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일요일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생각의 일요일들
은희경 지음 / 달 / 2011년 7월
장바구니담기


은희경 작가의 소설을 한 번도 읽어본 적이 없다. 나름 책을 많이 읽는 편이라고 자부하는데 역시 읽던 장르만 계속 읽게 되는 편식이 또 한 번 드러나는 순간이다. 열 권의 소설책을 낸 작가의 책이라면 한 권쯤 읽어봤을 법도 한데 나는 무얼했나 ㅋㅋ 그래도 이름은 알고 있었다! (작가 소개에서 밑줄 친 부분이 가장 마음에 든다.) 은희경 작가의 첫 번째 산문집이라는 <생각의 일요일들>을 집어 들고 가장 먼저 했던 것은 나의 버릇인 책 냄새 맡기. (킁킁, 변태 아님) 깔끔한 표지 디자인에 어울리게 내부 또한 깔끔하다. 빠르게 훑다 발견한 반가운 곳, 원주! 내가 태어나고 자란 곳이라 그런지 괜히 더 반갑고 얼른 읽고 싶은 충동에 사로잡혔다.

이 책은 은희경 작가의 최근작인 <소년을 위로해줘>를 인터넷에 연재하며 ‘답글’이라는 이름으로 7개월 동안 독자들에게 쓴 120장의 편지와 트위터 멘션을 함께 엮은 것이라 한다. 그래서인지 하나의 이야기들이 한 페이지를 넘는 경우가 거의 없을 정도로 짤막하다. 인터넷에 연재했던 작품이니 그 당시 업데이트 되는 대로 읽었던 독자의 입장에선, 작가의 일상 이야기 또는 그 부분이 어떻게 쓰여졌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읽는 것이 또 다른 재미였을 것 같다. 나도 <소년을 위로해줘>의 표지는 기억하고 있는데 <생각의 일요일들>을 읽으니 꼭 한 번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용 자체는 특별하게 느껴지지 않았다. 아직 소설을 읽지 않아서 별 감흥이 없는지도 모르겠지만 이야기 자체가 흥미롭고 재미있어서 꾸준히 읽게 되는 것 보단 돌아서서 문득 생각나고 피식 거리게 되는 부분들이 있다. 단순하게 봤을 땐 사진이 많지도 않고 “흰 바탕은 종이요, 까만 것은 글씨”의 공식이 통하는 그런 책이다. 사진 속 부분만큼은 나랑 같아서 격하게 공감하며 읽었는데 이사 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잘 켜지던 방 형광등이 나간 일이 있었다. (새로 갈았는데도 불구하고!) 그런데도 미련하게 고칠 생각은 하지 않고 화장실 불로 대신 생활하며 엄마가 오는 날만 손꼽아 기다렸던 경험.. -_-

특별하진 않아도 이런 좋은 글들을 읽고 공감할 수 있어서 참 좋았던 책.

얼마 전에 친구와 보성, 해남으로 2박3일 여행을 다녀왔는데 짐을 꾸리기까지의 과정은 귀찮았지만 막상 떠나니 그렇게 좋을 수가 없었다. 막혔던 가슴 한 구석이 뻥! 뚫리는 듯한 기분. 그리고 여행을 다녀온 후에는 정말이지 어딘가 모르게 달라진 나를 만나는 기분이었다.

기억에 남는 글 중 하나는 “사실과 진실의 사소하고도 엄청난 차이” 란 제목의 글이다. 센스 있는 (강연하던) 작가의 답변이 빛났던 글.

평소 은희경 작가의 글을 좋아하는 독자나 혼자만의 시간을 즐기고 싶을 때 한 장 두 장 읽어 내려 가기 괜찮았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통증
영화
평점 :
상영종료


권상우가 이런 배우였나 싶었던 권상우의 재발견. 의외로 괜찮았다. 기대가 낮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피 라핀의 스타일북 - 세상에서 가장 패셔너블한 토끼
피피 라핀 지음, 김주연 옮김 / 미호 / 2011년 8월
절판


대학생인 남동생의 하루 시작은 매우 분주하다. 피곤하다면서도 아침 일찍 일어나 머리를 폼나게 매만진 후, 전 날 미리 준비해 놓은 옷을 차려 입고 거울 앞에 몇 번이고 서서 스타일링을 마무리한다. 전 날 밤에 "누나 이건 어때? 이건 좀 이상하지 않아?" 지겹게 물어봤는데 아침에 최종적으로 또 한 번 물어본다. 아...피곤한 스타일. ㅋㅋ 전에 같이 살던 룸메 중 한 녀석도 그랬다. 전신 거울 앞에서 구두만 몇 켤레씩 바꿔 신어가며 어떤 게 제일 어울리는지 꼭 누군가에게 확인 받아야 마음이 편하다는 아이. 이런 사람들에겐 하루하루 어떤 옷을 입어야 할 지가 고민이면서도 반면에 스타일 하는 재미가 있을 것 같다. 본인이 스트레스만 받지 않는다면.

