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 지음, 김희정.안세민 옮김 / 부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워낙 유명한 장하준 교수의 2번째 베스트 셀러다. 그런데 첫 번째 권인 나쁜 사마리아인과 상당히 많은 부분이 겹치는 것 같다. 물론 새로운 내용도 많이 첨부가 되었지만, 버전 2.0이 아닌 1.5 정도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아뭏든 선진국이 취하는 경제정책과 해법이 어떻게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가로막는지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사다리 걷어차기] 인 셈이다. 즉, 서구 열강들이 지금과 같은 경제대국으로 자리매김 한 후에는, 자신들의 방법을 따라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얘기다. 그러면서 신흥국가들에게 부자나라가 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관계를 감안해 상당히 많은 점을 시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
장하준 지음, 이순희 옮김 / 부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오늘날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정책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책이다. 주장은 간단명료하다. 못 사는 사람들이 잘 사는 나라로 탈바꿈하기 위해서는, 경제발전 초창기에 보호무역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신자유주의는 이런 안전장치를 해제시키고 자신들만의 이익을 탐한다는 내용이다. 쉽게 비유를 들어 설명해보자면, 무규칙 격투기의 링에 오르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는 신체적 조건과 부단한 연습과 실전을 통해서 자신을 연마한 뒤에라야 가능하다. 그런데 신자유주의는 보통 사람들을 그냥 아무런 준비없이 이런 격투기장에 출전시키는 것과 다름없다는 것이다. 누가봐도 명백히 불공정한 게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신자유주가 행하는 것이 바로 이거다. 어이쿠야~ 한국이 미국과 FTA를 체결했는데 향후 우리의 미래가 어떻게 될 것인지 걱정된다. 보통사람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책이니 꼭 한번 읽어보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래의 투자 - 월가 최고의 애널리스트에게 배우는 투자 통찰력
마이클 J. 모부신 지음, 정명수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의 직업인 투자전략가 답게 다양한 방면의 실례를 들어가면서 투자에 대해서 쉽게 풀어쓰고 있는 책이다.보통 사람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평이한 문체로 쓰여졌는데, 시장대비해서 초과수익을 내는 우수한 펀드 매니저들을 조사해본 결과 다음 네 가지의 공통점이 있었다.


첫째는 포트폴리오의 회전율이 27% 였는데, 이는 다른 액티브 펀드의 회전율 112%와 비교해보면 매우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즉, 너무 자주 샀다 팔았다 하는 트레이딩이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두 번째가 집중도이다. 예를 들어 실적이 우수한 펀드들은 상위 10개 종목의 자산 비중이 평균 29%였다. 그 다음이 모멘텀 투자가 아닌 가치투자를 지향했다는 점이다. 다시말해 차트를 이용한 매매는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뜻이다. 그리고 마지막이 투자의 본고장, 그중에서도 월스트리트에 회사를 둔 펀드는 소수였다고 한다. 즉, 금융의 중심지를 벗어난 중소도시에서 투자를 했다는 점이다. 이는 불필요한 잡음을 피하기 위한 노력이다. 이 네가지의 결과가 투자자에게 전달하는 의미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저자는 이상의 네 가지 공통점을 고대로 따라한다고 해서 고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아니란다. 여타의 다른 많은 펀드매니저들이 이상의 공통점이 없이도 놀라운 운용성적을 거두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결론은 분명하다. 자신만의 투자원칙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프레드 쉐드 주니어 지음, 김상우 옮김 / 부크온(부크홀릭)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사악한 금융 브로커들의 더러운 짓거리를 고발하는 책이다. 즉, 펀드라는 거대한 시스템과 거기에 속한 매니저들이 --고객의 이익에는 관심이 없고-- 펀드의 회전율을 높여서 수수료 수입만을 챙기는 행태를 속속들이 파헤치고 있다. 저자가 말하는 이 악덕 브로커들의 수법은 천편일률적으로 똑같다. 고객에게 접근해 고수익을 내준다는 미끼를 던지고, 그 호구들의 자산을 자기들 마음대로 샀다팔았다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따먹으면서 기생충 같이 살아간다. 즉, 우리가 펀드에 가입을 하는 것은, 당신의 재산으로 이들에게 월급을 주는 것이다. 저자는 거의 대부분의 금융 시스템이 이런 구조로 되어 있다고 한다. 따라서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펀드를 믿지 말고, 인덱스 펀드를 사라고 권고한다. 옳은 얘기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인덱스 펀드마저도 과도한 수수료를 요구하는게 문제다. 눈 크게 뜨고 꼼꼼히 살펴보시라. 세상에 공짜는 절대로 없다.


인덱스 펀드가 발달한 미국같은 경우는 수수료가 0.2% 정도라고 한다. 그에 비해 한국은 무려, 놀라지 마시라 2%가 기본이다. 미국에 비교해서 10배나 비싸다. 이것은 사실상 펀드 수익률의 절반을 고리로 떼이는 것과 마찬가지다. 은행이자율이 4%가 채 안 되는 상황에서 말이 안 되는 얘기다. 모르면 당하는 곳, 두눈 멀쩡히 뜨고도 사기를 당하는 곳이 바로 금융시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시 리버모어의 주식 매매하는 법
제시 리버모어 지음, 박성환 옮김 / 이레미디어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20세기를 살다간 유명한 투기꾼이 말하는 모멘텀 투자에 대한 내용이다. 그러나 주의하시라. 이 책의 저자인 리버모어는 20세기 초반에 공매도로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으나, 말년에는 허름한 모텔에서 권총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그 이전에는 사랑하는 아내와 이혼을 하고, 자식들에게도 변변한 아버지 노릇을 못했다는 점이 안타까울 뿐이다. 투기로 성공하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게다가 운도 따라줘야 하므로, 보통사람들이 이런 차트매매를 통해서 백만장자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은 매우 위험하다. 무엇보다 저자가 활동하던 시절에는 차트가 대중들에게 알려지지 않아서, 그러한 강점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포털사이트에서도 모든 차트를 공짜로 제공하기에 비결이라고 할 수도 없다. 격세지감이 느껴진다. 불과 10년도 안되는 과거에는 수십에서 수백만원을 주고서야 겨우겨우 차트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그의 투자원칙 정도만 참고하는게 좋을 것 같다.


전성기의 그는 개미로서는 최고의 한 때를 보냈다. 시장이 하락으로 접어들었을 때 공매도 포지션을 축적하여 무지막지한 평가이익을 내고 있을 때 였다. 미국 연방은행의 수장이 리버모어에게 전화를 하여 공매도를 풀어달라고 요청을 했다고 한다.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생각해보라. 한국은행장이 당신에게 전화를 하여 이런 부탁을 한다고 말이다. ㅎㅎ 아뭏든 그는 이 청을 받아들여 포지션을 청산했다고 한다. 조금 오래되어서 기억이 가물가물하기는 한데, 아마도 주식투자자의 회상이라는 책에서 언급된것 같다. 아뭏든 리버모어는 그 서적에서 시장이 붕괴되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에 공매도를 풀었다고 한다. 시장이 건재해야만 자신도 계속해서 투자를 할 수 있었기 때문이란다. 접을 때를 아는 것, 그것이 진정한 고수다. 그런데 그는 인생에서는 접을 때를 몰랐다. 아니 극단적인 자기파괴의 방법으로 삶을 접어야만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