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이야기꾼 구니 버드 동화 보물창고 5
로이스 로리 지음, 미디 토마스 그림, 이금이.이어진 옮김 / 보물창고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중*고등학교 다닐 때, 나는 등교 후 선생님이 교실에 들어오시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친구들 몇몇에 둘러싸여 떠들썩한 이야기판을 벌리곤 했다. 주로 등굣길의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더러는 지난 밤 읽은 책, 때로는 즉석에서 꾸며낸 이야기들이었다. 그래, 그랬던 적이 있었지, 하는 생각을 이 책을 읽으며 했다. 지금에 와서는 참 즐거이 기억되는 추억.

  구니버드가 처음부터 친근했던 것은 구니버드 역시 친구들을 청중으로 한 이야기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니버드가 몇 수는 위다. 뭐 이런 맹랑한 꼬마가 다 있나 싶을 정도다. 구니버드의 이야기는 매우 판타스틱하고,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연결되며, 그러면서 모두 사실이다. 거짓말을 참 천연덕스럽게도 한다 싶으면 다음 순간 그 생각을 한 독자를 부끄럽게 만드는 아이. 그래서 사실을 말하는 구니버드의 이야기는 듣는 이를 매혹한다.

  게다가 구니버드는 패션 리더이다. 남들에게 보이기 위한 옷이 아니라 자신의 기분에 충실한 옷을 입는다. 말괄량이 삐삐가 입고 다녔던 그 언밸런스한 옷차림이 삐삐에게 너무나 당연한 듯 어울렸듯이 구니버드도 그야말로 뒤죽박죽인 듯하지만 솔직하고 자유로운 옷이 너무 잘 어울려, 친구들은 구니버드의 이야기에 매혹되듯 이 아이의 옷차림에도 덩달아 빠져버린다. 구니버드는 옷이나 도시락을 통해서도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다.  

  워터타워 초등학교로 전학 온 구니버드. 워터로 만든 타워를 상상해 보면서 작가가 이름에 많은 의미를 두고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피죤 선생님(음, 선생님 이름은 비둘기구나.)은 ‘이야기’를 가르치기 위해 처음과 중간, 끝, 등장인물 등의 개념을 아이들에게 이해시키려 애쓰지만 그다지 성공적이지는 않다. 아이들에게 관심이 가는 것은 새로 전학 온 구니 버드 그린이라는 아이처럼 가까이 있는 존재에 대한 것들이다. 결국 구니버드가 나서서 ‘이야기’를 해줌으로써 가르치는 이야기가 아니라 들려주는 이야기의 본보기를 보여준다. 물론 구니버드는 그냥 자기 이야기를 한 것이지만 말이다.

  언뜻 보면 구니버드는 제 기분에만 충실한 아이인 것 같다. 그러나 잘 생각해 보면 이 아이가 얼마나 듣는 이의 입장을 잘 이해하는지 알 수 있다. 구니버드의 첫 이야기 ‘구니 버드는 어떻게 이름을 갖게 되었을까?’는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이야기의 중심 내용을 뽑아내는 그 어려운 일을 단번에 해결한 본보기다. 청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면 너무 거창할까? 어쨌든 소제목을 읽자마자 책 속 아이들처럼 독자도 구니 버드란 이름에 당연히 궁금증이 생기고, 얼른 다음 이야기를 읽고 싶어진다. 또, 구니 버드란 이름의 유래를 알고 나면 다음에는 어떤 이야기가 기다리고 있을까. 구니버드가 교향악단을 지휘하고, 그들이 워터타워 초등학교에 와서 연주하게 된 기막힌 사연은 무엇일까?

  말장난 같기도 하고, 마법 같기도 한 구니 버드의 이야기. 짧고도 강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