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 Riboud (Hardcover) - 50 Years of Photography
Annick Coljean / Flammarion / 2004년 5월
평점 :
절판


필자는 마크 리부의 작품을 볼 때마다 페르낭 레제의 예술작품이 오버랩된다. 특히나 '에펠탑의 페인트공(Man painting the Eiffel Tower without a safety belt more than 900 feet avobe Paris. 1953)' 이라는 사진은 전체적인 분위기가 레제의 '건설자들' 이라는 회화작품을 보는 듯 하다. 필자의 사진보는 내공이 딸려서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아니면 일종의 기시감 때문인가? ㅎㅎㅎ
이 사진은 하얀 배경을 바탕으로 탑의 조형성이 K자 구도를 강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인물은 조금은 무심한 듯한 표정을 갖고 그러면서조 약간 미소를 띈 듯한 옆모습, 한 손에 붓을 들고 에펠탑을 칠하는 시늉을 하고 있다. 그런데 페인트칠에는 집중하지 않고 있는듯 해서 약간 설정샷 비슷한 냄새가 풍긴다. 이 사진이 바로 표지에 나와 있는 마크 리부의 사진집이다.

또 하나나 이름난 작품이 있는데, 제목이 'Confrontation between a flower and the bayonets of solders guarding the Pentagon during the March for Peace in Vietnam. Washington, D.C., October 21, 1967) 라는 사진이다. 화면 좌축에 총을 든 병사들이 있고 우측에는 한 여인네가 그 총구에다가 꽃을 꼽아넣는 장면이다. CF에서도 많이 패러디 되었을 정도로 잘 알려진 작품이다. 이렇게 냉정한 현실을 아이러니한 코믹스타일로 만들면서도 뭔가를 생각하게 하는 스타일이 바로 마크 리부 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사진 이전에 1958년에 그는 일본에도 잠깐 갔었는데 몇 작품이 소개되어 있다. 원제가 (The Buddha of Kamakura. Japan, 1958) 인데, 화면 중앙에 큰 돌부처가 보이고 그 바로 앞에 여인네와 딸이 작게 나와있다. 그리고 이 모녀를 촬영하는 남자가 매우 과장스럽게 포즈를 취하고 있는 것을 리부가 촬영한 사진이다. 모녀를 찍는 남자는 엉거주춤한 자세로 양다리를 좌악 펼치고 --기마자세라고 하나?-- 바지는 배위까지 올린다음 단단하게 벨트를 조이고 있다. 마치 불량스러운 야꾸자를 보는 듯하다. 왜 이렇게 기묘한 자세로 불편하게 사진을 찍고 있을까? 아마 이 장면이 무척이나 우습게 보여서 리부가 찰칵 찍은 것 같다. 필자가 짐작해보기에는 당시 일본에서 카메라 라고하는 것은 일종의 중산층을 상징하는 아이템이 아니었을까 한다. 그래서 이런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과시하느라고 그런 자세로 사진을 찍는 것이 아니었을까?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obert Capa : The Definitive Collection (Paperback)
Whelan, Richard 지음 / Phaidon Inc Ltd / 2004년 10월
평점 :
절판


엄청 두꺼운데 엄청 저렴한 사진집. 겨우 5만원도 안된다고? 요즘 웬만한 사진집하면 십수만원 넘는것은 기본인데? ㅎㅎ 아뭏든  카파의 보도사진이 572쪽에 걸쳐서 모두 나와 있다. 책 크기도 크고 사진용지를 사용해서 상당히 무겁다. 펼치면 웬만한 책상은 다 차지함.

이 보도사진집을 보면 알겠지만, 카파의 시선은 거의 대부분 위를 바라보며 찍었다. 사람의 시선과 비슷한 화각은 한 20퍼센트 정도고 나머지는 항상 앉은 자세에서 인물을 바라보며 촬영한 이미지다. 부감법으로 내려다 본 사진은 몇장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보자.
Saarland, September 1934, 라는 사진에서는 화면 좌측에 거대한 기계, 아마도 포크레인의 아귀같은 구조물이 크게 걸려있고 그 옆으로는 노동자인 듯한 사람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위치해있다. 그리고 이것을 앉은 자세에서 앵글을 잡아서 매우 강렬하고 담대한 인상을 남겨주고 있다.  또 하나 필자의 시전을 잡아 끄는 사진은 ''Saint-Quen, Francd, May-June 1936. Sit-in strikers at the Lavalette Construction Company plant' 라는 타이틀이 붙은 사진이다.