<피피 라핀의 스타일북>이야기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요일별로 테마를 잡아 소개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월요일 - "일주일의 시작은 편하면서도 시크하게", 화요일 - "게으르고 싶은 날을 위한 스타일링의 새로운 공식" 같은 식이다. 그리고 각 요일마다 패션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실어 놓아 패션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겐 충분히 흥미로울 만한 요소가 될 것 같다. 난 패션에 그리 밝거나 관심이 많은 편이 아니라서 엘리 키시모토, 엠마 힐, 바바라 훌라니키, 마이클 밴 더 햄, 에르뎀, 안나 수이, 폴 스미스 까지 총 7명의 패션 전문가 (또는 브랜드) 중에 2명만 낯익은 이름이었지만 그래도 그 사람들이 추구하는 패션 특징이나 스타일의 정의에 대해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참 특이하다는 생각을 많이 했지만.-_-)

인터뷰 중에서 스타일이 무엇인지에 대해 정의를 내려준 디자이너들만 꼽아 소개해 볼까 하는데 엘리 키시모토를 만든 부부의 정의 부터 살펴보자면,

마크 : 특별한 노력 없이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센스라고 생각합니다.
와카코 : 스타일은 평범한 상품이 더 이상 평범하지 않은 상태를 뜻해요. 즉, 개성이 부여되고 개성을 정의하는 요소가 되는 거죠.

안나 수이에게 스타일이란?
어떠한 정신과 태도! 나이와 상관 없이 저희 엄마와 조카들도 모두 안나수이를 입어요. 패션으로 재미를 느끼는 게 스타일이라고 봅니다. 글래머러스한 부분도 보여주면서요. 너무 진지해질 필요 없잖아요.

(사진은 못 올렸지만) 멀버리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엠마 힐에게 스타일이란?
스타일은 가장 최근, 가장 많이 얘기되는 트렌드가 아니에요. 모든 사람이 따라가는 트렌드를 스타일이라고 할 수 없어요. 당신에게 무엇이 어울리는지 알고 그것을 재미있게 표현하는 게 스타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폴 스미스에게 스타일이란?
자연스럽게 얻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누군가 강요해서 되는 것도 아니고 비싼 명품이라고 해서 스타일이 있는 것도 아니죠. 엄마에게 빌려 입거나 중고가게에서 산 옷을 입어도 스타일리시해 보일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어울리는 게 뭔지 아는 것이 스타일의 시작입니다.

표지에서 부터 느꼈겠지만 전체적인 디자인이 귀엽고 앙증맞아서 보고 있으면 기분 좋아지는 그런 책이다. 특히 여자들은 이런 디자인에 좀 약하니까 여자들을 공략하기에 안성맞춤인 디자인인 듯 하다. 당근을 이용해서 할 수 있는 요리라든지 팩 만드는 법도 실려 있고, 메이크업 팁도 소개해 준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에게 가장 유용했던 부분은 나에게 어울리는 청바지를 찾을 수 있게 팁을 준 페이지였다. 평소 청바지를 즐겨 입긴 하는데 매번 똑같은 스타일만 고집하다 보니 다른 걸 도전해볼까 싶었는데 하이웨이스트는 절대로 안되겠구나 하는 교훈을 얻었다는..-_-;; (클릭하면 좀 더 크게 볼 수 있다.) 디자인도 귀여우면서 깜찍하고 나름 도움되는 부분들이 있긴 하지만 아쉬움도 있었다. <피피 라핀의 스타일북>에서 피피 라핀이 소개하는 스타일들이 모두 명품 브랜드들이라 현실에서 마음대로 사입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점, 그리고 주로 컬렉션에서 선보였던 디자인들이 많아서 특이하고 과감한 디자인을 소화하기엔 내 몸매가 초라하다는 점?! ㅋㅋㅋ 대중적이지 않아서 이거 입고 돌아다니다가는 완전 주목받겠다! (방긋) 요 정도랄까.

센스 있게 마지막 장에 실려 있는 종이인형놀이 페이지!!!!
이걸 오려서 갖고 놀기엔 내 나이가 많다는 게 흠...인..ㅋㅋ 귀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문의 영광4 - 가문의 수난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답이 없습니다. ㅠ_ㅠ 5편도 만들 건 아니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른소금 - Hindsight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화면의 색감 하나는 최고던데..그게 다였다. 하지만 송강호는 완전 섹시하더라. 캬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