거라고 확신해' 이런 말을 하며 친구가 권해준 것이 바로 이 책. 한국 와서 실물을 보고 좀 놀랐다. 800권짜리 책이 2권. 레퍼러가 100페이지쯤 된다고 해도 무척 방대한 책이다. 


저자는 사람의 정체성을 부모로 부터 물려받는 '수직정 정체성'과 부모와 달리 독립적으로 타고나는 '수평적 정체성'으로 개념화 하고 수평적 정체성을 카테고리화 하여 부모와 어떤 문제를 겪고 어떤 인생을 살게 되는지를 십여년에 걸쳐 연구했다. 수평정 정체성은 장애, 성적지향, 범죄, 신동 등. 사실 책을 읽으며 나는 친구가 말한 그런 종류의 '감화'를 경험하지 못하였다. 그 친구는 내가 이 책을 읽으며 부모의 사랑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혹은 내가 얼마나 부모로서 강인해질 수 있는지 등을 자극받길 바랬던 것일텐데 되려 나는 책을 읽을수록 더 부모로서 자신이 없어졌다. 아이가 자폐와 정신분열으로 평생 회복의 가능성이 없고 벽에 똥칠을 할 때 나는 견딜 수 있을 것인가? 강간으로 임신된 아이가 태어나 그 아이를 볼 때마다 강간의 경험이 떠오른다면 나는 그 아이를 사랑할 수 있을 것인가? 신동이라서 내 인생 모두 뒤로 미루고 하루종일 서포트 해줘야 하는 아이가 내 자식이라면 나는 그 아이를 지원하는 것으로 내 인생의 보람을 찾을 수 있을 것인가? 그 모든 대답에 나는 책장을 넘기며 속으로 노, 라고 답했다. 


내가 이 책에서 찾은 의미는 부모와 자식의 관계에 대한 재고보다는 삶의 다양성에 대한 배움에 더 가깝고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보통 사람이 상상하기도 힘든 아주 특수한 상황의 자녀를 가질 때 인간이 보이는 모습이 얼마나 다양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들의 모습이 우리가 그들을 타자화하여 만들어 낸 스테레오 타입과 얼마나 다른지에 대한 배움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아이들이 불쌍하다 생각하고 그런 자녀를 가진 부모에게도 안쓰러운 시선을 던지지만 그들은 병원에서 다른 장애를 가진 아이를 보고 이런 생각을 한다고 한다. '우리 애가 쟤보다는 낫지.' 우리는 장애가 불행이기에 장애를 가진 부모들이 정상아를 낳기를 바랄거라 믿지만 상당히 많은 장애인 부모들은 자식들도 자기와 같은 장애를 가지기를 바란다고 한다. "우리는 서로를 더 잘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을거에요." 신동을 자식으로 낳는 건 다운증후군이나 청각장애아를 낳는것보다 훨씬 좋은 일일것 같지만, 아이에 맞추어 부모의 인생을 갈아넣어야 한다는 측면에서는 별반 다를바가 없다. 오히려 더 어려울 수 있다. 자식에게 결핍이 있다면 부모는 무조건적으로 그들을 사랑하면 되지만 자식이 신동이라면 사랑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의 재능을 키우기 위해 부모역시 전문적인 수준의 해당분야 지식을 쌓고 자식을 이끌어줄 선생을 찾아 전세계를 돌아 다녀야 한다. 자녀와의 관계도 외줄타기처럼 어렵다. 자식의 재능을 꽃피울 수 있게 엄격한 훈련을 하다가 자칫 아이가 엇나가거나 관계가 망가질 수 있고 반대로 아이가 혼자 인생을 헤쳐나가도록 자유롭게 내버려두면 재능을 발현할 때를 놓친 아이는 뒤늦게 부모를 원망한다. '왜 내 재능을 방임했나요!' 세상의 단순한 생각과는 달리 신동을 낳는 것은 장애아를 낳는 것 만큼이나 혹은 그 이상으로 힘든 일이다. 


책 속의 부모들은 자신과 너무나도 다른 아이들(far from trees)에게 대체적으로 애정을 보이고 많은 경우는 죽는 날까지 어떻게든 그 아이들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자신들 나름의 지원을 한다. 인간의 존엄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은 그들이 자식을 평생 사랑한다는 부분보다도 그들이 자신의 지난 삶을 돌아볼 때 후회를 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장애아를 낳고, 자식들 병원비를 내느라 홈리스가 되고, 자식이 죽은 다음에 장학재단을 설립해 같은 처지의 아이들을 돕고, 혹은 늙어서도 제 앞가림 하지 못해 평생 부모가 자식을 걱정해야 함에도 그들은 자식이 있어서 자신의 삶이 더 풍요로웠다고 말한다. 자신의 몫을 했다는 실감이 있다는 말일테다. 그것이 유전자의 확률게임에서 패한 자의 정신승리라 할지라도, 그들의 인터뷰를 읽으며 그들의 영혼에는 신이 비추는 햇살이 내리쬐고 있을거라 생각했다. 


이 책을 읽으며 나는 부모로서의 역할에 대한 자신감이 더욱 없어졌지만 저자는 오히려 부모로서의 역할에 자신감이 생겨 아이를 갖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그리고 용감히 기형검사도 하지 않고 아이를 출산한다. 많은 부모들을 보며, 어차피 아이에게 문제가 있다 하더라도 아이를 사랑할 것이라는 믿음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이 책은 성경 같은 것일지도 모른다. 신성에 대해 막연히 감이 있는 사람에게는 와닿을 책 하지만 나처럼 신성과 모성에 대해 메마르고 메마른 사람에겐 영적으로 와닿는 부분은 없는 그냥 좋은 책. 어쨌든 이 책이 좋은 책임은 부정할 수 없다. 번역에 대해서는 참 실망스러웠지만 우리가 아는 삶의 모습을 더욱 입체적으로 살려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가 모르는 실제의 삶이란 이런 것이란 점에서, 이 책을 읽고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부분들을 조금이나마 더 알게 되었다는 점에 감사한다. 그러니 이런 것이다. '트렌스젠더'라는 챕터를 보면 트렌스젠더들의 사망률이 일반인에 비해 수배나 높다는 것을 알수 있다. 성전환 전에는 정체성 위기로 자살을 하고 성전환을 한 다음에는 혐오범죄의 타겟이 되기 때문이다. 트렌스젠더에 대해 나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막연히 조금은 불편한 존재로 생각하던 나는 이 책을 읽고 나서, 게이로 추측되는 한 연예인이 SNS에서 자신의 성적 지향을 '대놓고'드러내며, '나댄다'고 비웃는 인터넷 게시물에 이런 댓글을 달았다.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이 비난받거나 비웃음 당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케이스를 조사한 것이기에 한국과는 상황이 다른 점이 많지만 저자가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국적과 인종 세대를 뛰어넘는 것이기에 한국의 독자들도 충분히 의미있는 무언가를 이 책에서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4-14 09:4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