한 2미터 남짓한 벽위에 한 남자가 갓난아이를 두손으로 잡고 있으며, 그 아래에서는 또 다른 남자가 그 아이를 받으려고 두 손을 머리위로 올리고 있다. 위에 있는 남자와 갓난쟁이는 매우 즐거운듯 이를 드러내며 웃고있다. 아래에 있는 남자는 뒤통수와 상반신만 보이므로 표정을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위에 있는 남자와 아이의 모습으로 미루어 보건데 아래층 남자도 껄껄 웃고있음이 분명하다. 아니? 어쩌면 그런 것이 정말로 보이는 듯도 하다. ㅎㅎ. 아뭏든 이것을 약간 뒤에서 물러나 역시 살짝 올려다 보면서 찍은 이미지다. 올려다 보면서 찍었지만 렌즈의 왜곡이 거의 없어서 왜곡되지는 않고 있다. 이것이 바로 카파의 스타일이 아닐까 한다.

그가 말하길 '사진이 만족스럽지 않은 것은 대상에 가까이 다가가지 않아서 그런 것이다' 라고 했다고 하니 이런 마인드가 그래도 드러나는 것 같다. 여기에는 두가지 뜻이 있는데, 직접적으로 대상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것이 그 하나다. 또 하나는 피사체를 나와 떨어진 어떤 객체로 인식하지 말고 그 안에 같이 뒹굴면서 친해지라는 뜻.

그리고 올려다보지 않고 그냥 평범한 시선으로 바라본 사진에서는 'Near Troina, Sicily, August 4-5, 1943. A Sicilian peasant telling an American officer which way the Germans ha gone.' 가 기억난다. 화면 오른쪽에 농부가 엉거주춤한 자세로 긴 막대기를 들어 왼쪽을 가리키고 있다. 이 막대기는 가늘고 길어서 화면 바깥으로 나가버렸다. 그리고 그 옆에 미군장교가 쪼그려 앉아서 같은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독일군이 어디로 갔지? 미군은 묻고 농부는 대답한다 저~어쪽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패션사진 매뉴얼 - 원리, 실제 그리고 테크닉 : 핵심 가이드
엘리엇 시걸 지음, 정우영 옮김 / 월간사진출판사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뉴얼 스타일로 만들어진 패션사진 촬영하는 실무를 간단히 소개하고 있다. 극히 필요한 핵심만을 설명하고 있어서 완전한 초보자가 아닌 이상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총 페이지가 140쪽 정도하지만 여러가지 패션사진에 대한 노하우를 접할 수 있어서 볼만한 책이다. 개인적으로는 스튜디오 촬영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어서 재미나게 읽었다. 특히나 조명에 대해서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다. 그밖에 간과하기 쉬운 여러가지 팁들도 많이 알려줘서 볼만한 책이다.

예를들어,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 이란 파트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촬영 하루 전에는 모델이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의 신인 모델들은 파티나 개인적인 용무 등으로 자기관리를 소흘히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진가로서 조언하거나 절제시킬 필요가 있다.....중략..... 의상만큼이나 신발도 중요하므로 스타일리스트가 신발을 잘 챙기도록 한다. 혹은 모델에게 잘 어울리는 신발을 가져오도록 준비시킨다......중략.... 협찬 받은 신발은 사용한 흔적을 남겨선 안 된다. 신발의 밑바닥에 테이프를 붙인다면 신발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스타일리스트의 신뢰감도 올릴 수 있다......중략.....모델에게 사진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자세히 기술한 모델 동의서의 서명을 받는다. 모델의 그림자만 나온 사진이라도 동의서 없이 판매하거나 출판한다면 소송에 걸릴 위험이 높다...... 중략.... 두려움을 드러내선 안 된다. 패션 촬영을 처음 한다면 초조하고 심지어 두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팀원들에게 자신의 통제력과 결단력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중략...사진가의 성공요인에는 사진 기술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기술도 필요하다는 것을 일지 말도록 하자."

이런식으로 실무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압축해서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촬용조수되기 메이크업과 포트폴리오 관리등 작가의 노하우를 다이제스트 형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Sixties (Hardcover, 1st)
Richard Avedon / Random House Inc / 1999년 10월
평점 :
절판


포트레이트라고 해야 할까? 주로 상반신이 나온 인물사진을 하얀 배경으로 해서 찍은 사진집니다. 여러 인물들이 나오는데 주로 음악인들이 차지하고 있다. 그 면면을 보자면, 폴매카트니, 밥딜런, 조안 바에즈, 조지 해르슨, 랭고스타, 존 레논, 티나 터너, 나찌당, 앨리스 쿠퍼, 조니스 제플린 등등...이다. 이 밖에 말콤X 라든가 헨리 키신저 마틴 루터 킹, 앤디 워홀등오 출연하고 있다. 그밖에 배우들도 조금 나온다. 매우 사실적으로 인물을 담아냈는데 얼굴의 잡티와 기미, 털, 점 등이 그래로 가감없이 때로는 더욱 적나라하게 묘사되어 있다. 심지어는 개기름이 번들거리는 피부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실물크기의 얼굴이 보여주는 느낌이 색다르다.

특히나 베트남 전쟁의 피해자를 찍은 사진은 몹시나 극사질주의적이다. 제목이 'Napalm Victim, Saigon' 인데 네이팜탄에 의해 화상을 입어 얼굴 반쪽에 흉터가 남은 여인네의 사진은 매우 충격적일것이다. 반면에 'Dao Dua, "The Coconut Monk," Mekong Monastery, Vietnam' 이라는 작품은 종교인을 담았음에도 불구하고 엄숙하거나 종교적인 그런 느낌은 전여 없다. 오히려 코믹하고 개구장이 같은 느낌이 물씬든다.

총 250페이지 정도이며 후반부에 바이오그래피가 한 10여장 나온다. 그리고 모두가 흑백사진이며 컬러 사진은 5장만 소개되어 있다. 사진집이라서 책이 일반 서적에 비해서 3배 정도는 크다. 따라서 한손으로 들고보기에는 버거웁다. 펼치면 웬만한 책상을 다 뒤덮을 정도다. ㅎㅎ 아뭏든 작가인 리차드 아베든은 인물사진에서 아주 유명한 사진 작가 중 한명이었다. 특히나 패션사진에서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운구 사진론
강운구 지음 / 열화당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는 스스로의 작품을 내수용이라 말하는 우리나라 사진 초창기의 인물이다. 그가 이 책에서 주장하는 핵심은 지류도 좋지만 본류을 알고하자는 얘기다. 쌀과 밥의 비유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는데, 쌀의 용도는 밥이다. 튀밥이나 강정 숭늉, 누룽지 등등을 해 먹을 수도 있지만 쌀 본래의 목적인 밥이 본류이고 여타의 쌀가공식품은 지류라는 얘기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본류 보다는 지류가 더 많다고 한다. 왜 그럴까? 제대로 된 사진에 대한 철학이나 담론이 없었기 때문이란다. 한국에서 사진의 역사는 매우 짧아서 그런 치열한 시대정신이 없었다고 한다. 1세대 사진쟁이들이 모두 아마추어로 출발했기에 무분별하게 외국의 사조를 받아들여 그것이 사진의 전부인줄 알고 시작했고, 그것이 어설프게 퍼져나간 결과라고 한다. 뭐 당연한 얘기다. 사진 분야만 그런것이 아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과 불행했던 근현대사를 겪으면서 정석을 접할 기회가 없었으니까 말이다. 따라서 사진작가라고 하는 사람들은 이런 사실을 후배들에게 확실히 알려줘야 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쌀 본연의 목적이 밥이라고 할때, 일단 밥을 잘해 먹는 것이 바탕이되어야 하고 여기에서 튀밥이나 강정같은 분야로 확장해나가듯이, 사진의 근본은 사실적인 묘사에 있으므로 이를 충분히 경험하고 나서 크로스오버를 하는 것이 좋겠다는 요지다.


책 내용중에 공감가는 부분이 있는데, 그의 주장을 조금만 소개해 보겠다.
"....그이들은 찍을 때 "예쁘지도 않은 이 꼴을 뭐하러 찍어요?" 가 흔히 듣는 말이다. 그러므로 그 말에는 아름다운 것을 찍는 것이 사진이라는 전제가 되어 있다. 그런데 막상 전시회나 책 같은 데 냈을 때 가장 흔하게 듣는 소리는 "이거 무슨뜻입니까" 이다.

어떤 예술에도 고유한 문법과 그 장르가 아니면 할 수 없는 표현방법이 있다. 그런데 그 표현의 맛과 재미는 밀쳐 버리고 대뜸 뜻만 찾으려는 점이 우리나라 사람들의 공통된 성향이다. 뜻은 거의 없고 표현의 재미만 있는 작품들도 많다. 그런 작품들 앞에서조차 뜻만 찾다가 그것이 보이지(느껴지지) 않으면 난해하다고 한다. 없는 것을 찾는 관객도 난해하며, 별 뜻 없는 작품 앞에서 "분단현실을 의식하며 통일을 염원하는 마음을 추상화했습니다" 하며 뜻을 내세우는 작가는 더 난해하며 수상쩍기까지 하다. 뜻이 중요하긴 하지만, 그게 먼저이며 다는 아니다..... 그러나 이를테면 그림 사진, 그리고 그 밖의 여러 장르에서는, 그 자체가 가진 고유한 표현방법이 먼저다. 그 자체의 고유한 방법으로 표현한 재미(또는 아름다운)와 느낌을 통해서 뜻이 전달되어야만 한다." 라고 적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